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4월 13일에 발표된 Morgan Stanley 보고서에 의하면 2014년 초반이 되면 Mobile 사용자가 PC 사용자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2014년 정도가 되면 Mobile과 PC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유선과 무선의 구분 또한 없어질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다. 또한, Mobile 산업의 발전 속도만큼은 못하겠지만, PC 산업 또한 계속 제자리에만 있을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최근 보고서들이 조금은 흥분되어있는 경향이 있다. 실제 가입자 수 비교는 PC에게 불리할 수 밖에 없다. 모바일은 개인의 Device이지만, PC는 대체적으로 가정의 Device 임으로 작을 수 밖에 없다. 더욱 중요한 것은 Traffic이나 Page View, Revenue, ARPU 등이 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직까지는 Mobile Web에서 이루어나는 Traffic은 PC Web에 비하면 극히 미비한 수준이다. 이는 quantcast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명백하게 알 수 있다. 지역별로 보면 북미와 오세아니아가 가장 높은데, 이 수치가 PC Web의 1.3% 정도이다. 한국이 속해있는 Asia의 경우는 0.4% 정도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1.3%에 불과한 수치가 의미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Web의 발전은 사용자 기반이나 Traffic Volume으로 비교하기보다는 성장 속도와 기술 컨버전스 위에서 이해를 하고 준비를 해야 한다. quantcast 보고서를 보아도 정체되어 있는 PC에 비해, Mobile Web의 발전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미의 경우에는 2008년대비 110%나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Web이 빠른 성장을 할 수 있었던 것은 Walled Garden안에만 머물던 WAP Browser에서 스마트폰의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Full Browser의 사용이 자유로워졌기 때문이다. 영국 모바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주로 접속하는 사이트를 조사해보니 2007년에는 57%나 이통사 포탈을 사용했으나, 1년 후인 2008년에는 2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풀브라우저를 통해 일반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용이해지고,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늘어나니 자연스레 Traffic도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가 마련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풀브라우저를 통해 PC Web과 동일한 화면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모바일 최적화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좀 더 용이하다. 이러한 모습을 단순하게 임시적인 형태로 보기보다는 지속될 수 있는 서비스의 분기로 보여진다. 정전식 Full Touch 단말이 늘어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0년 3월 현재, 이렇게 모바일에 최적화된 페이지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전체의 0.3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최적화 사이트의 32.7%는 블로그이고, Shopping & Service 16.4%, Photo & Design 10.1% 등이 뒤를 잊고 있다. 5.5%에 불과한 Social이나 2.0%인 News & Weather 등의 경우는 모바일 최적화가 느리다기 보다는 개인 Blog 등에 비해 사이트 수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모바일 최적화 사이트 중에 완성도가 높은 사이트의 비중은 조금 다른 결과를 갖는다. 개인 블로그는 폰트와 레이아웃 정도의 수준으로 대응하는 것에 반해 다른 서비스들은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Shopping & Service는 22.7%, Social Service 12.1%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Web의 성장을 주도하는 제조사는 역시 Apple 이다.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Africa를 제외하고는 Mobile Web을 사용하는 주요 단말 제조사는 모두 Apple이 차지하고 있다. 오세아니아의 경우에는 73%, 남미 69% 의 Mobile Web Traffic이 Apple 제품에서 발생한다. iPhone은 물론이고 iPod Touch에서 발생하는 Traffic도 많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플랫폼별 비중 역시 마찬가지로 iPhone OS가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Africa, Europe 등에서 기존 Java ME 기반의 단말이 높은 것도 특징이다. 각종 보고서에서 Android가 급상승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Mobile Web Traffic을 기준으로 보면 북미에서는 의미있는 시장을 형성 중에 있으며, 그 외에는 아직까지는 미진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까지 이야기를 정리하자면 Walled Garden에서 자유로운 웹서핑을 할 수 있는 풀브라우저를 통해 Mobile Web을 사용하는 Traffic이 빠른 성장을 하고 있고, 늘어나는 Traffic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사이트들이 최적화 페이지를 만들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내는 플레이어는 Apple이라고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통신사 Walled Garden 포탈의 몰락을 의미한다.(iPhone으로는 WAP 사이트에 접속되지 않는다.)

국내 이통사들은 변화 속에서 Dump Pipe로 되지 않기 위해 한다는 것이 결국 스마트폰(Android 플랫폼)에서 WAP Browser 지원이다. 기존 Asset에 대한 무한한 애정 과시를 하다보면 절대 혁신이 나올 수가 없다. 최근 Daum, Google등이 기자간담회를 통해 Mobile Web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겠다는 발표를 하였다. Naver 역시 기자간담회 때는 언급 하지 않았지만 모바일 전략에 대해 따로 이야기 하겠다고 할 정도로 적극적이다. 대형 포탈들은 점차 모바일에 최적화되어 있는 페이지를 만들어 낼테고, 새롭게 시작하는 인터넷 기업들은 애초에 모바일을 고려한 디자인을 하고 있다.

무한 경쟁시대이다. 과연 이통사가 가지고 있는 WAP 서비스들이 얼마만큼 경쟁력이 있는지 스스로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다. 국내 이통사들이 Smart Pipe가 되어 외부 Web Service들과 Mash Up 하면서 사용자들에게 가치있는 새로운 접근을 해주기를 하는 바램이다. 언제까지 WAP이라는 과거에 연연하여 사용자를 가두어 둘런지...
2010/04/15 08:33 2010/04/15 08:33

RT hongss님: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 Walled Garden에서 탈출하는 Mobile Web http://mobizen.pe.kr/937

초이

Dump pipe와 Smart pipe의 개념이 어떻게 되는지요...
자주 보는 용어인데 정확한 의미를 모르겠어요
Dump pipe를 위상추락 정도의 의미로 이해하고 있어요...
좋은글들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이승훈

좋은 글과 자료에 많은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감상문 써봤어요^^
http://blog.naver.com/sugoory/150085758389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2년 전만해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Mobile 역시 Web 세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당시 대부분의 모바일 컨퍼런스나 전략 담당자들은 Mobile Web에 대한 대응으로 바뻤으며, 이에 대한 기반이 되는 Browser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장의 소란스러움은 Apps Store의 등장으로 인해 조용히 사라져갔다.

하지만, 주요 플레이어(제조사, 이통사, 서비스 업체 등) 입장에서 여전히 모바일 브라우저의 선택과 성능향상은 중요한 이슈이며, 브라우저 개발사들은 html5, Web Platform, Widget 등과 맞물리며 소리없는 전쟁을 계속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략하게 현재 모바일 브라우저의 시장 점유율과 현황 등에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주요 모바일 브라우저 리스트이다. 현재 모바일 브라우저는 WebKit 기반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눌 수 있을 만큼 WebKit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WebKit을 제외하면 NetFront가 그나마 명함 정도는 내미는 수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lobal 시장에서 Traffic을 중심으로 알 수 있는 모바일 브라우저 시장 점유율을 보면 애플의 Safari가 절대적인 것을 알 수 있다. 2009년 12월 기준으로 보면 Opera와 BlackBerry Browser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Netfront의 점유율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다소 우울함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일한 내용을 분석하여 항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gs.statcounter.com도 참고 삼아 볼만하다. iPhone과 iPod Touch의 Traffic을 합하여 39.48%가 Safari에서 나오고 있다. Opera의 점유율이 일반적인 보고서에 비해서 조금 높게 나왔음으로 감안하고 표를 보기를 바란다. 사실, Opera Mini가 Proxy 방식으로 구동됨으로 이렇게 Traffic 기반의 M/S 예측의 보고서에서는 정확한 예측이 쉽지 않고, 집계 방식에 따라 오차가 날 수 밖에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장 점유율을 지역별로 정리해보면 위와 같아진다. Asia 지역에서 Safari의 점유율이 과반수를 넘기고 있으며, Nokia가 2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브라우저 제품들은 의미있는 수치를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다. 다만, Africa와 Europe에서 보여주는 Opera의 시장 점유율은 다소 이채롭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gs.statcounter.com의 자료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 모바일 브라우저 점유율을 정리한 표이다. 이미지를 클릭해서 보면 원본 크기의 이미지로 볼 수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대부분의 주요 국가에서 Safai가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Nokia나 Opera가 강세인 지역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도 설명을 했지만 gs.statcounter.com의 지표는 iPone과 iPod Touch를 구분하여 집계를 함으로 주의해서 보아야 한다. 위 이미지에는 국내 항목이 없는데, 국내의 최근 지표를 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laris가 아예 Top 10 리스트에 들지도 못한 것이나, Nokia가 4위에 있는 것을 보면 자료 자체를 완전히 믿을 수는 없을 듯 하다. 세부적인 수치보다는 Safari가 대부분의 Traffic을 차지하고 있고 IE가 극히 낮은 것 등은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모바일 브라우저가 단순히 Web Site를 Viewing 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Component 형태로 플랫폼 안에 탑재되어 Hybrid Application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거나, Widget Solution을 제공하거나, Multi Media Player, Document Viewer 등과 같은 확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사업자에게 의미없는 브라우저이다. 최근 Nokia가 미국 모바일 브라우저 업체, Novarra를 인수한 이유도 북미 시장에서의 브라우저 영역을 넓히고 멀티미디어 플랫폼 솔루션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모두에게 잊혀져 가고 있고 표면적으로는 WebKit의 완승 처럼 보이지만 아직까지는 관전 포인트가 많은 곳이다. 그리고, 소리없는 전쟁은 계속되고 있다. 단순한 Application 판매보다는 Platform에 Integration 될 수 있는 브라우저에게 유리할 듯...
2010/04/13 08:50 2010/04/13 08:50

잊혀진 전쟁, Mobile Browser War 아이폰이 나오기 이전에는 전에 다니던 회사의 브라우저 점유율도 준수했었는데… 이제는 사파리와 오페라에 힘이 부치구나… 씁쓸…

잊혀진 전쟁, Mobile Browser War http://ff.im/-j7gqz

희야

오페라미니가 앱스토어 승인이 났는데 점유율이 어떻게 될지 관심이 가네요.

Obigo도 Webkit 기반으로 제공할덴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