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Consumer 시장에서는 iPhone과 Android의 대결로 정리가 되는 듯 보이지만, Enterprise 시장에서 BlackBerry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력하다. 2010년 1분기, 글로벌 단말 시장에서 스마트폰만 판매하는 RIM이 4위를 한 것은 그들의 건재함을 다시 한번 증명하는 셈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세가 언제까지 계속 될 것이며, 기업 시장에서의 위치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최근 Gigaom이 발표한 iPhone과 BlackBerry를 비교한 표이다. iPhone의 괄목할만한 성장세는 이제는 새삼스러울 것도 없지만 BlackBerry 역시 꾸준한 상승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말에 대한 만족도 역시 iPhone에 뒤지지 않고 있다. 다만, 개인적인 서비스인 Twitter의 이용 패턴을 보면 iPhone 사용자들에 비해 소소한 일상을 나누거나 정보를 전달하는데 소극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BlackBerry 사용 패턴을 iPhone과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업무시간에 사용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전반적인 그래프의 패턴에서는 유사함을 보이지만 BlackBerry의 경우는 6시부터 사용량이 증가하여 19시에 Peak를 이루는데, 이는 iPhone 보다 2시간 정도 빠른 시간이다.

반면에 iPhone은 업무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단말이지만 여전히 Consumer 위주의 단말임에는 분명하다. iPhone 사용 패턴의 경우는 평일보다 주말 사용 트래픽이 7% 높게 보고되었다. 시간별 이용 패턴을 보면 새벽 6시에 가장 낮은 사용을 보이다가 9시부터 본격적인 증가한다. 평일의 경우에는 9시부터 21까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지만 주말의 경우에는 13시부터 이미 Peak Time을 계속 이루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직까지는 업무용에 있어서의 BlackBerry의 포지셔닝은 확실해 보이지만, iPhone의 영향을 받는 것을 피할 수는 없나 보다. 최근 영국 스탠다드 차타드은행에서는 업무용 스마트폰으로 iPhone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전까지는 BlackBerry만 가능하였다. 물론, 이번 사례는 변화의 단초를 알려주는 정도의 의미만 부여할 수 있다.

실제 스탠다드 차타드은행 직원들이 iPhone을 얼마나 선택했는지는 공개가 되지 않고 있어 예상보다는 미비했던 것으로 짐작되며, 그 이전의 사례인 오버시-차이나 뱅킹 코퍼레이션의 경우에는 대부분 BlackBerry를 선택하였다. 또한, HSBC 홀딩스, 모건스탠리 등의 대부분의 은행이나 대형 기업들은 아직까지 보안 및 기존 시스템 연동 등의 이슈를 이유로 아직도 BlackBerry만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용 시장에서의 iPhone은 이미 BlackBerry가 자리잡고 있는 북미보다는 아시아쪽에서 성공이 될 가능성이 높다. iPhone 4G의 등장이 가장 큰 변수가 될 것이다. BlackBerry는 기업형 시장에서의 수성을 할지, Consumer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공략을 할지 내부 고민을 많이 하는 듯 하다. iPhone의 강점은 Apple이 아닌 고객이 직접 움직여 수용을 하는 것이다. 모바일 기업 시장에서의 성공하는 최후의 승자가 누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2010/05/20 08:38 2010/05/20 08:38

업무시간에 사용량이 많은 BlackBerry http://j.mp/czwJq8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Mobile Marketing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Mobile Coupon 시장이 빠르게 활성화 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Offline 쿠폰 시장도 주목받지 못한게 사실이지만, 스마트폰을 통한 쿠폰의 다양한 전달방식(Mobile Tagging, 블루투스, RFID, Mobile Web, Apps, Push 등)이 발전하면서 모바일 쿠폰만큼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리라 기대받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발표된 Borrell Associates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 쿠폰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2007년과 2008년에 다소 주춤하더니 2009년부터 본격적인 시동을 하여 2010년 373.7 M 달러, 2014년 6,598.5 M 달러 서비스 시장 규모를 이룰 것으로 보고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모바일 쿠폰 시장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리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꾸로 가는 국내 모바일 쿠폰' 포스트에서는 국내 기프트콘의 경우 남성과 여성이 비슷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소개했으나, 이는 이통사 주도형 시장으로 다소 왜곡된 감이 있다.

miBuys에서는 여성 모바일 사용자들의 모바일 쿠폰에 대한 활발한 사용 행태를 보고하였다. 조사 결과 78.67%의 여성 응답자가 모바일 쿠폰을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67.88%의 응답자는 Opt-In 형태의 모바일 쿠폰 정보를 받아보는 것에도 호의적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Offline 쿠폰의 경우는 '쿠폰북'과 같은 모읍집에서 쿠폰을 얻어낸 후, 사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모바일 쿠폰의 경우 쿠폰 정보 사이트를 사용하는 비율은 32.8%에 지나지 않았다. E-mail을 통한 정보(Push 형태)나 사용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Shop 웹사이트를 통해서 얻는 비율이 60%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불특정 웹사이트를 보다가 쿠폰을 발견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iBuys에서는 소비자들이 받아보기를 원하는 모바일 쿠폰의 종류 또한 조사하여 공개하였다. 이번 결과에서는 53.49%를 차지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Discount 쿠폰' 보다는 나머지 항목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항목에서 언급된 Dining, Concert/Event 등은 사용자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정보를 의미하고 있다. 모바일 쿠폰은 다른 매체보다는 위치성과 즉시성 등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뜻이다.

쿠폰은 사용자에게는 저렴한 가격을, 판매자에게는 홍보를 할 수 있는 Win-Win 시스템이다. 국내의 경우 아직 활성화되어 있지않고 있는데, 위에서 소개한 모바일의 특성을 잘 살리고 'Brand'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는 마인드로 사업자들이 접근한다면 점차 기회가 생기리라 기대해 본다. 다만, 대형 업체들 외의 Local 사업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유통 플랫폼이 좀 더 필요해 보인다.
2010/05/19 08:38 2010/05/19 0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