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얼마전, Nielsen 에서 'The Mobile Consumer'라는 제목의 Global Snapshot을 공개했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을 비롯하여 호주, 브라질, 중국, 인도, 이태리, 러시아, 영국, 미국 등 전세계 9개국 스마트폰 사용자의 이용 행태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원문 보고서는 한눈에 보기에는 다소 양이 많고 한국 시장을 중심으로 전체를 비교를 하기에는 어렵게 정리가 되어 있다. 좀더 이해하기 쉽도록 몇가지 주요 항목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재구성 해보았다. 국내 모바일 시장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스마트폰 보급율이 가장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elsen은 휴대폰을 스마트폰, 멀티미디어폰, 피처폰으로 구분하고 있다. '멀티미디어폰'이란 RTOS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 휴대폰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가별 휴대폰 사용자들의 단말 비중을 조사해보니 한국의 스마트폰 비중이 67%로 가장 높았다. 멀티미디어폰 10%, 피처폰 23%였다. 중국과 호주의 스마트폰 비중이 각각 66%와 65%를 차지하며 한국의 뒤를 차지하였다.



Second Phone은 아직 부족

사용자 삽입 이미지

'Second Device을 넘어 Third Device 시대로'에서 소개한 것과 같이 인구보다 높은 휴대폰 보급율을 보이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다. 한명의 사용자가 여러개의 휴대폰을 이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한개 이상의 휴대폰을 보유하는 한국 사용자는 16% 수준이다. 러시아과 브라질은 각각 51%, 48%의 높은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휴대폰 요금은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가별 스마트폰 요금을 2013년 3월 11일 환율을 적용하여 미국 $로 변환하여 보았다. 비교를 해보니 미국의 월별 스마트폰 요금이 $93.00로 월등하게 높은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은 $50.18(55,000원)으로 호주에 이어 세번째로 높은 국가로 조사되었다. 데이터 정액제를 사용하는 비중은 89%로 미국(96%)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다. 이번 조사의 결과만으로는 국내 사용자들의 통신료에 의한 가계 부담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는 월등하게 활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가별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의 이용 비율을 조사하였다. 한국 사용자들은 모든 항목에서 월등하게 높은 활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국내 Mobile Shopping의 이용 비율이 42%로 전체 평균 22.5%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SNS만이 전체 평균 57.7%에 약간 못미치는 55%로 조사되었을 뿐이다.



Mobile App의 충성도도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금번 보고서 이전에도 다양한 조사를 통해 국내 사용자들의 Mobile App 충성도가 월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Mobile App 이용 비율 조사에서도 한국 모바일 사용자들은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대부분의 항목에서 평균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Productivity 앱만 전체 평균인 25.6%에 한참 못미치는 11%로 조사되었을 뿐이다. 이는 국내 모바일 시장이 업무활용이나 기업형 솔루션 보다는 생활밀착형에 다소 편중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2013/03/12 08:26 2013/03/12 08:26
Tei Kim

매번 올려주신 글 잘읽고 있어요. ^^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환절기 감기조심하세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iPad의 CTR가 가장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광고 전문 업체 MoPub에서 자사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여러 모바일 기기 중에서 iPad의 CTR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2년 12월동안 iPad의 CTR은 1.7%을 기록해 1.2~1.3%를 기록한 iPhone보다 높았다. 2013년 1월에 들어서면서 iPad는 2.2% CTR까지 상승했다. Android Tablet의 CTR은 0.8~0.9%에 불과해 가장 광고 효과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기기별로는 Kindle Fire가 가장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Jumptap에서는 동일한 분석을 기기 모델별로 구분하여 더 상세한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아마존의 Kindle Fire가 1.02%로 다른 기기에 비해 월등히 높은 CTR를 기록했다. iPad는 0.90%를 기록하며 그 뒤를 차지했다. Barnes & Noble의 Nook은 0.36%로 가장 낮은 CTR을 보유했다.



eCPM도 iPad가 가장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2년 4분기의 eCPM을 비교한 결과 iPad가 가장 높은 금액을 기록하였다. 2012년 12월에는 $1.40까지 올라갔다. 동기간동안 Android Phone은 $0.52에서 $0.80으로 54%가 증가했으나 iPad와 비교하면 60%정도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 광고주들의 Slot당 입찰 건수 조사에서도 iPad는 5.3건을 기록하면서 iPhone 5.0건, Android 4.6건, Android Tablet 4.2보다 높았다.



Android보다는 iOS, Smart Phone보다는 Smart Pad

OS별 비교에서도 iOS의 우위는 여전하다. iOS의 CTR은 1.3~1.4%, eCPM은 $1.0~$1.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Android는 CTR 1.0%, eCPM $0.7~$0.9 이다. iOS가 Android보다 훨씬 광고 친화적인 플랫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해외 광고주들은 iOS 중심으로 모바일 광고를 집행하고 있다.

기기별 비교에서도 Smart Phone보다는 Smart Pad가 전체적으로 CTR와 eCPM가 높게 조사되었다. MoPub은 보고서를 통해 광고주들이 Smart Pad를 일반 PC와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즉, 기존 PC 기반 온라인 광고를 Smart Phone에 집행할 때는 Display크기로 인해 새로운 디자인으로 광고를 다시 제작해야 했지만 Smart Pad는 그러한 부담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최근에는 CTR이 광고효과를 나타내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다. 좁은 Display와 Full Touch의 특성으로 인해 잘못된 클릭덕분에 CTR만 높아지는 사례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Kindle Fire와 같이 기기의 특성에 맞는 광고 위주의 집행으로 인해 CTR이 높은 경우도 있다. CTR은 참고 수치일 뿐 실제 물품 구매까지 이어지는 빈도를 Tracking을 해야 정확한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2013/03/05 22:34 2013/03/05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