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2월 이동통신 시장은 연말 특수로 인해 활발함을 보이는게 보통이다. 하지만, 2010년 12월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전반적으로 조용하게 지나갔다. 스마트폰 활성화로 인해 대부분의 통신사가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고 마케팅 비용 연간 가이드 라인을 준수하기 위해 소극적인 마케팅을 했기 때문이다. 다만, 크리스마스와 연말 선물을 통해 초등학생 휴대폰 판매량이 급증한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2월말 기준으로 통신사별 가입자 비중은 SKT 50.63%, KT 31.60%, LG U+ 17.77%이다. 전월대비 상승폭을 비교해 보면 SKT 0.4%, KT 0.3%, LG U+ 0.1%로 SKT가 가장 크고, LG U+가 가장 낮다. 국내 이동통신 전체 가입자수는 50,767,241명으로 전월대비 0.3% 성장하는데 그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사들의 소극적 마케팅 활동으로 인해 12월 MNP 시장은 매우 조용한 시기가 되었다. 전체 MNP 수량이 669,345대로 전월대비 20.26% 감소하였다. MNP 시장 점유율로는 SKT 41.68%, KT 34.73%, LG U+ 23.58%을 기록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2월에 판매된 총 단말수는 177.5만대로 집계 되었다. 통신사별 비중은 SKT 52.06%, KT 29.24%, LG U+ 18.70%를 기록하였다. SKT는 갤럭시S와 함께 디파이폰, 갤럭시탭의 판매 호조를 보였으며, KT는 아이폰4의 물량 부족을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는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또한, KT는 디자이어 HD와 테이크에 보조금을 집중하면서 중저가 시장에서 완패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사별 단말 판매를 전월과 비교하면 통신3사 모두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월대비 SKT 1.28%, LG U+ 9.29% 감소하였으며, KT는 18.27%나 감소하여 전체 시장 장악력을 완전히 잃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KT의 12월 시장의 실패는 저가형 스마트폰과 피쳐폰 마케팅을 잘못한 탓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NP 시장의 침체는 전체 휴대폰 시장의 분위기로 이어졌다. 2010년도에서 4번째로 낮은 판매량이 보였다. 갤럭시S를 비롯하여 아이폰, 미라크, 디자이어 HD 등과 같은 고가 스마트폰이 주로 판매되었고, 저가형 단말과 피쳐폰 판매는 매우 저조하였다. LG U+의 Wi-Fi 폴더폰만 판매량이 증가했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가 스마트폰인 갤럭시S외에는 판매할 것이 마땅치 않은 삼선전자는 갈수록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 12월에는 43.0%로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월에 언급하였던 팬택의 경우 갈수록 좋은 성적을 만들어 내고 있다. 미라크, 베가 X 등과 같은 풍부한 단말 라인업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면서 시장 점유율 16.3%로 2010년에 최고를 기록한 것이다. 한편, 12월은 주요 4개사 외의 단말 판매량이 높았는데 HTC 디자이너 HD, KTT 테이크, 모토로라 디파이 등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2월의 가입자 유형별 판매 비중을 보면 010 신규 가입자의 증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MNP 에 대한 통신사들의 마케팅이 소극적이었다는 이야기이다. 12월 4째주에는 크리스마스, 연말 선물등으로 인해 초등학생 신규 가입자가 많아지면서 010 신규가 55.6%까지 증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갤럭시 S는 7개월 연속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단말이 되었다. 전체 비중은 14.0%으로 전월대비 4만여대의 판매량 증가를 보였다. 갤럭시탭이 판매 호조를 보이면서 Top 5에 포함되었으며, HTC 디자이어 HD는 8위를 기록하였다.
2011/02/01 08:43 2011/02/01 08:43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Less is more!"는 현대 건축의 3대 거장 가운데 한 사람인 미스 반 데어 로에가 해서 유명해진 말이다. 이는 단순히 건축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서비스 설계에서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이야기이다. 서비스의 기능, 사용성, 설명 등의 친절함은 지나치게 과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Web의 기존 PC Application 대비 경쟁력은 Hyper Link를 통한 정보의 확장이었다. Context 또는 Category를 중심으로 유사한 Contents와 기능을 노출시키고 사용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흡수하고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 Web이 선사한 Hyper Link는 PC Application에게는 없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이었다. 사용자들은 끝없는 정보의 바다를 Browser라는 단 하나의 Application를 통해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zen은 i-Mode와 Kitty Hawk 기반에서 Mobile Application 개발을 시작했었다. i-Mode는 Application 용량이 10KB를 넘지 않도록 개발해야 했고, Kitty Hawk는 25~27KB가 제한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이후 개인적으로 많은 모바일 플랫폼을 경험해왔는데 'Mobile Application은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가장 간결하고 빠른 접근성으로 사용자들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것'은 공통된 교훈이었다. 이는 플랫폼, 단말 하드웨어, 네트워크의 성능과 무관한 Mobile의 고유한 특징이다.

모바일과 유선의 구분이 모호한 지금은 다양한 사업자들이 Mobile Application을 개발하고 있다. 그들이 만들어낸 일부 Application은 아이디어, 안정성, 사업성 등에서 훌륭했다. 특히, 대형 웹포탈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웹컨텐츠가 모바일로 유입되는 것은 모바일 에코시스템을 풍성하게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규 모바일 사업자들은 개발 방법과 Contents의 전달하는 방식이 가끔 모바일스럽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특히, 대형 웹포탈에서 만들어 내는 Mobile Appplication을 보면 국내 포탈의 초기 화면을 보는 듯하다. 사용자에게 필요한 것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내용을 배치할 뿐이다.

시간이 흐르고 차별성이 강조되면서 Mobile Application이 가져야 할 간결함이 사라지고 있다. 버전업이 되면서 비대해지고 있는 것이다. 지방을 주체하지 못한 비만증 환자의 모습이다. 과한 친절함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으로 다가선다.

Mobile은 PC Web과는 다른 Media인 것을 망각한 것일까? 개인적으로 최근 Mobile Application들의 지방덩어리들이 참 거슬린다. 서비스 확장이 필요하다면 그 시간에 3rd Party들이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과 개방을 고민하는 것이 맞다. 다시 한번 자신이 개발하고 있는 Application Feature List의 양을 살펴보기 바란다.

"Less is more!"
2011/01/29 12:06 2011/01/29 12:06
날자고도

심플이즈 베스트와 비슷한 의미이군요

광식이

조작하기 쉽고, 간편한 App겜이 다운로드 탑순위에 드는 것처럼, 다른 어플들도 결국 시장에서 판단해주겠죠.

charlie shin

제가 보기에는 매우 너그럽게(?) 써주셨네요 ㅎㅎㅎ
단지, 심플한게 좋은거다 라는 일반화의 문제 이상으로 저는 좀 심각하게 봅니다.
요즘 업데이트 되는 주요 앱들의 문제점에 대해서 200% 공감합니다. 그리고, 앱 사업자들의 조급함을 보게 됩니다. 물론, 앱 사업자들은 매출이 나야하는거고, 땅파먹고 사는거 아니다 - 그래서 서비스 확대와 매출 확대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라고 주장할 지 모르겠지만~
그건 매체(앱)의 기본 속성을 유지한 기반위에서 서비스 확장과 매출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얘기인데, 벌써부터 주객이 전도되어 간다는 느낌 !

사업 확대의 의미라고 얘기할지 모르겠지만, 과도한 욕심보다는 간결한 사용성 기반한 사업성을 고민하는 관점의 견지는 정말 쉽지 않은 문제인가? 라는 고민을 다시 합니다. 기업내의 관점의 통일이 얼마나 힘들런지, 현업에 있는 사람으로써 이해가 되지 않는것은 아니나, 결국 앱 사업자의 욕심이 지나치면, 자업자득의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음을 간과하면 안되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함다 !

NeoZest

Simple is not easy라는 말도 있지요.

국내 많은 모바일 앱 개발사들이 아직 simple 허들을 넘을 만큼 공력들이 부족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서민당총재

와!! 정말 와닫는 말입니다.

Simple is not easy

개발자들의 경우 정말 힘들것 같고, 저같은 사용자도 가끔 너무 심플하면 적응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직 트위터에 적응을 못했거든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