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ABI Research에서 얼마전에 On-board Navigation Software 업체를 대상으로 Top 10 순위를 발표하였다. 항목은 Innovation과 Implementation 의 2개로 하여 각각 X축과 Y축으로 놓고, 종합 점수를 매겼다. 보이는 결과는 위에 보이는 바와 같이 'Nokia'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어 내었다.

이번 랭킹을 소개하는 것은 단순하게 'Nokia'가 1위를 했다는 소식을 전하고자 함이 아니다. 해당 보고서를 보면 다양한 요소들을 정해놓고 이를 가지고 점수를 주었는데, 이 항목이 꽤나 와닿는 점이 많다. 역으로 말하자면 Navigation S/W 로서 가져야 하는 기본요소들을 정리해 놓은 것이다. 해당 항목은 아래와 같다.

Implementation
  • Market Share - Overall share of installed based and sales market share
  • Carrier agreements - Number and importance of partnerships with carriers
  • Handset and PDA manufacturer agreements - Number and importance of partnerships with handset manufacturers
  • Market positioning - Quality and relevance of communication, branding, and marketing campaigns and programs
  • Mobile platforms and form factor coverage - Number of supported mobile platforms, operating systems, and handset models
  • Organizational health - Financial and overall organizational strength
  • Global coverage - Global presence in North America, Europe, Asia-Pacific, and developing regions
  • Quality and reliability - Consistency of the navigation experience
  • Customization - Quality and timeliness of white label implementation flexibility
Innovation
  • Navigation features - Number and relevance of options, such as routing options, navigation modes, map display modes, etc.
  • Local search - Local search, premium content, and local partnerships
  • Map upgrades - Frequency and ease of use
  • Traffic information - Availability of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t no additional cost
  • Business model/pricing options - Number and relevance of pricing options
  • Open APIs - Flexibility to interface with other applications
  • Sharing- Functionality to share POIs, routes, and landmarks with friends and family

모바일 인터넷이 확장되면서 모바일 지도와 네비게이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모바일 지도는 단순하게 현재 위치의 지도를 보는 서비스가 아니라 그 위에 다양한 서비스들이 올라갈 수 있는 기본 플랫폼이다. 위에서 언급한 항목과 같이 단순한 네비게이션 기능 외에도 이통사와의 관계, 단말 벤더와의 관계, 조직 구성등도 무척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비즈니스 영역이 넓어야 하기 때문이다.

위의 항목은 지도에 최적화되어 있는 항목이지만, 이를 토대로 모든 서비스들의 유사 항목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지금 개발하는 서비스가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인지, 플랫폼인지 곰곰히 생각을 해보도록 하자..
2008/11/07 08:19 2008/11/07 08:19
alldaylong

영어 번역을 하다보니 의미 축약 및 전문 용어 사용이 빈번하여 이 부분에 대해 의역했음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Implementation

- Market Share - 매출 기준 전체 점유율과 단말 탑재된 시장 점유율
- 이통사 계약들- 이통사들 협력 숫자와 관계의 중요성
- 단말 제조사 와 PDA 제조업자와의 계약들 - 단말기 제조 업체들과 협력 숫자와 파트너십의 중요성
- Market positioning - 품질과 커뮤니케이션의 관련성, 브랜딩 및 마케팅 캠페인과 마케팅 프로그램
- 모바일 플랫폼 및 구성 범위 – 지원하는 모바일 플랫폼, 운영 체계, 핸드폰 모델들의 숫자
- 조직의 건전성 – 재무 및 전체 조직력
- Global coverage – 실재 북미, 유럽, 아시아 와 기타 지역들에 대한 Global 적용
- 품질 과 신뢰성 – 내비게이션 사용 경험의 일관성
- Customization(맞춤형) – 품질과 시의적절한 저장된 개인 정보(white Label) 활용의 유연성


Innovation

- 내비게이션 특징 – 옵션의 수와 옵션의 관련성, 라우팅 옵션등, 네비게이션 모드들, 지도 표시 모드들, 그밖에 기능들
- 지역 검색 지역 검색, 프리미엄 콘텐츠, 지역 파트너쉽(지역 기반 광고등..)
- Map 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 제공 주기 및 이용 편의성
- 교통 정보 - 추가 비용없이 실시간을 교통 정보의 가용성
- 비즈니스 모델 / 가격 정책 – 가격 옵션의 수와 가격 옵션의 합리적 타당성
- Open APIs – 다른 Application과 인터페이스의 유연성
- Sharing(공유) – POIs(Point Of Interesting), 경로탐색, 친구와 가족들이 함께한 랜드마크 기능의 공유

mobizen

게으른 저를 위해 번역까지 해주셨군요. 감사합니다.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5. 국내 사용자의 기대 심리

국내 아이폰 출시에 대해서는 기성 언론이 아닌 블로거들의 오버로 인하여 몇차례 해프닝이 있었다. 이러한 해프닝으로 인해 아이폰에 대한 기대심리가 오히려 반감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제 와서는 아이폰이 출시되어도 정말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많이 든다.

얼마전에 모바일 전문 포털 '모키'에서 아이폰에 대한 사용자 생각을 조사한 적이 있다. '모키'의 설문결과에 대해서 소개할 때마다 강조하지만 '모키' 사용자들은 무선인터넷에 굉장히 Active한 10대 위주이다.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고객과는 층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참고할 부분은 일부 있으므로 중요요소만 정리를 해본다. 원문은 이곳에 가면 볼수 있다.

5.1. 3G 아이폰(iPhone)의 기능, 디자인, 브랜드 등 모든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얼마나 마음에 드십니까? (휴대폰 구입 여부를 떠나서 평가를 해주세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5.2. 3G 아이폰(iPhone)에는 아래와 같은 특징들이 있습니다. 만약 3G 아이폰(iPhone)을 구입한다면, 구입하는데 있어서 어떤 특징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겠습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5.3. 3G 아이폰(iPhone)의 가격을 제외한 기능, 디자인, 브랜드 등을 고려했을 때, 구입하실 의향은 어느 정도 되나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5.4. 3G 아이폰(iPhone)이 KTF에 출시된다면, 출고가 70~80만원대(8GB 기준)로 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가격을 고려하셨을 경우 3G 아이폰(iPhone)을 구입하실 의향은 어느 정도 되나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5.5. KTF로의 번호이동, 자신의 경제적 여건 등 주변 상황을 고려해 볼 때 3G 아이폰(iPhone)을 실제로 구입하실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몇 %정도가 될 것 같습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설문 조사 결과로 보면 국내 사용자들은 아르고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른 어떠한 기능보다도 '터치'에 많은 호감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다른 어떤 터치폰보다도 완벽하게 작동하는 아이폰 특유의 기능이기도 하지만 햅틱이나 아르고폰을 통한 마케팅의 효과이기도 하다.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 청소년들의 현실을 반영한 탓인지, 아이폰의 기능만으로는 구매 욕구가 높으나 가격등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는 다소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아이폰 도입을 준비하는 KTF의 입장에서 '아이폰'을 바라보는 이러한 사용자의 인식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바라보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무선 인터넷 사용을 하면서 Air를 높여주어야 하는데, '디바이스'로서의 매력만을 보기 때문이다. 아이폰 에코 시스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App Store와 같은 부분은 설문 항목에 빠져 있어서 다소 정확한 결과라고 보여지기는 힘들지만 스마트폰과 노멀폰에 대한 구분이 없는 국내 '무선 인터넷'의 상황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것 같아 조금은 씁쓸하다.


6. 국내 산업의 움직임

KTF의 아이폰 이슈가 터지면서 여러 업체들이 아이폰에 대응 어플을 준비 중이다. 준비하는 곳은 대형 포탈도 있고 모바일 솔루션업체, 서비스 업체, 컨텐츠 업체, 게임 업체 등 다양하다.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범위에서는 '전문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업체가 없는 듯 하다. 국내 전문 어플리케이션 업체라고는 몇개 남아 있지 않으니 당연한 것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컨텐츠나 서비스보다는 전문 어플리케이션이 좀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터라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다.

기존 업체 중 몇몇은 이미 개발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나 아이폰 국내 출시가 불투명해지면서 전략적인 고민을 하고 있다. 일부 업체는 마냥 기다리다가는 선점 효과도 없을 것이라는 판단을 했는지 아이팟 터치용으로만 1차 서비스 런칭을 하였다.

새로운 BM의 업체도 생겨나고 있다. 대표적인 회사가 '모바일 트리거'이다. 이 회사는 아이폰 포팅 센터로서 아이폰 개발이 익숙하지 않은 다른 기업들과 제휴를 통해 다른 플랫폼의 제품을 아이폰용으로 최적화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 기업자체가 생긴지도 안되었고 개인적으로는 아는 기업이 아니다. 하지만 '아이폰' 효과에 편승하여 반짝하는 기업이 아닌 지금까지 국내 존재 이유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해대며 버티던 Mac 전문 개발자들이 이제서야 주목을 받는 것 같아서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런 것을 보면 '아이폰'이라는 기기 하나가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플랫폼을 경험하게 하고, 현재 우리의 위치와 국제적인 경쟁력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침체되어 있는 국내 WAP과 VM 시장 외에도 또하나의 기회요인을 주고 있다라는 점에서 분명 긍정적이다.


7. 갑자기 늘어난 국내 컨퍼런스

mobizen은 지금껏 국내 모바일 산업 종사자들이 이정도로 컨퍼런스를 좋아하는 줄 몰랐다. 얼마전에 풀리긴 했지만 NDA 이슈로 인해 경험해볼수 있는 기회가 적었던 것이 원인인지, 다 같이 모여서 공부하는 것을 여지껏 좋아했는지, 기존 미디어 기업들이 돈 벌 궁리가 없어서 고민하다가 기회가 생긴 것인지... 원인은 모르겠다. 무슨 아이폰과 모바일 플랫폼 컨퍼런스가 일케 많은지 정신이 없다. 2년전의 '모바일 웹 2.0' 컨퍼런스를 보는 느낌이다.

모여서 공부하고 토론하겠다는데 뭐라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만.... 십만원이 훌쩍 넘는 참가비를 내가며 듣는 소리가 뻔한 소리이다. 신문에서 떠드는 것, 블로거들이 떠들고.. 그 소리를 잘 포장해서 애널리스트들이 컨퍼런스에서 떠든다. 모든 컨퍼런스의 이야기는 아래 3줄이 전부이다.

아이폰은 핸드폰이 아닌 에코시스템이다.
Global한 마인드를 가져라.
국내 무선 인터넷 환경도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

한국의 개발자들 역시 반성해야 한다. 컨퍼런스나 교육 과정에서 보여주는 것이라곤 Mac Book에서 XCode 실행해서 Interface Builder 통해서 Relation 적용하고, MVC2 Model과 Objective C 문법 몇개 설명하는게 전부이다. 그런 생소한 플랫폼을 이틀 정도에 다 이해하는 것은 애초에 무리이다. 그걸 보여주는데도 신기해서 "와~와~"를 해대고 있다. 한국 PC 문화 특성상 Mac을 접할 기회가 없는 것은 이해하겠다만 진짜로 New Platform에 대한 관심이 있다면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비슷한 Tutorial을 훌륭한 영상과 설명으로 이미 제공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을 것이다.

그런 시답지 않은(!!!) 컨퍼런스를 주최하는 쪽이야 '아이폰'이 어케 되던 시간이 지나면 다른 이슈로 계속 컨퍼런스 를 진행하면 되겠지만 좁은 국내 모바일 환경에서 벗어나고자 혹시나 해서 가서 뭔가를 얻어보자는 소규모 영세 업체들에게는 '사기'에 가깝다. 여지껏 컨퍼런스에서 아이폰이 에코 시스템인 것을 공부했을테니, 그런 뻔한 소리 말고 국내 업체들이 아이폰의 에코시스템에서 뭘 배울수 있을지 제공해 보기를 바란다.


8. 마치는 글


mobizen 또한 '아이폰'의 국내 출시를 몹시 기다린다. '아이폰'을 통해서 뭔가를 얻어내고 싶어서가 아니라, 시발점이 되어 국내 무선 인터넷 환경에 새로운 기회 요인을 제공하고, 사용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세상으로 안내를 해주기를 바란다. 애플의 에코시스템은 도구이다. 이를 통해 애플이 아닌 국내 모바일 업계가 풍요로워지고, 좀더 발전적인 논의를 해 갈 수 있었으면 한다. '아이폰이 몇대 팔릴 것 같아?'라는 질문은 개인적으로 관심없다.
2008/11/06 08:33 2008/11/06 08:33
Mr.Curiosity

마지막 마치는 글에 많은 공감이 갑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지금 아이폰이 들어와도 디바이스 자체의 성능면으로는 이제 약간은 뒤쳐진 스마트폰이 되기에 더더욱 주저하게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정보에 의하면 3G 아이폰이 아닌 그 다음 세대가 나올때가 그리 멀지 않았다고 합니다.^^)

바라는 것은 그로인한 국내 스마트폰시장의 활성화와 환경의 변화지요.

그런 의미에선 오히려 안드로이드 탑제 폰이 빨리 출시되길 더욱 바래봅니다.

우리나라의 뛰어난 개발자들이 오픈 플랫폼을 발판삼아 세계로 나아갈 기회역시 바래볼 수 있을 테니 말입니다.



p.s. 얼마전 출시한 옴니아폰 국내향이 100만원대라는 소리에 .. OTL

mobizen

맞습니다. 아이폰의 도입으로 스마트폰이 주목을 받고, 그로 인해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풍요로워지는게 중요한 거죠~

옴니아는.... 아무리 생각해도 삼성과 SKT는 백만원 넘는 핸드폰을 만든 것을 자랑스러워 하는 것 같아서 말이죠..

성지인

얼마전 '아이폰 루머 생성기' 라는 걸 보게 되었습니다.
http://danew.net/bin/fun/iPhoneRumourGen.php
마니아들의 작품(?)인 것 같습니다.

저같은 무지랭이의 작은 소망은 아이폰이 스마트폰 대중화에 공헌하여 스마트폰이 널리 퍼졌으면 하는 바람뿐입니다. 아이폰으로 '끝을 보겠다'는 게 아니라 아이폰이 시작이 되었으면 하네요.

덧. 저도 소규모 영세 기업에 있었던지라 '사기' 컨퍼런스 이야기는 가슴이 아프네요. ㅠ_ㅜ

mobizen

'아이폰 루머 생성기' 재미나네요. 저걸로 시간 없을 때 Copy & Paste를 통한 포스팅도 가능하겠는걸요~ ^^

오종혁

저도 마지막 문단에 무척이나 공감이 갑니다.

#1에서 말씀하셨지만 초기수용자 중심으로 아이폰의 이용층이 확산되는 부분도 저는 동의를 합니다.
아이폰이 UI나 포지셔닝 등의 측면에서 여로모로 인지도는 높지만
노멀폰의 수요나 무선인터넷 단말기로서의 성격, 요금제 부담 등의 이슈로 대중적 파괴력이 얼마나 있을지는 조금 자신이 안 생구요.. 그리고 그 특유의 폐쇄성이 아이폰 보급확산 우선대상이 될(?) 초기 수용자들을 통하여 짐이 될 공산이 클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폰이 특별한 단말이 맞긴 하지만.. 아이폰 '만'이 Something Special 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아이폰 출시가 폐쇄적인 환경속에 갖혀있는 한국의 무선인터넷 환경의 변화와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될 기대가 더욱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아이폰을 기다리다 지쳐 최근 아이팟터치를 지르고 열심히 이용0 중에 있는데, 그래 이런 방향이야. 라는 생각이 너무 많이 들더군요! PDA(h2210)와 PDA폰(RW-6100)을 사용 하던 시절의 불편함과 제약요인들을 많이 제거 했다는 생각과, 휴대성의 장점, 입력 처리방식의(생각보다) 편함 등이 꽤나 매력적인 단말기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무선인터넷 서비스 단말로서의 매력은 말 할 필요도 없구요.

아이폰에 대하여 여러 말들이 많은데, 조목 조목 필요한 부분을 끄집어내셔서 이렇게 잘 풀어주심에 너무 잘 읽고 감사드리는 마음에 흔적 남기고 갑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mobizen

사실.. 아이폰에 대해서 할말은 더 많은데.... 너무 까칠해 질 것 같고, 업무랑 연결이 되어 있다보니 조심해야할 요소도 있어서 적당선상에서 마무리 했습니다. ^^

외로운까마귀

KTF도 아이폰을 들여오게 된다면 많이 팔려고 하는게 아니라 단지 애플의 iPhone이라는 효과를 보기 위해서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죠..

mobizen

흐음..... 정말로 솔직한 제 느낌을 말씀드리자면.......
KTF가 그만큼이라도 생각이 있는지 조차도 의심스럽습니다........ 그냥 아무 생각없이 분위기에 떠밀려 하는 것 같아서 말이죠~ ^^

마음으로 찍는 사진

제가 설문 조사 결과를 잘 믿지 않는 편이라서 인지 마지막 모키의 설문조사 결과도 눈에 잘 들어오지 않네요.

다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아이폰(+앱스토어)이 기존의 유통 체계와는 다른 모습으로의 성공 가능성을 보였고, 또한 이로 인해서 여러 유사 사업자(?)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로인해서 국내의 환경에도 조금의 변화가 생겼으면 하는 바램도 있구요.

마지막으로 3편을 통해서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mobizen

마음으로 찍는 사진님 정도의 공력이면 설문의 허와 실, 버려야할 것과 취해야할 것을 구분하실 수 있으면서 괜한 엄살이십니다. ^^
물론, 위의 설문은 "버려야할 것"에 속하죠~ 왜 "버려야 할 것"에 속하는지 아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이상혁

모바일 산업계에 일하면서 아이폰과 구글을 보면 씁쓸해 지네요

아이폰과 구글폰 상당히 혁신적이고 뛰어난 제품과 비지니스 모델을 가졌다고 인정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아이폰,구글폰 신드롬이라고 해야할까요? 광풍이라고 해야할까요? ㅎㅎ
이런 영향이 우리나라에도 피해갈순 없겠죠...

이전까지만 해도 무조건 패쇄적인 서비스만을 고집하고 지향하던 국내 사업자도
아이폰,구글폰으로 인해 많은 변화가 생겼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옴니아를 봐도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제조사가
무선랜을 채택하려하면 데이터 매출 감소를 우려해서 스펙다운을 시킨다던지
제조사가 무선네트워크형 컨텐츠 또는 기능을 못넣게 한다던지....
참 우스운게 많았는데....
많은 변화가 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상혁

참 하나 더 공감하는 부분....

최근에 무슨 세미나가 그렇게 많은지....
너무 유행에 편승해서 그런 세미나를 기획하는지... 하나를 하더라도 내실있는
세미나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mobizen

그러게나 말이죠. 세미나 역시 많이 열악한 환경입니다. 강사비만해도 해외와는 많은 차이가 있죠. 세미나 해도 강사비 안 주는 곳도 많구요. 많은 것이 달라져야 합니다. 리플 감사합니다.

정승채

좋은 자료가 많습니다. ,,간혹 들어와서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모바일트리거 정승채고문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3. 무선 인터넷 사용 행태

아이폰이 새로운 형태의 기기로서 Inovation한 느낌과 그들이 구축해온 BM에 대해서는 인정할 만 하다. 또한 아이폰 사용자들의 무선 인터넷 사용빈도가 매우 높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아이폰이 사용자들의 무선 인터넷 사용 패턴을 바꾸었을까?

아래 보이는 바와 같이 아이폰 사용 행태는 기존 디바이스와 동일하다. 어쩌면 태생이 스마트폰이고,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UI Impact에 초점을 맞추어진 가젯에 이러한 것을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럼에도 볼구하고 개인적으로는 약간 의아하다. 일반 스마트폰이 법인 위주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메일이나 일정관리 등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아이폰은 비즈니스 디바이스라기 보다는 개인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좀 더 가깝다고 여겼는데 예상과는 다른 상이한 조사 결과이다.

이러한 아이폰의 사용행태는 기존 스마트폰에게는 '폭탄'이나 다름이 없다. 애초에 시장이 다소 상이할 것이라 여겼지만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아이폰 내에서 사파리를 이용한 웹메일이나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통해 IMAP이나 pop3 로 메일을 확인하고 보내는 것이 용이해지면서 이메일 사용을 강조했던 기존 스마트폰은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다. 실제 아이폰 구매자 중 아이폰 사용 전의 디바이스를 조사해 보면, 스마트폰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개방과 에코시스템

'에코시스템'이라는 단어가 전방위로 사용되면서 다소 식상한 느낌은 들지만 아이폰을 이야기 하려면 피해갈 수 없는 주제이기도 하다. 애플은 '아이폰'을 단순하게 디바이스로만 머물지 않고 플랫폼을 제공하여 새로운 에코시스템을 구축했다. 그것도 너무나 훌륭하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미지 출처 : http://darmano.typepad.com


에코시스템을 잘 형성했다고 해서 개방되어 있다라는 의미는 아니다. 애플은 애플 특유의 폐쇄상과 도도함으로 또 하나의 'Walled Garden'을 형성하였다. 사실 'Walled Garden' 자체가 비난 받아야 할 이유는 없다. 애플의 주도 하에 모든 것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관성을 띄고 있으며, App Store의 어플도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보안의 경우도 일차적인 검증을 이루어 진다. 하지만 모든 것을 애플이 관리하기 때문에 철저한 시장 논리가 적용된다. 포팅 이슈나 운영이 비교적 쉽고, 시장이 큰 북미나 유럽 등에는 적용이 쉽지만, 상대적으로 시장이 작은 국내의 경우에는 항상 관심 밖이 되어버리고 만다. 완전 개방형이면 시장이 작더라도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이 주도하여 시장을 만들어 낼 수 있는데 그러한 기회를 원천적으로 막고 있는 것이다. 비난 할 수는 없지만 아쉬움을 토로할 수는 있는 포인트이다.

또한 저 독불장군처럼 버티는 새로운 에코시스템이 크고(Big), 신선하다(Fresh)는 점에는 이견이 없지만 정말로 모든 이들에게 윤택한 환경을 제공하고 원할한 흐름을 보여주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실제, 미국내 아이폰의 독점 계약으로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었던 AT&T의 경우는 이번 분기(2008년 3분기) 실적 발표 후 양호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6%나 하락하였다. 애플 3G아이폰 판매가 과다한 보조급 지급으로 AT&T의 별 이익이 될 게 없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과연 애플의 에코시스템은 모두에게 윤택한 먹이를 제공해주는 것일까?
2008/11/05 11:13 2008/11/05 11:13

안녕하세요, 당당입니다. 오늘은 좀 유식한 척으로 시작해볼까 합니다. 마르크스는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고 말했습니다. -_-v 그리고 최근 국내에서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돌고 있으..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 들어가는 글

현재 모바일 산업에서 태풍의 핵으로 자리잡고 있는 '아이폰' 이야기를 되도록이면 하지 않고 있다.남의 잔치에 자기 기운 빠지는 줄은 모르고 장단에만 맞추어 춤추는 바보같은 느낌도 들었는데, 사실은 그만큼 애플의 전략과 그로 인한 사용자의 반응을 예상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리라.

시간이 꽤 흐른 지금의 상황을 보아도 다 아직까지 그만그만한 이야기로 돌고 돌며, 십만원이 훌쩍 넘는 컨퍼런스에 가봐야 기존 미디어나 보고서 이상의 이야기를 해주는 곳도 없다. 간혹은 '애플' 이란 마법사의 마법에 너무 빠져 있어 현실을 넘어선 파라다이스로 보는 이들도 있는 것 같아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아이폰 이야기를 시리즈로 해보려고 한다. 다소 민감한 주제인지라 어느선까지 건드려야 할지 다소 고민스럽지만,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도움을 구해본다.

"아이폰은 UI Impact이고, 기존 폰의 작은 LCD와 입력 장치의 한계를 넘어서고, App Store를 통한 에코시스템 어쩌고저쩌고..." 하는 이야기들은 다른 보고서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이번 시리즈는 아이폰에 대한 다른 시각을 중심으로 이야기 하기 때문에 그렇게 익히 알려진 이야기나 통계는 언급하지 않을 계획이다. 아이폰의 업적을 평가절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빼는 것이 아니니 오해 없기를 바란다.


2. 아이폰 사용자 구성

아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구성에 대한 이해는 아이폰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과 더불어 그 시장을 활용해야 하는 사업자들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이폰이 단순한 얼리 아답터 성향의 기기인지, 대중적으로 확장되어 성공한 기기인지 'RUBICON'의 'A Study of iPhone users' 보고서를 기초로 알아보도록 하자.


2.1. 아이폰 사용자들은 애플 매니아

바다 건너 저 멀리 미국에서는 아이폰을 사기 위해서 몇시간을 줄 서있고, 심지어 E-Bay는 대신 줄 서서 아이폰을 사주는 알바로 $5,000을 받는 등의 진풍경이 벌어졌다. 과연 모든 미국 사용자들이 그만큼 아이폰에 열광을 했을까? Mac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아이폰이 그만큼 강력한 Needs를 주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은 아이폰의 탄생 전부터 항상 논의되었던 것이다. 아이폰이 과연 애플의 시장을 넓히는데 일조를 할 것인가? 단순히 기존 애플 사용자들에게만 판매될 것인가는 애플 대중화의 핵심 포인트이다. 그리고 실제 시장 조사를 해본 결과 애플 기기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용자는 26%에 불과하였다. Mac이나 iPod를 통해서 애플의 시스템과 UI등에 익숙한 사용자들의 아이폰 선호도가 높은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이러한 시장 조사 결과는 당연한 것이다. 아이폰과 같이 기존 시장의 흐름을 깬 새로운 기기는 기기의 성능이나 편리성과 무관하게 유사한 환경을 접하지 못한 무경험자들은 쉽게 구매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시장의 관심을 한눈에 받는 기기라면 이러한 기존 트렌드를 깨는 것이 맞지 않을까?


2.2. 아이폰은 대중적인가?

앞서 이야기 했듯이 시장을 앞서나가는 기기들은 얼리 아답터들을 대상으로 할 수 밖에 없다. 아이폰이 단순한 Device 였다면 이러한 일반적인 룰들이 적용된는 것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처럼 유통 채널인 App Store가 주목을 받고, 모바일 에코 시스템의 구축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는 아이폰이라면 기존 기기와 틀려야 하지 않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폰의 사용자들이 어린 학생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바이지만, 신기술 습득에 관심이 많은 얼리 아답터 중심이라는 것은 아이폰도 어쩔 수 없다. 또한, 미국의 경우 아이폰 사용자의 평균 수입이 미국 전체 평균 수입보다 40% 정도가 높다는 것도 일반적인 얼리아답터 적인 사용자 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증명해 주고 있다.


2.3. 아이폰 고객은 동지이면서 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플은 얼마전 분기실적 발표에서 2008년 4분기 동안 약 689만대의 아이폰을 판매했다고 발표하였다. 2007년 3분기부터의 누적을 보면 지금까지 약 1300만대 가량의 아이폰을 판매한 셈이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룰을 깨지 못하고 Mac 환경에 친화적인 얼리 아답터라는 다소 넓지 않는 대상을 판매로 이러한 성적표를 보여주었다는 것은 경이롭고 IT 역사에 기록할만한 점이다.

이러한 사용자층은 애플뿐만 아니라 IT 산업 전체에 대한 이해도가 무척 높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애플의 가장 큰 동지이면서 언제 적으로 돌변할 수 있을지 모르는 사용자라고 할 수 있겠다. 대표적인 것은 운영 정책에 있는데, 애플 매니아들의 경우는 지금까지의 애플의 폐쇄적인 정책에 매우 익숙해 있겠지만 자유분방한 서비스 친화적인 사용자들이 App Store에 관심을 가지면서 점차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야 애플이라는 회사에 대한 신뢰와 기기 자체에 대한 우수성 때문에 App Store의 장점만 이야기 됐지만 Android와 Symabin 등 대체 제품들이 등장하면서 어떤 양상이 될지 아무도 짐작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지금까지 애플 기기를 접해보지 못한 mobizen이 겪은 아이폰 운영 정책은 너무 폐쇄적이라는 것이고, 이러한 폐쇄성이 예전 PC 시장을 열어 놓고, 스스로 minor로 내려가는 길을 택한 Mac의 History를 자꾸 떠올리게 한다는 것이다. 과연 아이폰 역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모바일 웹 서비스 발전은 초석만 마련해 놓고 다시금 minor 로 내려갈 것인가?

2008/11/03 08:24 2008/11/03 08:24

주간 블로고스피어 리포트 97호 - 2008년 11월 1주 주요 블로깅 : 스티브발머 MS CEO, “향후 10년, IT와 타 산업 결합된 혁신의 시대” : 지난 주에 스티브 발머 MS 회장 방한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

떵꺼리

이번에 다음-구글 위젯 컨퍼런스에 다녀왔는데 거기서 안드로이드를 추천하더군요.
애플은 아이폰 하나이지만 안드로이드는 여기저기 다 들어간다면서요 ^^
애플이 이대로 가면 마이너로 간다에 몰표 하겠습니다. ;)

mobizen

이대로 간다면 힘든 것에 매우 동감합니다. 애플의 최종 고지가 App Store를 통한 아이폰 활성화라면 변화하겠지만, 그들은 좀 더 큰 것을 노리는 것 같아서 아마 변화하기 힘들거라고 봅니다. 그 무성의한 로컬화만 보아도... ^^

drzekil

아이폰 유저가 애플 매니아라는데에는 좀 찬성하기 힘드네요..
아이팟만 사용하는 유저까지 애플 매니아라고 하긴 좀 그렇지 않나요..
이미 아이팟의 시장 점유율은 70%에 육박합니다..
아이팟은 mp3p의 다른 호칭으로 사용되는정도라고 하더군요..
그런점을 감안하여 볼때 아이팟을 접해보지 않은 유저가 얼마나 될까요..

다른부분들은 어느정도 이해가 가네요..^^

mobizen

drzekil님 리플 감사합니다.

어떠한 자료를 보아도 해석에는 자의가 들어가게 마련이니깐요 ^^ 여튼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의 경우도 아이폰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의 대다수가 아이팟도 소유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확한 수치는 생각나지 않지만 미국의 경우 1/3, 일본의 경우 2/3라고 어렴풋이 기억이 납니다. 아이팟이 애플기기가 아닌 그저 mp3p의 다른 호칭이라면 아이팟의 대다수 기능을 포함하는 아이폰을 구매하면서 아이팟을 왜 같이 들고 다니는지에 대한 개인적인 궁금증은 일어납니다... 이 역시 해석하기 나름이겠지요?

성지인

잘 봤습니다. 내용을 조금 극단적으로 해석하자면

'사실은 이런 방식으로 성공을 거두기는 굉장히 어려운데,
애플이니까 가능했던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그들의 방식에 대한 위험성은 잠재되어있다'

정도로 읽을 수 있을까요?

'아이폰 이용자들의 apple 기기 사용 경험 비율'은 충격적이네요. 저는 이 부분이 가장 큰 risk로 읽히네요.

마지막 부분, 얼리어덥터 혹은 가젯에 민감한 계층의 소비 양태에 대해서는 쉽게 이야기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을 것 같기도 합니다. '불만을 제시하는 고객의 비율'이라던지 '불만을 제시하는 고객의 요구를 수용했을 때의 충성도 변화' 등과 같은 일부 연구에서는, 이렇게 노이즈를 많이 만들어내는 고객의 수를 좋은 현상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물론 고객의 요구를 잘 수용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긴 합니다만)

물론 이런 정도의 작은 변수(고객 성향에 대한)는 쓰신 글의 맥락에서 전혀 지장이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애플의 고객 집단의 충성도라는 게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는 이야기는 맥락상 충분히 언급하고 의미있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좋은 글 읽고 맨입으로 가려니 민망하여 전혀 다른 이야기 하나 살짝 걸쳐봤습니다 ^^;;;
다음 편(#3)도 많이 기대하고 있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이미 언론 보도를 통해서 소개가 되었지만 개인적인 기록을 위해 포스팅을 한다. 작년에 이어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2008년 무선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작년 포스팅에서도 국내 사용자들의 무선 인터넷 사용도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객관적인 자료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별반 특별한 내용이 없는 자료이기도 하다. 그것은 이 보고서 자체가 새로운 것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현재 사용 실태(Fact)만을 전달하는데 그쳐, 해년마다 비슷비슷한 수치로 새로운 것이 없기 때문이다. 새로운 사실을 얻는 것보다는 기존의 정보를 재확인하는 정도로 확인하면 된다. 아래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공식 보도 자료이다.

- 국민의 52.5%가 최근 1년 내 무선인터넷 이용, 20대 이하 3G폰 이용자의 무선인터넷 이용률 87.8% -

  20대 이하의 젊은 연령층이 우리나라 무선인터넷이용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실시한 “2008년 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 이하 연령층의 최근 1년 이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80%를 상회하며 타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만12-19세 80.1%, 20대 83.0%, 30대 55.9%, 40대 33.0%, 50대 14.2%).[요약보고서 4페이지]

  특히, 20대 이하 3G폰 이용자가 2G폰 이용자에 비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고(3G폰 이용자 87.8%, 2G폰 이용자 81.8%),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빈도(3G폰 이용자 주평균 3.1회, 2G폰 이용자 주평균 2.1회) 및 이용시간(3G폰 이용자 1회 접속시 평균 9.3분, 2G폰 이용자 1회 접속시 평균 7.5분)도 상대적으로 많아 2G폰보다 3G폰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요약보고서 18, 19페이지]
  한편, 2008년 9월 현재 만12-59세 국민의 52.5%가 최근 1년 이내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무선랜 및 초고속무선인터넷(HSDPA/와이브로) 가운데 하나 이상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표본오차: ±1.79%p, 95% 신뢰수준)[요약보고서 3페이지]

  남성의 무선인터넷 이용률은 54.9%, 여성은 50.1%로 전년대비 각각 5.4%p와 4.2%p 증가했으며, 직업별로는 학생이 81.0%(전년대비 3.5%p 증가)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무직(66.0%, 전년대비 2.8%p 증가), 전문/관리직(50.2%, 전년대비 1.1%p 증가) 등의 순이었다. 서비스/판매직과 주부의 경우, 무선인터넷 이용률(각각 42.6%, 34.5%)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으나 상대적으로 큰 이용률 증가폭(각각 9.6%p, 6.3%p)을 보였다.[요약보고서 4, 5페이지]

  서비스 유형별 무선인터넷 이용률은,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이 50.6%로 가장 높았으며, 무선랜 및 초고속무선인터넷 이용률은 각각 7.7%와 2.6%로 상대적으로 낮았다.[요약보고서 3페이지]

  무선인터넷 이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84.9%가 ‘폰꾸미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MMS, 이메일, 블로그 등) 및 여가활동(음악, 모바일게임 등)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각각 70.6%와 59.9%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이동중인 교통수단 안(72.5%)’이나 ‘실외장소(53.5%)’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장소에 관계없이 인터넷 이용이 가능(77.1%)’하고 ‘필요시 즉시 인터넷을 이용(63.4%)’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요약보고서 8-10페이지]

  한편, 만12-59세 국민의 3분의 2 이상인 71.0%가 무선인터넷 이용 의향을 보인 가운데, 현재 무선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95.5%)이 계속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남성 및 연령층이 낮을수록 무선인터넷 이용 의향이 높았으며, 유형별로는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의향이 63.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초고속무선인터넷 36.3%, 무선랜 35.7%의 순이었다.[요약보고서 17페이지]

  한국인터넷진흥원 박승규 원장은 “무선인터넷 이용이 새로운 기술의 적극적 수용계층이라 볼 수 있는 20대 이하 젊은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모바일 컨버?? 편리하게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각계각층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작년 자료를 구태여 다운받아서 비교할 필요가 없다. 문서에서 작년 수치와 일일이 비교해서 보여주고 있기때문이다.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이 문서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을 언급하라면 첫번째는 무선 인터넷 이용장소이다. 예전에는 가정과 직장이 가장 많았는데, 언제부터인가 '모바일'스럽게 바뀌고 있다. 이동성이 강조되는 디바이스를 이동중에 쓴다는 것은 당연하기도 하고, 다행스럽기도 하다. Local 서비스 등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점차 만들어 지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는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폰꾸미기가 1위로 나온 것은 사실 개인적으로 의외이다. 아마, 응답자의 대부분이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항목이 아닌 한번이상 사용한 서비스에 대한 응답을 해서라고 예측할 뿐이다.

MMS(SMS 포함)는 워낙 앞서가는 내용이니 제외하면, 역시 음악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컨텐츠가 무선 인터넷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사항만 봐도, 모바일은 아직까지는 정보 습득 디바이스로는 포지셔닝을 하지 못했다는 것과 무선 컨텐츠의 연령대가 무척 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나마 30%를 차지하고 있는 '정보 검색' 영역(2007년은 25.6%)은 현재 WAP 서비스에서는 성장 한계가 이제 다 온 듯 보인다. 풀브라우징이나 LBS와 연동해야 Web과 같은 기본 서비스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부분은 대분류를 작년과는 상이하게 구분하는 바람에 해당 정보를 통해서 작년과 단순 비교하는 것은 어렵게 되어 버렸다. 기타 사항은 문서를 참조하면 될 듯하다. 해당 문서는 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으며 급하게 필요하신 분은 아래에서 다운 받으면 된다.


2008/10/31 08:24 2008/10/31 08:24

새삼스러운 얘기도 아니지만, 어제 SKT의 불공정 행위 관련 기사를 보면 아직도 거대 1위 기업의 속좁음과 치졸함이 우리 나라 IT 산업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단 생각에 한숨 밖에 안 나온다.[참..

wizArD

이거 보고 마땅히 답글달 시점을 놓쳐서 고민했는데, 글을 쓰다가 허락없이 링크를 걸게 되어 트랙백 하나 걸었습니다~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과 함께 성장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Mobile Marketing Guideline에 대해서는 아래 두번의 포스팅으로 앞서 소개한 적이 있다.

Mobile Marketing Guideline
Mobile Marketing Guideline 업데이트 소식

Mobile Marketing Guideline 문서가 얼마전에 또 업데이트가 되었다. 새로 추가된 주요 항목은 아래와 같다.

Multimedia Messaging (MMS):
- Revised the MMS Ad Unit and Aspect Ratio recommendations
- Updated the Audio Formats best practices
- Revised the Size recommendations

Mobile Video and TV:
- Ad Units
- Aspect Ratios

Mobile Web:
- Added recommendation on automatic resizing of Mobile Web banner ads

13 페이지 초간단 문서이지만 모바일 마케팅을 비롯한 모바일 웹 서비스에서 유의해야할 요소들에 대해서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가볍게 한번씩 읽어보기를 권한다. 간략한 정리 위주의 문서이므로 모바일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분에게는 맞지 않는다.

최신 버전은 http://mmaglobal.com/bestpractices.pdf 에서 받을 수 있고, 자료 보존을 위해 오늘자(2008년 10월 31일) 버전을 이곳에 올려본다.




2008/10/31 01:48 2008/10/31 01:48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금주에 국내 이통사들의 2008년도 3분기 실적 발표가 있었다. 이번 분기는 지난 2분기 마케팅 비용의 출혈로 인한 비판을 의식했고, 계절적인 특성이 작용하면서 크나큰 이슈없이 외형적으로 조용히 지난 느낌이다. 하지만 속내는 연말 연시가 있는 4분기를 준비하고, 전략폰과 모바일 플랫폼의 투자, 차세대 서비스 준비 등을 소리없이 준비하느라 분주해 있다. 이번 분기때 준비하는 것들은 대부분 중장기적인 전략이어서 실제 시장에 나오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이통사의 가입자 기반 시장 점유율은 큰 변동은 없으나 SKT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50.5%를 간신히 턱걸이를 하고 있다. 전분기 대비해서 0.1%가 감소되어 약간은 위기감을 느껴야 할 때가 된 듯 보인다.

마케팅비 지출을 3사 모두 감소한 탓으로 순증 가입자가 모두 적은 편이다. 3사 모두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 성적표를 받았으니, 제자리를 찾은 건지 계절적인 특성으로 시장 전체가 조용한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마케팅 비용을 줄였다고 하는데 어느정도나 좌중했는지 한번 비교를 해보자.

3사 모두 마케팅비용을 전분기 대비 큰폭으로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KT의 경우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되었다. 이는 망내 할인 가입자가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음성 시장의 수익성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전분기대비 마케팅 비용을 전기대비 -32.5%라는 큰 폭으로 줄이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다. LGT는 전분기보다 29.5% 늘어난 12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ARPU는 어떤 상황일까? SKT는 역시나 전분기 대비 -2% 감소하는 수치인 42,393원을 보여주었고, KTF는 가입비 및 접속료 포함 기준으로 40,104원을 기록했다. 역시나 전분기보다 약간 감소한 수치다. LGT 또한 34,418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4% , 전분기대비로는 2.2% 감소했다. 이렇듯 마케팅비 지출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통사별 ARPU가 모두 감소한 것은 계절적 요인과 함께망내무료통화요금제 및 가족할인, 등 할인요금 가입자 증가가 큰 역할을 한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 모바일 데이터 매출은 전체의 20%'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굴욕적인 무선 인터넷도 알아보자. SKT의 무선인터넷 매출은 6190억원으로 올 1월부터 단행한 SMS 요금 33% 인하의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11.6% 감소했다. 그러나 데이터정액제 가입자 수의 증가 등으로 전분기 대비로는 3.1% 증가했다.

KTF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18.2%, 직전분기 대비로도 3.6% 증가한 2,354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SHOW 누적 가입자는 당 분기 109만 명이 증가하여 741만 명을 달성하였는데 무선 ARPU의 증가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풀이된다.

LGT도 SMS요금할인의 매출감소 요인에도 불구하고 모바일인터넷서비스 OZ가입자 증가 등에 따라 전분기대비 0.6%, 전년동기대비 7.5% 증가한 806억 원을 달성했다. OZ 서비스는 지난 4월 런칭한 이후 이달 28일 기준으로 40만명을 동파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분기의 무선 인터넷 관련한 매출 총액은 9,350억원이다. 다행히도 전분기에 비해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재미난 것은 통신사별 무선 인터넷 점유율이 지난 분기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다들 비슷비슷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호재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40만명이나 돌파했다는 LGT의 OZ가 풀브라우징외에 별다른 후속 서비스도, 후속 단말도 소식이 없는 것은 치명적이다. 이러한 LGT의 뒷심없는 행보 덕분에 SKT, KTF가 풀브라우징 서비스 런칭에 고심을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의 양대 이동통신사업자인 AT&T와 버라이즌 역시 얼마전에 분기 실적 발표를 했다. '아이폰'의 폭발적인 인기를 바탕으로 하는 AT&T의 순이익은 전년도 동기 대비 4.1% 성장하였고, 버라이즌은 5% 성장하였다. 시장의 반응은 주식 시장에 가장 빠르게 나타나는데, AT&T보다는 버라이즌의 손을 들어준 듯 하다. AT&T는 성장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6%나 하락하였고, 버라이즌은 10%가 급등하였다. 이는 '아이폰'이라는 한개의 킬러 단말에 의존한 AT&T보다는 다양한 라인업과 요금제를 가지고 시장을 공략한 버라이즌의 전략이 더 주효한 것이라고 단기적(!)으로 풀이된다. 실제 버라이즌의 3분기 단말 라인업 중 30%는 다양한 스마트폰이다.

1분기의 성적표를 가지고 일반화하는 것은 위험하지만 이번 버라이즌의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많다. 다행인 것은 국내도 이통사와 벤더들이 각자 독자적인 모바일 플랫폼과 서비스에 투자를 시작하고 있고, SKT는 노키아와 HTC, KTF는 아이폰, LGT는 안드로이드폰의 국내 진출을 시작으로 다양한 외산 단말과 스마트폰의 지원을 계획 중에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전향적인 이통사들의 전략이 WIPI 폐지 문제 등으로 인한 Delay Time과 장기전략이라는 점에서 2008년 4분기에 영향을 받기는 힘들어 보인다.
2008/10/30 08:21 2008/10/30 08:21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Customization과 Personalization는 실제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획자나 개발자들 사이에는 동일한 단어로 취급이 되고 있고, 일부 마케팅에서나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보고서나 논문, 심지어 Wikipedia 에서도 두가지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지 않고 서로를 참조하고 있다. 하지만, '맞춤 서비스'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이 용어를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좀 더 디테일하게 다른 방향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을 듯 하다.

Customization은 '소비자가 직접 또는 생산자가 소비자의 주문을 통하여 특정 제품을 자기 입맛에 따라 바꾸는 것'을 말하며, Personalization은 '소비자의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제품의 배치를 다르게 생산해 내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하자면, Customization은 소비자가 제품을 '설정'을 해야하고, Personalization은 소비자가 제품을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본 포스팅에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현재 서비스는 Customization에만 치우쳐 있다는 것이다. 사진을 찍어 핸드폰의 바탕화면에 설정을 하고,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 벨소리로 설정을 한다. 위젯 솔루션 역시 자유도를 자랑하며 사용자의 입맛에 따라 원하는 컨텐츠를 배치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Mformation Technologies, Inc.에서 얼마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80%의 응답자가 좀더 Customization되어 있으면 모바일서비스를 사용하겠다고 답을 했다. 또한 67%의 응답자는 모바일 단말이나 어플리케이션이 Customization 될 수 있다면, 지불의 의사도 있다고 했다. 반대로 68%의 응답자는 모바일 단말을 구입할 때 한번도 사용하지 않을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고, 그로 인해 단말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답을 했다.(원 보고서에서는 Personalization이라고 했으나 문맥상 Customization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대부분의 Customization를 적용한 서비스들은 실패하였다. 이유는 매우 단순하다. 고객은 무척 게으르기 때문이다. Customization은 자유도가 높아서 사용자의 선호가 무척 높을 것이라 예상하고 사용자 설문조사를 해도 위 보고서와 같이 사용자들의 호응도 무척 높다. 하지만 '설정'을 해야하는 Customization의 특성상 자유도는 진입장벽으로 변신을 해버리고 만다.

이제는 Customization이 아닌 Personalization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때론, Customization이 적용되어야 할 서비스와 Personalization이 적용되어야 할 서비스는 구분되지만 Personalization에 대한 접근에 대한 고려가 적은 것이 문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그림은 Pontis의 마케팅 자료를 기반으로 Personalization에 맞게 재구성해 본 것이다. 서비스의 Personalization에서 Segment, Discount, Recommendation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말할 수 있으며, Personalizatio이 성공적으로 실행될 때 Revenue, Usage, Click ratio가 증가하며 이들이 순환하여 시장을 풍요롭게 한다.

최근 가장 주목받는 서비스인 'yelp'가 Personalization를 적용하여 성공한 좋은 사례이다. 흔하고 흔한 맛집 정보를 주요 컨텐츠로 한 'yelp' 가 성공한 것은 위의 세가지 요소 중 Segment, Recommendation을 잘 활용하고 이런 시스템을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배치한 것이 주효한 것이다.

아래 붉은색 영역이 그러한 요소인데, 단순히 고객 Profiling 시스템을 통해서 비슷한 취향의 다른 사용자가 추천한 식당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추천한 다른 사용자들의 기본 정보, 그 사용자가 준 평균 평점 등의 정보를 한눈에 볼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직까지 국내 모바일에서는 Personalization를 모바일 광고나 마케팅에서만 극히 부분적으로만 접근하고 있다.  최근 국내 모바일 포탈에서 컬러링 하나를 설정하면 해당 곡의 벨소리나 뮤직비디오를 할인(Discount)하여 제공해준다. 이러한 시도는 무척 좋은 시도이지만 시스템만큼 중요한 것은 보다 정교한 Profiling 이다. 이러한 Profiling은 한순간에 얻어지는 것이 아니며, 장기간에 걸쳐서 다양한 Segment를 통해 단계별로 얻어내어야 한다. 실제로 이런 Personalization에 의한 할인은 단품보다는 묶음(Package)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가 음악을 설정하는 순간 과거 다운로드 히스토리를 기준으로 하여 선호하는 음악의 묶음을 저가로 제시한다면 사용자들은 한번쯤 고민을 할것이고, 일부는 구매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지금처럼 이러한 정보를 이통사와 일부 에이전시만이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유하여 시장이 활성화될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서비스 개발자 역시 이러한 용어를 단순한 마케팅 용어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yelp'와 같이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는 요소를 찾아야 한다. Customization과 Personalization가 마음껏 나래를 펼칠 수 있는 플랫폼은 무수히 많으며, 가장 개인화된 기기라고 불리우는 모바일이 그 중에 으뜸이다. SNS나 LBS 처럼 기존 서비스에 적용하기 쉬운 요소는 아니지만, 신규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획자라면 Personalization을 꼭 한번 생각해 보기를 바란다.

2008/10/29 08:14 2008/10/29 08:14
EsBee

오호..customization과 personalization의 의미가 다른 것이었군요

mobizen

네.. 목표는 동일하지만 접근방법이 약간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

빨빤

기획서 만들거나 컨셉 PT 할때 저도 customization 과 personalization 을 구분해야한다고 했습니다만
둘의 의미가 왜 달라? 라고 말할때 참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더군요.
개인적으로는 개인의 자유도에 집중을 하느냐, 개인의 성향의 근본적인 부분에 집중하느냐의 차이라고 보는데 좀 더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

mobizen

빨빤님은 제 성향을 어느 정도 아시겠지만 전 단어의 원뜻이나 차이점등을 주저리 떠드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습니다. 제가 포스팅에서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두 단어의 차이점이 아니라 고객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접근법이 조금 달라져야 하며, Profiling System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것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일반인들에게 둘 차이를 아무리 설명해봐야 피곤한 일이죠... 그냥 저희들끼리 이야기 할 때 구분해야 하는 것이고, 일반인에게는 '개인화'라는 동일한 단어로 접근하는게 편한 듯 해요. 업계에 있는 사람이 두단어의 차이를 이해 못한다면 좀 곤란한 일이겠지만요~ ^^

날씨가 많이 추워졌습니다. 건강 유의하세요...

어나니머스

프로파일링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 동감합니다. 오랜만입니다.~_~

mobizen

저도 요즘 바빠서 정신이 없답니다. 간만에 흔적은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

hansang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대학원 논문을 이 주제로 작성하고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mobizen

도움이 되신다면 저의 즐거움입니다.. ^^

happysphere

좋은 글 감사합니다. 딱 찾고 있던 개념이었습니다!

Brentmo

명확한 설명 감사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xyz

personalization과 customization의 구분은 덕분에 잘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사례로 든 yelp가 어떻게 personalization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른 사용자의 기본정보나 평균평점을 한눈에 보여주는 것이 personalization인가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LBS라는 이름이 말해주듯이 LBS 자체만으로는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전형적인 플랫폼으로 탄생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흡수하고 있다. ABIResearch가 최근에 내어놓은 자료에서도 'Location Based Platforms' 이라고 지칭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전체 시장 규모가  $2.2 billion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실 태생 자체가 플랫폼인 LBS는 시장 규모 자체를 환산하기가 쉽지가 않다.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녹아들어가 있는 LBS만의 이윤을 따로 계산하는게 어렵기 때문이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LBS infrastructure licensing revenue' 에 대한 것을 기본으로 집계하였고, 2008년 현재에는 이러한 LBS 시장 규모는 $111 million 으로 알려져 있다. 위 도표 중에 MLC는 Mobile Location Centre의 약자로 LBS에서 Mobile의 중요성과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플랫폼으로서의 LBS의 현재 상황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정리를 해보자. 사물이나 사람,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얻어내는 방법은 다양하다. 위 보고서에서 주로 언급하는 장비를 통한 위치 계산 법으로는 A GPS(Assisted Global Position Service), LBS(Location-Based Service), RTLS(Real-Time Location System) 등이 있다. 이 외에도 IP Address를 DB화하여 대략적인 위치를 얻어내는 방법과 사용자 Geo Tag 입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 또한 유선 Web 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발전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분류를 해보자면 기본적인 지도서비스(Map), 위치 기반 검색(Search), SNS와 친구찾기, 사진이나 동영상을 공유하는 PCD(Personal Contents Distribution), 여행 정보(Travel), 근처 레스토랑, 영화관, 관공서 위치 정보(Circuference Information), 버스나 지하철등의 대중교통 정보(Transportation),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날씨나 지역 뉴스(Local Information) 등으로 구분된다.

LBS가 초점이 되는 분야는 당연히 '모바일 서비스' 이며, 향후 모바일 서비스의 근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LBS에 반드시 Visual 적인 요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 Impact 측면에서 좋은 도구로 선택이 되는데, 모바일 서비스와 맞물려서 '지도'가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대형 포탈들이 모바일 지도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참고 기사 : 포털 ‘지도전쟁’ 왜?

마침 STRABASE에서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여 iPhone 응용 프로그램을 정리한 자료가 있어서 해당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위의 카테고리로 재구성을 해보았다. 아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다. 위치 기반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씩 다운 받아서 해보기를 바란다. 다만, 일부 프로그램은 위치 기반이라는 특성상 아이폰 전용으로 터치에서는 안보이는 어플이 종종 있으니, 검색을 통하여 간접 경험을 해보기를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본 포스팅에서 LBS는 위치 기반 서비스라는 광의적인 의미와 이동통신 기계에서 위치를 얻어오는 기술적인 의미로 혼용해서 쓰고 있으나 이 블로그를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이 둘을 구분할 줄로 예상하여,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2008/10/28 08:11 2008/10/28 08:11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OS에 평소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MenuetOS는 한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해당 OS는 1.44 MB 플로피 디스켓 한장에 들어가는 GUI OS 프로젝트이다. 2005년 6월부터 시작된 해당 프로젝트는 계속된 업데이트를 통해서 2008년 10월 20일 현재까지 0.89C 버전까지 홈페이지에 공개되어 있다. 다운로드 하여 부팅을 해보면, 그 조그마한 용량에 파일시스템 관리, 메모리 관리 뿐만 아니라 GUI 환경의 Windows 까지 제공하고 있다. 보다 눈여겨 볼 것은 OS외에도 기본적인 시스템 유틸리티, 개발툴, 인터넷 클라이언트, 인터넷 서버,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게임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같이 제공한다는 것이다.

현재, 수많은 미디어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는 모바일 OS나 모바일 플랫폼은 단순한 OS 커널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1.44 MB의 초소형 OS도 그러하듯 모바일 플랫폼 또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개발툴, 그리고 유통 채널,서비스 채널까지 모두 패키지화되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차세대 IT 서비스의 헤게모니를 쥐고 싶어하는 대형업체들의 모바일 플랫폼 애정은 식을 줄을 모르고, 시장의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애플의 성공적인 데뷔와 얼마전 상용화된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이러한 전쟁에 기름을 부었다.

현재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주요 요소는 OS, 개발툴, 브라우저, 서비스 채널, 유통 채널 등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심비안, iPhone, 안드로이드를 위의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아래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다. 한눈에 그들의 자산과 장단점이 보일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기적으로 중요한 것은 유통 채널이 될 것이나 장기적으로는 서비스 채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모든 서비스가 그러하 듯이 시스템이 주는 시장의 Impact는 초반에 강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드러나는 것은 운영이다. 이러한 운영의 주요 키워드가 '개방'인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애플의 아이폰을 접해본 경험으로는 아이폰의 디바이스는 무척 훌륭하며, 개발툴과 브라우저의 안정성 또한 무척 높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애플의 페쇄성은 초반의 시장 Impact를 주는 것이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을 가지게 하고 있다. PC 시장에서 IBM에 주도권을 빼겼던 절차를 다시 밟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최근 NDA를 무효화하는 등의 예전보다는 점차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아직 한참은 멀어보인다. 현대는 독재자가 살아남기에는 너무 복잡한 세상이다.
2008/10/27 07:49 2008/10/27 07:49
오종혁

개방 이라는 키워드는 정말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인 것 같습니다.
한국도 좀 더 그렇게 변했으면 좋겠는데..
Walled Garden을 위시로한 현실들이 참 답답하게 하곤 하네요.. 폐쇄성은 답은 아닌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리하신 표 잘 보았습니다. 머리속에서 맴돌던 개념들이 깔끔하게 정리 되네요^^;
그런데 클라우딩컴퓨팅에서 안드로이드 부분.. 혹시 Googole 이 오타.. 인듯 합니다만..?^^;;

mobizen

거스를 수 없는 대세를 거스리고 싶은 이들이 있으니 문제가 되는 거겠죠. 차차 좋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오타 지적 감사합니다. ^^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말씀하신대로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마음으로 찍는 사진

요즘 아이팟 터치에 푹빠져 사느라 생각의 중심이 애플쪽에 많이 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다양한 스마트폰과 PDA를 만져 보았지만, 그리 마음을 빼앗겨 본적은 없는데요. 이번에는 조금 다른 듯 합니다. 뭔가 무시 못할 매력이 숨어 있는 것 같아서요.

아무튼 2009년에는 정말 재미 있는 Gadget 들을 만져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mobizen

조만간 와이브로 수신기가 나오는데, 와이파이에 묶여있는 아이팟에다가 날개를 달아주는 모양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아이폰은 전화 수신율도 떨어지고, 제 경우에는 그립감이나 무게 등이 아이팟보다 더 안 좋더군요. 굳이 아이폰이 아니더라도 아이팟만으로도 뭔가를 해볼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시장이 작은 것은 인정해야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