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미국의 모바일 웹 환경은 얼마전까지도 척박한 불모지의 땅이었다. Voice 시장이 일치감치 발달하여 Data 시장으로의 전이가 잘 이루어 지지 않는 시장이다. 이러한 시장에 도화선 역할을 한 것이 모바일 ESPN 이다. 모바일 ESPN 은 자사의 컨텐츠를 모바일 컨텐츠로 옮겨와 다양한 스포츠 경기 실시간 중계와 예상, 데이타 분석, 비디오 서비스 등을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ESPN은 현재는 큰 성공을 거두어 게임 VM, 알림 서비스, V Cast 등의 서비스로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모바일 ESPN이 시장진입시에 AT&T에 밀리고 있던 서비스 사업자 Verizon과 다양한 컨텐츠가 필요했던 단말사업자 블랙베리와의 3박자가 적덜하게 맞아 떨어진 것도 성공의 한몫을 하였다. 모바일 ESPN의 기본 서비스는 무선망 뿐이 아니라 WiFi로도 접근이 되니 사용에 큰 부담이 없다.

모바일 ESPN이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두자 유사 사업자들이 앞다투어 시장에 뛰어들게 하고, 무선 컨텐츠 자체를 풍요롭게 하고 있다. 이전에도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큰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모바일 ESPN 이 이렇게 주목받은 것은 스포츠에 열광하는 미국인의 트렌드를 잘 반영을 했고, ESPN이 적절하게 반응한 탓이다.

이러한 컨텐츠의 풍요로움과 아이폰 열풍에 전체 Data ARPU는 증가하고 있으나, 전세계인 경기침체는 너무나 깊숙히 경제속에 파고들고 아직까지는 음성 ARPU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강한게 미국 데이타 시장의 고민거리였다. 이에 대응 전략으로 미국 모바일쟁이들은 원론에 충실한 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초반에 미국 모바일 데이타 시장의 시발점이 '스포츠'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 모바일 마케터들은 빠르게 성장하는 모바일 광고 시장을 '스포츠'와의 접목을 시도 하고 있다. 작년에 라스베가스에 열린 NBA 농구 올스타전의 디지털 마케팅 대행사는 'Adidas'였다. 해당사는 농구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통해 경기를 홍보를 하였고, WAP 사이트를 만들어 다양한 컨텐츠를 판매하였다. 해당 매체 도달율은 47%에 이르렀다.

모바일 컨텐츠는 유선 컨텐츠와 다르게 UV와 PV 기반의 광고 수익만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일반 컨텐츠는 무상으로하고 Premium 컨텐츠는 유료로 접근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업의 성격과 스포츠팬들의 성향이 맞아 떨어진 것이다. 2009년도에도 미국은 이러한 스포츠를 활용한 마케팅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모바일 환경은 침체기라고 한다. 어두운 터널이 언제 끝날지 알 수가 없다고 모두들 이야기 한다. 이제 돌이켜 볼 시기이다. 우리가 대한민국 국민들이 열광하고 선뜻 유료로 구매를 할만한 컨텐츠에 집중하고 있는지, Global이라는 대명제 아래에서 있지도 않은 시장에서 힘들게 삽질만 하고 있지 않은지... Local Trend는 무시할 수가 없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12/09 08:26 2008/12/09 08:26
어나니머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삽질 하셨네요. 적나라합니다.너무 !! ㅋㅋ
우리는? 성인,AV 이거에 미치고 돈을 기꺼이 내더군요. --;
근데 우리 나라경우, 스포츠에 그렇게 미치지도 않고 ... 단일민족인데 참 다양하다고 보여지지 않나요? 지불의사를 지닌 컨텐츠 장르가 말이죠.
바꿔 말하면 미국이라는 큰 땅떵어리(뭐 변명은 아닙니다만..변명같아 보이는 --;)에서 다양하다고 해봤자, 그 소규모 그룹들이 가진 볼륨이 괜찮으니 시장이 될수 있지 않을까요...?
아시겠지만, 내 저도 모바일 일을 합니다..데이타...
참 유니크하고 니치한 프라덕이다라고 느끼는 서비스를 몇 본적이 있습니다.(국내에서 유니크하다는거죠;;) 근데, 그것이 농익을 정도로 기다려주지를 않아요.
아시잖아요.. 모바게 무게타 이야기 ...
암튼..네...


"우리가 대한민국 국민들이 열광하고 선뜻 유료로 구매를 할만한 컨텐츠에" 여기서 컨텐츠..즉..
답좀 주이소 /굽신 굽신 ~

mobizen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해야 하는게 저희몫이죠..

답을 드리고는 싶으나, 결국 저는 '을'인지라 이야기 해봐야 먹혀들지도 않더군요. 결국 키는 '갑'이.. 쿨럭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전세계 경기는 침체의 늪에 빠져, 헤어날 기미는 보이지 않고 각종 약정으로 묶어놓은 사용자들 덕분에 신규폰이 자리잡을 구석이 보이지가 않는다. Nokia를 비롯한 모든 단말 벤더들은 내년도 목표치를 하향 조절하기에 바쁘고 신규폰이 나오지 않으면 자연스레 Data 매출의 활성화를 기대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할 하나의 전략이 바로 'Second Phone'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Second Phone이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단말을 말하는 것이다.

'1인 1Device'라는 공식 아래 핸드폰 시장 자체는 zero sum 시장으로 구분하는게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공식이 미국에서 먼저 깨져버렸고, 그 뒤에는 'iPhone Impact'가 숨어있다. iPhone이 훌륭한 가젯임에는 충분하지만 극악으로 유명한 음성통화 품질과 200만 화소라는 다소 어설픈 폰카의 품질, 밧데리 문제등은 iPhone 하나만을 의지하기에는 뭔가 부족함을 느끼게 했다. 기존 블랙베리의 다양한 컨텐츠를 버리지 못한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였다.

실제 Rubicon Consulting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iPhone 사용자의 1/3이 iPhone을 Second Phone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결과를 보아도 블랙베리를 사용하는 모바일웹에 충성도가 높은 고객이 iPhone을 Second Phone으로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까운 일본에서도 이러한 Second Phone은 새로운 휴대폰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일본에서의 Second Phone 현상을 일으키고 있는 주범은 'Softbank의 화이트플랜'이다. 오래전에 본 블로그를 통해 소개했던 이 요금제로 인해 Softbank는 2007년 5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장장 17개월동안 순증가입자 증가율 1위를 달리고 있다. Softbank의 이러한 쾌거에는 단순히 싼 요금제 이외에도 단말 라인업에서 'Second Phone'을 제대로 공략했기 때문이다. 일본의 이러한 트렌드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MVNO 등장이 맞물려가면서 생겨난 측면도 있다.

LGT OZ가 탄생할 때 전문가들 사이에 Second Phone 이야기가 몇차례 거론되었다. 그 개념자체가 생소하고, 아직은 Second Phone을 이끌어낼만한 스타급 가젯이 없어서 국내에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단말 시장의 과포화 상태와 데이타 시장의 침체를 벗어날 방법으로 이제는 Second Phone 시장에 주목해야 할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목받는 가젯 '민트패드'

다행히 100만원가량의 고가 스마트폰인 T옴니아 마케팅으로 일반인들도 스마트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고 있고 iPhone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폰이 내년 상반기에 출시될 예정에 있다. 넷북은 분위기 메이커를 충분히 해내고 있으며, MID의 성공도 기대되고 있다. 민트패드와 같은 국산 가젯도 Second Phone으로 자리잡을 충분한 저력을 가지고 있다. 포화상태의 네이게이션 시장도 성장 방향성은 인터넷과의 연결 밖에 없다.

국내에서 이러한 Second폰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통사들이 다양한 가젯과의 협업을 통해 내장형 모뎀을 탑재시켜야 하고, 각 가젯에 특화된 컨텐츠를 소싱해야 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러한 것을 단기간에 이루려면 지금과 같은 폐쇄적인 구조보다는 다양한 플레이어들과 협업을 통해서 이룩해 내야 한다. 모든 가젯에 WIPI나 멜론, 도시락 등을 탑재시키려는 욕심으로는 절대 성공할 수가 없다. 꼭 Second Phone이 아니더라도 지금의 ARPU를 높이는 방법은 결국 협업과 법인시장 공략밖에 없다. 이젠 슬슬 닫힌 문을 열고 모두가 같이 새로운 시장을 열어보지 않겠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최초 MID, 루온 모빗


2008/12/08 08:35 2008/12/08 0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