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P(Average Selling Price)는 휴대폰 단말시장의 가치 척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에 하나이다. 위의 표는 ASP를 분기실적에 포함하는 3대 휴대폰 사업자(삼성, Nokia, Sony Ericsson)의 ASP 추이를 재구성한 것이다. 그래프의 추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지속적으로 소폭 감소를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글로벌 휴대폰 ASP는 글로벌 경기 침체를 벗어나고, Smart Phone과 High-End Feature Phone의 확대로 인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Smart Phon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업체간의 경쟁도 심화되어 상승의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Gartner의 최근 보고서에서는 2010년 글로벌 휴대폰 ASP를 $141.9로 예측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eaturephone vs. Smartphone' 포스트에서 소개했던 Chetan Sharma 보고서에서는 휴대폰 ASP는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mart Phone과 Feature Phone 모두 하락할 것이며, 상대적으로 Feature Phone의 하락의 폭이 더 클 것으로 보고되었다. Gartner와 Chetan Sharma 보고서는 2010년의 예측에는 조금 다른면이 있으나, 전반적인 시장의 ASP가 감소하는 추세라는 것은 분명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글로벌 추세와 반대로 국내 시장에서는 단말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국내 ASP만을 조사한 보고 자료가 없지만, 고가폰(50만원 이상)의 단말이 이상하리만큼 국내 시장에서 갑자기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고객들이 약정을 통해 보조금을 지불받아서 출고가보다는 저렴한 가격에 단말을 구매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축소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높아가고 있다. 국내 휴대폰이 명품폰, 스마트폰을 지향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 정도가 너무 심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9년 11월 자료에 의하면 SKT에서 판매되고 있는 휴대폰 총 106종 중에서 고가폰의 비율은 4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말사별로 보자면, 삼성전자 52.5%, LG전자 46.4%, 팬택계열 47.1%이다. 가장 높은 삼성전자의 경우, 2009년도에 70만원이 넘는 제품을 10종이상이나 내놓으면서 고가폰 비중을 크게 늘렸다.

가뜩이나 스팩다운 등으로 소비자들의 원성이 자자한 가운데, 글로벌 트렌드에 역행하면서 고가폰을 중심으로 가격을 올리는 단말사들의 국내 시장 전략이 다소 걱정스럽다. 다행히도 어제(10.01.13일) 열린 'LG전자 휴대폰사업전략 발표 간담회'에서 휴대폰 가격이 비싼 것을 인정하고 OEM 확대를 통해 가격을 낮추겠다는 이야기를 했다. 다른 단말사들도 국내 시장의 휴대폰 단말 가격 정책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을 해보아야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아도 거꾸로 가는게 너무 많은 대한민국이다.
2010/01/14 08:45 2010/01/14 08:45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Ea. 토니

죄송하지면 ASP는 말 그대로 휴대전화의 판매 단가를 이야기하는 건데요?
출고가가 높은 폰이 출시되는 것이 물론 ASP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출고가와 ASP 비교는 불가능하지 않나요?
예를 들어 프라다2를 한달 20만원 요금에 24개월 약정(한국에 이런게 있는지는 모릅니다)을 걸어 0원을 주고 구매를 했다면 그 팔린 프라다2의 ASP는 0원이 되는 겁니다. -_-;


아, 그나저나
해외사는 입장으로서 한국만큼 휴대전화가 저렴한 곳이 없어 항상 부럽습니다. (여기서는 20만원으로는 공기계 노키아 E6x시리즈, 커브 8300정도밖에 구매 할 수가 없는데 한국에서는 엑페를 구매하지요.)

mobizen

리플 감사합니다.

프라다2를 한달 20만원 요금에 24개월 약정(한국에 이런게 있는지는 모릅니다)을 걸어 0원을 주고 구매를 했다면 그 팔린 프라다2의 ASP는 0원이 되는 겁니다.

>> 단말제조사에서 발표하는 ASP는 보조금 여부와 무관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통사에서 판매하는 단말판매가격과는 다른 이야기인 듯 하네요.

ㅎㅎ 휴대전화 요금에 대한 사용자 체감은 천차만별인듯.. 국내에선 비싸다고들 난리인데 말이죠~ ^^

crowley

엑페 x1 말씀하시는거라면 대표적인 공짜폰중에 하나죠~
뭐 그만큼 소득에 비해 이동통신 요금이 비싸니까요

Loquacity

최근 보도에 따르면 옴니아의 해외 판매가격은 (출고가 기준) 한국보다 30% 정도 저렴하다고 합니다. 한국 출고가가 65만원인 코비폰의 해외 출고가격은 200달러 초반이죠. 쿠키폰도 코비폰과 비슷했구요. 적어도 국산 휴대폰은 해외에서 사는 것이 더 쌉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무선통신의 유선통신 대체 단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통신의 보급율이 높아지면서 유선통신을 대체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2009년에 공개된 ACMA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단계를 4단계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다. 첫번째 단계는 유무선 대체의 필요성에 대해서 느끼지 못하는 No Substituion 단계이다. 두번째는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유선통신을 사용하고, 이동중이나 바깥에서는 이동통신을 사용하는 Partial Substituion 단계이다. 세번째는 복수개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면서 옥내에서도 무선통신을 주로 사용하고, 유선통신은 초고속 인터넷 망등과 같은 용로로만 사용하는 Advanced Substituion 단계이다. 네번째는 무선통신이 유선통신을 완전히 대체하는 Full Substituion 단계이다.

ACMA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가구의 경우 약 4%가 No Substituion 단계이고, 약 8%가 Full Substituion 단계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Partial Substituion 단계와 Advanced Substituion 단계에 있는 상태이다. 국내의 경우도 호주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짐작된다.


전화의 경우, 무선 'Only'가 증가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현상은 전화에서 가장 심화되고 있다. CDC의 자료에 의하면 2009년 상반기에 이동전화만 사용하는 미국 사용자들은 18세 미만 청소년은 21.3%, 성인은 21.1%로 보고되었다. 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의 비율은 줄어들고 있으며, 유선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층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10년에 미국에서 이동전화만 사용하는 사용자의 비율은 약 25% 정도가 될 전망이다.


가입자 추이는 더욱 뚜렷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무선전화의 강세는 호주 뿐만이 아닌 세계적인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무선전화만 사용하는 가입자의 비율을 조사한 보고서는 없으나, 가입자 추이만을 보아도 이러한 트렌드를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무선전화의 가입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유선전화는 완만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젊은층의 무선 선호도가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령대별 선호도를 살펴보면 34세 이하인 젊은 층에서는 무선전화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55세 이상은 유선전화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No Substituion 단계의 대부분이 55세 이상의 고연령층이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령대별의 문화적인 차이는 시간이 갈수록 무선전화의 선호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몇가지 유선전화의 장점이 있으나 대세를 거스르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집전화 2.0


이러한 유선전화의 시장이 축소되는 것을 막아보기 위한 통신 사업자들의 노력은 '집전화 2.0'이라는 타이틀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KT는 2008년부터 VoIP에 영상, 문자, 데이터 서비스등을 결합한 SoIP 사업을 출시했으나, 시장의 반응을 얻는데는 실패하였다. KT는 최근 FMC로 사업 방향을 수정하였다. 이동통신을 중심으로 하는 집전화 시장의 확대를 시도하는 것이다.

'집전화 2,0'을 가장 각광 받았던 것은 Verizon Wireless가 2009년 2월에 출시한 'Verizon Hub' 이다. Verizon Hub는 8인치 터치스크린을 기본으로 제공하며, 음성통화, 음성 메일, 주소록, 캘린더 등을 통합 관리하며, Local 교통 정보와 날씨, 비디오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Verizon Hub'는 실패하였다.


시장 트렌드를 바꿀 수 있기는 힘들어

'Verizon Hub'는 출시된지 8개월만에 판매를 중지하게 된다. 'Verizon Hub'의 실패요인은 너무나 명확하다. No Substituion 단계의 사용자들에게는 필요없는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무선을 선호하는 젊은 층에게는 무선전화와 비교되는 Edge가 전혀 없었다. 이러한 원인을 극복할만한 다른 대안은 좀처럼 찾기 힘들어 보인다. '조금 저렴한 음성통화'을 가지고 얼마만큼 고객을 묶어둘 수 있는지 의문이다. 참고로, Verizon Hub는 월35달러의 정액제 상품이었다.

유선전화가 버티는 근간은 기업형 시장이다. 가정집을 타겟으로 하기 보다는 '집전화 2.0'보다는 Value Added 된 기능과 서비스를 통해 '회사전화 2.0'을 도전하는 것이 좀 더 현실성이 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집전화 2.0'이던, '회사전화 2.0'이던 PSTN의 시대는 점차 몰락해 가고 있다는 것이다.
2010/01/13 08:30 2010/01/13 08:30
grayfire

기업의 유선전화도 voip 전화로 바뀌고 있으며 각 사무실마다 ap를 설치해서 무선ip폰을 사용하는 실정입니다. 유선의 미래가 어둡네요.

grayfire

지금 이 댓글도 아이폰으로 wifi를 통해 작성하는것을 봐도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