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VGA 터치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고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 사진을 찍으면 저장되어 반대쪽 영역에 Display 된다.
투명 영역은 오직 카메라 모듈을 위해서 존재하는 영역이며 평소때는 전혀 필요가 없다.

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이때, CP 에게 곡 사용권을 제공한 권리자와 CP 사이에서도 과금배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저작권 및 실연권의 경우 벨소리 한건당 저작권료 8% 등으로 정해진 비율을 적용하고, 저작인접권료는 주로 가수가 소속된 기획사와의 협상을 통해 체결된다. 벨소리 서비스 업체들은 에이전시를 두고 기획사와 원음사용에 대한 계약을 맺고 있으며 서비스 요금부분은 5:5로 분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요 근래 Web 2.0 서비스들은(UCC Base와 SNS 서비스를 제외를 하고) 이미 실패한 PIMS, Calendar, 업무 공유, 개인 메모 및 공유, 미니 블로그등의 서비스가 많다. 하나같이 서비스의 완성도는 높지만 비슷한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
1. 웹에서의 서비스 개시와 사용자 모으기.
2. PC에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위젯 형태의 제공.
3. 일부 기능 및 모든 기능을 모바일로 포팅.
4. 모바일에서 월정액 Base의 서비스
비약이 있는 것은 인정하겠지만 대다수 서비스가 이렇게 흘러간다. 모바일 BM이 안전빵이나 노다지인 것 처럼 말이다.
요즘 SKT와 KTF의 피터지는 마케팅 이슈인 HSDPA의 문제점은 킬러가 없다라는 것이다.
고작 내세운게 화상 전화인데 Needs도 없을 뿐더러 통신사가 여지껏 Redefine 해 왔던 Identity를 스스로 번복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내가 요즘 문득 드는 생각은..
왜 요 2개를 묶지 않을까? 통신사는 왜 이러한 개방형 서비스를 끌어들여 Win-Win 전략을 하지 않을까?
스스로 미디어 복합 그룹이 되고 싶어 했으면 이러한 서비스를 웹에서 흡수하고 HSDPA의 킬러로 가꾸는게 맞지 않은가? 당장 돈이 안된다고? 어차피 long term 보는것 아니었나? 2015년...?
개인 타겟은 UCC, SNS로 가고 법인 타겟은 이러한 서비스를 가는게 맞는 듯도 한데...
내가 뭔가를 빠뜨리고 생각하나..........
애플폰이나 HSDPA등의 핫이슈를 떠나서 모바일에서 풀브라우저가 가지는 의미는 무척 중요하다.
최근 MS에서도 "Deepfish"를 발표하였고, 모질라에서도 "미니모"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러한 유선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풀브라우저 관련 기사를 보면 다소 생소한 용어가 있으니 "줌박스"이다.
오늘 내가 포스팅하고 싶은 내용은 풀브라우저가 가지는 의의나 거창한 시장동향이 아니라 이 "줌박스"에 대한 간략한 개념이다.
PC Base의 브라우저에서는 다양한 Control 을 제작하여 이러한 Control들이 html 파서를 통해서 들어온 정보를 바탕으로 하나의 빈 도화지 위에 이미지나 텍스트, 동영상, 플래쉬 들을 그리게 되는게 일반적이다. 모바일에서 풀브라우저는 작은 메모리로 표현을 하다보니 이러한 개개별의 Control 을 만들어서 각각의 위치에다가 그려주는 것이 아니고 파서를 통해 들어온 정보를 바탕으로 하나의 이미지(DIB)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이미지를 통해서 기본 도화지에 그려낸다. 각종 영상이나 텍스트나 모두 이 정보 안에 들어가 있다. 약간의 예외는 플래쉬 지원과 Action Script 등인데 이것도 원리는 동일하다.
중요한 것은 이 이미지가 메모리 한계로 인해 무척 작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Zoom을 지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미지를 가지고 Bitmap Resize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키워야 하기 때문에 Zoom을 크게 해서 보면 깍두기가 LCD에 여기저기 돌아다닐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모바일 브라우저는 Zoom을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하더라도 큰 %로 Zoom을 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처음부터 글씨를 알아볼 수 있게 표현하자니 전체 페이지 레이아웃이 잘 보이지 않고, 전체 페이지 레이아웃을 보여주자니 글씨는 보이지 않게 되고 해서 나온게 바로 "줌박스"이다.
"줌박스"는 브라우저에 따라서 "페이지 파일럿"이라고 부른다.(사실 나에게는 페이지 파일럿이 더 친숙하다.)
줌박스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 전체 페이지 레이아웃이 표현되고 자그마한 상자가 보이게 된다. 화살표키를 눌러서 그 상자를 좌우키로 이동을 한 후에 내용을 보고 싶으면 확인키를 누른다.
그러면 그 때 그 상자영역을 LCD에 사용자가 인식할만한 크기로 Display 해주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다시 똑같은 설명을 하자면 하나의 이미지를 만들어 놓고 그 이미지를 가지고 Resize 알고리즘을 통해 thumbnail 을 만들어서 표시를 한 후에 영역을 선택하면 그 영역의 좌표를 계산해서 원래 이미지에서 BitBlt 하는 것이다.
설명을 길지만 그리 거창한 기술이거나 개념이 아니고 모바일 브라우저의 태생적인 한계때문에 생기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풀브라우저라는 용어는 미디어등을 통해 워낙에 익숙할 테고 이 포스팅을 통해 모바일 풀브라우저들의 돌아가는 간략한 개념이라도 이해가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http://www.uzard.com/
SKT와 KTF에서 VM기반으로 돌아가는 풀 브라우저이다.
이벤트 처리와 플래쉬까지 지원을 한다. 애플의 웹 클리핑 위젯을 서버형태로 만든듯한 느낌이고 메모리상의 문제나 여러가지 제약으로 인해 peer2peer가 아닌 서버 트랜스코딩을 한 듯 보인다.
기술상으로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지만 Biz적으로는 손 볼때가 좀 있는 듯한 구조이다.
국내 조그마한 업체가 하기엔 마케팅 파워가 좀 부족하지 않는가 걱정이 된다.
WCDMA등의 이슈로 인해 임베이디드 풀브라우저가 대중화 되기 전의 중간 상품인 듯 하지만 좀 다듬으면 재미있는 item이 될 듯..
참고삼아 이야기하자면 SKT에서 이와 비슷한 솔루션의 사업제안서가 엄청나게 쌓여 있다고 한다. 다른 두 이통사도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고... 미디어 덕분인가.. 생각하는 것들은 다들 비슷한 듯...
안녕하세요 메일 아침마다 글을 읽고 있는 사람입니다.
저도 모바일 업계에 몸담고 있어서 윗 글에 대해 개인적 생각을 첨언하고자 합니다.
K사 이번에 시장에 던진 화두는 WIPI 미탑재가 아니라 저가 단말드라이브를 통한 3G 시장에서의 1등 전략이라는 사실은 모든 사람이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쉬운 부분은 K사의 전략으로 인해 암묵적인 정부의 무선인터넷 정책이 대외에 OPEN 되었고 한번 터진 둑은 우리가 전혀 예상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갈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옛말에 小貪大失이라는 4자성어가 있는데 K사의 전략이 이 4자성어 처럼 되지 않기를 ...
핵심적인 논점이라는 것에 대해서 동의합니다.
어쩌면(!!) KTF의 3G 시장에서의 전략적인 포인트나...
어쩌면(!!) VM기반이 아닌 풀브라우징을 타겟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이 사실 이번 이슈의 직접적인 포인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걱정스러운 사실은 alldaylong님 처럼 모든 사람들이 내면의 포인트를 주시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미디어와 몇몇 블로그에 피상적인 면만을 부각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포스팅의 주제는 이번 사건의 내면적인 원인이 아니고 노출된 이번 사건의 피상적인 문제점이나 향후 시장 변동에 대한 예상에 대해서 실제 시장이 그렇지는 않다라는 것에 있습니다.
또 한가지, 현재의 논점이 틀렸다라는 것만 언급한 것은 그러한 언급 자체가 어쩌면(!!) KTF의 작전에 놀아나는 꼴이 아닌가 해서였습니다.
그다지 그들의 장단에 춤을 추고 싶지는 않거던요.
alldaylong님께서 보시는 사건에 대한 견해에 동감합니다.
Comments List
하하
아티스트에게는 8% 밖에 안돌아가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