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이제는 지겹기만한 '글로벌 경기 침체'라는 복병이 전세계 산업을 강타하고 있다. 모바일 산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얼마전에 소개했던 Nokia를 비롯한 모든 조사기관에서 2008년과 2009년 휴대폰 단말 판매량을 애초보다 낮춰서 수정해서 발표하고 있다. IITA 정보조사분석팀에서 재구성한 자료를 기준으로 몇가지 자료를 더 추가해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를 해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arner와 UBS를 제외한 대부분의 조사기관들은 2009년은 마이너스(-)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2009년도에는 휴대폰 단말 시장이 매우 어렵게 될 것이라는 것을 모두 다 공감한다는 것이다. 처음에 언급했던 경기침체가 가장 큰 이유겠지만 신흥시장의 포화도 한몫을 당당히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휴대폰 단말의 급성장세를 주도했던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한 신흥시장의 단말 보급율이 올라가면서 교체주기에 이르지 못하면서 급격한 성장의 감소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글로벌 산업의 트렌드를 따라서 Nokia는 저가전략으로 시장의 1위를 지켜나가겠다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면 몇년때 '프리미엄전략'으로 시장에서 재미를 본 국내의 삼성과 LG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과연 그들의 '프리미엄전략'이 지금도 유효한 것일까?

여기에서 그들의 고민이 깊어진다. '경기침체'로 인해 모두가 어두운 전망을 내놓지만 북미권와 국내에서는 고가폰, 스마트폰, 터치스크린폰 의 3가지 요소가 서로 잘 매치가 되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2008년 10월 미국내 휴대폰 모델별 판매 상위 10개 모델 중 5개가 국내 제품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에서도 가격때문에 아무도 살것 같지 않은 T 옴니아도 팔리고 있고, 선진 시장에서 선전을 하고 있는데 주변 분위기 때문에 알 수 없는 '불안감'을 준비해야 하는건지 고민일 것이다. 위기를 기회로 삼고 기존 Premium 전략을 유지하면서 삼성과 LG만의 시장을 개척하느냐, Nokia와 같이 시장 트렌드를 읽고 저가형 전략과 더불어 Service 사업으로 영역을 넓혀가느냐 선택의 시점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일이다. 전략에 대한 실패를 두려워해서 실패할 때조차 얻는 것이 없으면 안된다. 2009년도에도 올해와 같이 자기만의 색을 가지고 선전하면서, 플랫폼에 대한 기초 인프라에 투자도 게을리 하지 않는 국내 단말사들이 되기를 바란다. 봄이 오면 지금보다는 나아지지 않을까....
2008/12/16 08:15 2008/12/16 08:1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iPhone의 사용 행태에 관한 다양한 보고서가 나오고 있다. 짧은 시간에 이렇게 많은 관심을 갖는 플랫폼이 있을까 싶을 정도이다. 가장 최근에 본 보고서가 미국 시장조사 업체 Nielsen에서 발표한 2008년 3분기 자료이다. 요약 자료를 이곳에서 보았는데, 해당 기사를 잠깐 소개하고자 한다.

Nielsen는 2008년 10월까지 아이폰이 전세계적으로 3.6 M이 판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그전까지의 최고기록인 모토로라의 RAZR를 능가하는 성적이다. 전체 사용자 중에 98%가 한번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무선 인터넷과 가장 궁합이 맞는 가젯이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Demographics
- 연령대로는 35-54세가 34%로 가장 많은 사용자층이다.
- 10만달러 이상의 고소득자의 비율이 44%로 미국평균 22%에 비해 두배나 높다.

Usergraphics
- 전체 사용자 중에 98%가 한번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
- 13%의 사용자가 법인 사용자로 회사가 통신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미국 평균: 7%)
- 43%의 사용자가 한달 통신 요금이 $100이 넘었다.(미국 평균 : 20%)

Data Usage
- 70%의 사용자가 자신의 폰으로 음악을 들었고, 39% 사용자는 mp3를 다운로드 받은 경험이 있다.
- 66%의 사용자가 App Store를 통해 Application을 설치를 해보았다.
- 35%의 사용자가 아이폰으로 비디오를 감상하고 있다. 이는 미국 평균의 7배에 해당한다.

동일 기관에서 1Q에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18-24가 32.22%로 가장 많았고, 35-44세는 22.05% 였다. 그러던 것이 불과 2Q만에 뒤집힌 것이다. 이는 십대위주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에서 출발했던 아이폰이 법인 위주의 폰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법인사용자가 많다거나, E-mail Viewer로서 아이폰을 사용한다는 Usage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1Q때에도 이미 24%의 사용자가 자신의 폰을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비용은 스스로 부담한다고 답을 했었다.

Data Usage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없다. Application의 사용이 증가한것을 제외하고는 모바일 웹의 사용이나 음악,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의 활용을 하고 있다. 이밖의 1Q때의 요약자료가 궁금하신 분은 이곳을 참고하면 된다.

전세계가 아이폰의 열풍이다. 현실적으로 아이폰이 국내에 진출할 시기는 내년 4월이 되어야 할 듯 하다. 그때까지 아이폰의 활용 영역이 어디까지 넓혀갈지, 국내에서는 어떻게 자리잡을 수 있을지 연구하고 준비해야할 때이다. 아이폰이 해외처럼 몇십만대 팔릴 것이라는데에는 부정적이지만, 뭔가 변곡점이 될 것은 확실하기 때문이다. 아이폰 2세대의 정체와 국내와의 연관성도 관전포인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12/15 20:46 2008/12/15 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