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이동통신요금, 그 끝없는 논쟁' 시리즈 이후 이동통신사들은 새로운 요금제들을 하루가 멀다하고 발표하고 있다. 다양한 보도자료를 통해 접하는 사용자들은 상세한 인하 항목에 대한 이해가 힘든 상태에서, 어렴풋이 '요금이 인하되고 있구나' 라는 긍정적인 인상만을 받고 있다.
방통위와 시민단체들의 압력을 시작으로 해서 최근 이통사들의 요금제는 파격적인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고, 일부 사용자들은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통사들이 언론을 통하여 떠들어대고 있는 수치만큼 실질적인 요금 인하의 효과가 있는지는 약간의 의문이 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요금제에 대한 많은 인사이트를 보유하신 saint님의 자료를 기반으로 최근 요금제의 변화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SKT 요금제 변화
정액제의 경우 현행 요금제 대비 동일 요금에 무료 데이터 이용량을 1.8~11.9배 확대한 안심데이터100/150/190 요금제를 준비 중이다.
월 정액 10,000원으로 50MB(기존 28MB), 15,000원으로 500MB(기존 42MB)의 무선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고, 월 정액 19,000원으로는 1.5GB의 데이터량(기존 23,500원에 1GB)을 이용할 수 있다.
위는 9월 28일, SKT에서 공식으로 발표된 보도 자료 내용 중 무선인터넷 정액제 관련 내용이다. 얼핏보면 대단한 요금 인하를 하고 있는 것 처럼 설명하고 있다. 상세 항목을 좀 더 알아보도록 하자. 보도자료 중의 '기존 28MB'는 '데이터퍼펙트정액제'로 소용량 멀티미디어 기준으로 10만원 분량(1.75원/packet)이 28MB라는 것을 말한다. '기존 42MB'는 '데이터이월정액제'로 소용량 멀티미디어 기준으로 15만원 분량이 42MB라는 이야기이다. '기존 23,500원에 1GB'는 인터넷 직접접속 전용인 'Net1000 요금제'를 이야기 한다.
신규 정액제를 기존 요금제와 비교하면서 데이터퍼펙트정액제, 데이터이월정액제, 인터넷 직접접속 요금제와 같이 아무런 기준 없이 입맛에 맞추어 엄청난 요금 인하인 것 처럼 포장하고 있다. 특히, 마지막 '인터넷 직접접속 요금제' 부분은 다소 황당한 비교이다.
SKT는 요금제의 간략화를 위해 11월과 내년 1월, 두차례에 걸쳐 현재 운영되고 있는 요금제 중 28가지를 중단하기로 했다. 11월 2일에는 7개의 신규 요금제를 발표했는데 해당 내용은 아래와 같다. 내용을 보면 장기고객과 우량고객만을 위한 요금제들이다. 일반사용자들에게 실질적인 체감이 얼마나 인하효과가 있을지는 개인적으로 부정적이다.
SKT의 최근 요금제 인하 정책은 간략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사용자들을 용량별로 Segment하여 적용시키고 있어 해당 요금제에 가입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는 실질적인 인하 효과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언론에 보도되는 무선 데이타 요금 인하 효과는 기존 서비스와의 비교가 매우 과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일반 사용자들이 다가서기 쉬운 '올인원' 요금제마저 음성은 배제되어 아쉬움을 더한다.
KT 요금제의 변화
아울러, 월정액 이용 고객에게 적용되는 무료 사용량을 확대해(50원/MB→20원/MB, 60% 인하효과), 고객들이 동일한 요금수준으로 더 많은 용량의 무선인터넷을 이용하게 돼 최대 62%의 요금 절감효과를 얻게 될 전망이다.
위는 9월 28일에 각 언론사에 실린 KT 요금제 관련 기사 문구이다. 프라임경제에서 가져오기는 했지만 모두 KT의 보도자료를 통한 대동소이한 기사들을 실었다. KT역시 SKT 못지 않은 언어의 마법사이다. KT의 종량요금을 88%인하한 것은 사실이지만, 문제는 정액제에 있는 '50원/MB→20원/MB, 60% 인하효과'라는 문구이다.
얼핏보면 스마트폰 월정액 요금제를 50원에서 20원으로 낮추어서 60%를 인하한 효과를 준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야기 하는 50원/MB는 월 10,000원인 '쇼데이터상한요금제'로 기존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월 200MB Traffic을 제공하였다. KT는 이번에 이를 요금 인하를 한 것은 아니고 Traffic 용량을 500MB로 늘려주었다. 기사 내용 문구를 따져보면 틀린 말한 것은 아니지만, '인하효과'라는 단어는 고객들에게 오해를 주기 충분하다.
또한, 3배 증가된 일반폰 요금제는 월 10,000원의 '데이터 완전자유 요금제'로서 무료 월 30,000원 분량 제공하던것을 10만원으로 상향 조정된 것이다. 결국 KT의 데이터 요금제 변화는 스마트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요금인하보다는 용량 추가를 해주고 있다. Feature 폰의 경우 일반 데이터 요금제에는 변화가 전혀 없으며, '데이터 완전자유 요금제' 가입자만 용량 추가를 해주었다. 결국, mobizen과 같이 일반폰에서 풀브라우징을 즐기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이야기이다.
소비자를 우롱하는가?
여러차례 견해를 밝혀왔지만, 이통사의 요금제는 어디까지나 기업 전략에 의해 결정될 문제로 소비자들이 요구 할 수 있으나, 정부 주도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론에 떠밀리어 이와 같이 흉내만 내거나 '언론플레이'를 통해 과대포장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그동안 이동통신사들이 얼마나 소비자들은 우습게 여기고 있으며, 고객 위에서 군림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자세를 그대로 알 수가 있다.
mobizen은 현재 개인적으로 정부 몇몇 기관의 정책실무위원회나 자문위원회 활동을 하고 있다. 관련 회의에 참석해보면 항상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요금'에 대한 이야기이다. 관련된 회의에서 mobizen은 정부주도 요금제 인하 압박에 대해서는 반대를 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요금제 역시 표준화하고, 시장 경쟁을 붙히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이통사별로 천차만별인 고지서 항목을 단일화 하고, 해당 고지서에 대한 내용을 누가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들고, 이를 Open API과 '사용자 선택'에 의해 공개되어야 한다. 해외처럼 3rd Party 사업자들이 고객의 고지서를 '동의'를 거쳐 분석하고, 사용 패턴에 맞는 다른 이통사나 요금제를 안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조금은 돌아가는 방법이지만, 이러한 자유 경쟁을 유발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고객 합리적인 요금제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임을 믿는다. mobizen은 관련되어 있는 정부 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 이슈를 문제제기 할 생각이다. 이통사들이 요금제 관련해서 최근들어 접근하는 'Simple is Good'만이 해답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래는 이번 포스팅에 많은 참고를 한 saint님의 11차 MWAC 발표자료이다. 관심있게 보시고, 많은 정보를 얻기를 바란다.
Comments List
전세계 통신 브랜드 및 기업가치에서 KT는 합병전으로 산정된 통계입니다.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