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IT시장의 모바일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높아가고,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을 하는데 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는 듯 하다. 과연 세계 속의 모바일의 현주소는 어느 정도 일까 몇몇 데이터를 통해 정리해보도록 하다.
먼저 보급률 추이는 2009년에는 66.7%, 2013년에는 87.9%에 이를 전망이다. 서유럽 시장은 일치감치 Second Phone의 발달로 인해 120%를 넘겼고,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하여 보급율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경우는 인터넷 보급율(22.6%)에 비해 휴대폰 보급율(41.6%)이 훨씬 높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수익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2011년부터 강하게 회복되기 시작해 2014년에는 1조114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음성 매출는 2014년 글로벌 모바일 수익의 69%을 차지하며 여전히 데이터 매출보다 큰 수익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차세대 단말임을 일치감치 인정받고 있는 Smart Phone의 성장은 어느 정도일까? 09년 Feature Phone은 -10% 성장하는 치욕적인 해를 보내고 있으나, Smart Phone은 3.4%나 성장할 전망이다. 2010년 Smart Phone은 22.2% 정도 성장할 것으로 모두들 낙관하고 있다.
이러한 Smart Phone의 성장을 비롯하여, 앱스토어의 성공, Full Browsing등의 영향으로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수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트랜드는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태지역을 이끌고 있으며, 서유럽쪽도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5년 동안 모바일 트래픽은 66배 성장' 포스트에서 언급을 했듯이 이러한 무선 인터넷 시장의 성장으로 세계 모바일 트래픽은 향후 5년 동안 연평균 131%의 성장하여, 2013년이면 현재의 66배 규모인 매월 2엑사바이트(EB, 1024의 6제곱 바이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별로는 역시 아시아태평양과 서유럽이 가장 높아 전체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witter Peek 이라는 사이트에서는 Twitter 전용 단말기를 판다고 합니다. Twitter Peek - The World's First Dedicated Twitter Device 세계에서 처음으로 Twitter에 충실한 장치라고 홍보를 하군요. $199.99 를 내면 트..
- 09년, 국내 무선 인터넷 총 예상 매출 : 약 4조원 - 09년, 국내 무선 인터넷 매출 중 정보이용료 비중 (3Q까지의 평균) : (7.33 + 7.01 + 6.47) / 3 = 6.94% - 09년, 국내 정보이용료 총 예상 매출 : 4조원 * 6.94% = 약 2,776억원 - 정보 이용 수익 내 CP 매출액 비중(08년 3Q - 09.1Q 평균) : (45.17 + 41.00 + 45.38 ) / 3 = 43.85% - 09년, 국내 무선 CP 총 예상 매출 : 2,776억원 * 43.85% = 약 1,217억원 - 국내 무선인터넷 CP 종사자수 : 약 6,420명
대략적으로 무선 CP들의 총 예상 매출이 1,217억원이니, 이를 6,420명으로 나누어 보면 약 18,960,000원 정도가 09년 1인당 매출액이 된다. 결국 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1인당 년 2천만원의 매출도 못 만들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인건비와 장비 투자비용을 생각해 보면 절대로 흑자가 나올 수 없는 규모이다. 외주로 돌아가는 실제 매출액은 있겠지만, 실질적인 시장 규모가 이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은 안타까운 마음뿐...
적당한 모멘텀을 찾지 못하던 이통사들이 애플 앱스토어의 성공 이후에 앱스토어에 대한 시장 접근을 펴고 있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이통사들이 Copy Cat 전략으로 자사 Walled Garden을 앱스토어 형태로 Shift 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 이통사들도 SKT는 T Store를 9월 9일부터 오픈을 하였고, KT 역시 Show Store를 준비하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통사 앱스토어의 한계를 인식하고, 후발사업자들의 경우 다양한 제휴 형태로서의 앱스토어를 접근해야 할 필요를 느끼면서 접근 전략이 다양해 지고 있다. 앱스토어에 대한 몇차례 포스팅을 했지만, 하루가 다르게 빨리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국내 앱스토어의 모습과 해외 이통사들은 어떠한 전략을 펴고 있는지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자.
갈길이 먼 국내 T Store의 성적표
수많은 우려의 목소리를 뒤로 한채 야침차게 오픈 한 SKT의 T Store는 전문가의 예상대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기존 Walled Garden Market을 Shift한다면 어느 정도 규모를 유지하겠지만, 현재와 같은 사용자 참여와 개발자들의 등록비용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빠른 Shift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0월 12일, SKT 발표에 따르면 T Store 어플의 총 다운로드 건수는 약 11만4,000건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수치는 그들이 롤모델로 하고 있는 애플 앱스토어와 비교하면 매우 미비한 수치이며, 대부분의 다운로드가 무료 어플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개발자들의 수익은 더욱 빈약하다. Feature Phone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T Store가 이 정도이면 스마트폰 3기종(옴니아2, 옴니아팝, 에버 매직듀오)만 지원하는 Show Store는 더욱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비스 플랫폼을 선택한 보다폰
막상 앱스토어를 오픈했지만 시장의 반응이 뜨겁지 않자,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으로 선회하고 있는 이통사들이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가 보다폰의 360 이다. 보다폰은 JIL을 통해 개발자 에코 시스템을 확보하고 이를 특정 단말 플랫폼과의 종속성을 없애버렸다. 즉, 어떠한 이동통신을 사용하던 360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접근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보다폰은 이를 위해 삼성, 노키아, 소니 에릭슨 등의 기존 단말 업체와 제휴 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360의 핵심 서비스인 'Maps', 'People'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애플 앱스토어에 등록 신청을 하였다. 보다폰은 360을 통해 Walled Garden을 포기를 했지만, 다양한 단말을 통해 유입되는 타사 가입자까지 자사 서비스를 사용하게 만들었다. T Mobile도 Android Marketplace에 자체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며 유사한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제조사 앱스토어와 제휴하는 AT&T
지금까지는 이통사들의 Walled Garden이 중심이 되고 제조사의 앱스토어는 이통사 Walled Garden과 협력하는 모양이었는데, 시장의 헤게모니가 점차 제조사로 이동하고 있다. 시장변화에 민감한 이통사들은 이를 인정하고 자신의 Walled Garden을 고집하기 보다는 다양한 제조사 앱스토어와 제휴를 하고 있다. 대표적인 이통사가 애플과의 제휴를 가장 먼저 실시한 AT&T이다.
AT&T는 애플 앱스토어를 통한 Bit Pipe로의 전락과 Traffic에 대한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은 가운데, 최근 노키아 Ovi Store 런칭에 대해 세부 조율 중에 있다. 년내 런칭될 것으로 알려진 Ovi Store는 애플의 경우와는 달리 양사의 공동 브랜드명으로 제공될 것이며, 현재 수익배분과 운영방식에 대한 세부 조율을 진행 중에 있다. 앞으로도 AT&T는 다양한 제조사의 앱스토어를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
개방형 플랫폼을 제공하는 Sprint와 Verizon
본 블로그를 통해 몇차례 소개했던 Sprint의 Sandbox는 가장 진일보한 이통사들의 앱스토어 대응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Java와 Windows Mobile 개발자들은 Sandbox를 통하여 LBS 등 Network API에 접근할 수 있으며, Application및 Web Page를 제작할 수 있다.
Sandbox는 단순한 네트워크 API외에도 플랫폼 환경을 지원하는데 이를 활용하면 사용자 테스트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새로운 에코시스템에는 대형 사업자의 참여가 필수인데, 최근 Alcatel-Lucent가 Sprint의 플랫폼에 Geographic Messaging Service를 참여하여 개발자들이 LBS로 수익을 창출하게 하였다. 한편, Verizon Wireless의 VCast Application Store도 Presence, Messaging, Billing 등으로 이루어진 Network API를 공개하고, 개발자로 등록만 하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았다.
평면적인 국내 대응 전략
해외와 같이 Open API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가 없는 모습이나 시장 자체가 너무 작다는 한계는 있지만, 국내 이통사들의 앱스토어 전략은 너무 평면적인 모습이다. 컨텐츠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사업자와의 제휴를 시도하지 않고, 기존 Walled Garden내의 파트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먼저 시장을 오픈한 T Store의 경우에는 '성공 사례'를 하나 만들어 내는데 치중하는 느낌을 받는다. 과연 하나의 '성공 사례'만 나타나면 에코시스템이 만들어지는 것일까?
꼭 해외의 경우와 같은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과연 지금의 모습이 앱스토어의 성공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전략일까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미, 해외 앱스토어는 국내 이통사들의 경쟁 상품이다.
11월 17일, 한국 IDC는 국내 비음성 모바일 서비스 시장 규모가 4조 1,257억원에 이르고,
2013년까지 연평균 8.7%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13년에는 5조5,815억원 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으면 빠른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 처럼 보이며, 규모 또한 매우 큰 것 같다. 사업자들은 시장 활성화가 안되고 있다는데, 4조원 규모의 시장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문제의 시작은 역시 Data ARPU가 전체 ARPU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다. '09년 3분기, 국내 이동통신 시장 리뷰' 포스트에서 정리를 한번 한 것과 같이 현재 국내 Data ARPU의 비중은 20%를 채 넘지 못하고 있다. 08년말 기준으로 해외의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국내의 상태는 매우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일본이나 유럽등에 뒤지는 것은 물론 27.2%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보다 못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해외와 비교해서 국내 시장의 수치가 보여주는 흥미로운 점은 음성 매출의 추이이다. ARPU는 효용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루어 지기 때문에 전체 매출 추이를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전세계 음성 매출 추이이다. 전세계적으로는 성장을 하지만 데이터 시장이 발달되어 있는 북미와 서유럽은 소폭 하락을 유지하고 있다.
위 Ovum자료가 2008년부터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어 직접적인 비교는 힘들겠지만, 국내 음성 매출 추이를 IR자료를 통해 재구성 해보았다. 국내 음성추이는 분기별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여주어 전체 추이를 판단하기는 힘이 들지만 08년 1분기 대비, 09년 3분기에는 성장을 하였다. 즉, 음성매출이 소폭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이통사의 고민이 여기에 있다. 선진국들이 음성 매출이 소폭 하락하면서 사업의 무게 중심이 자연스럽게 데이터매출쪽으로 이동한 것에 비해 국내는 음성 매출이 유지가 되고 있는 것이다. 데이터 매출에 확신이 없는 이통사의 입장에서 전략 수정을 할 수 있는 외부적인 압박이 강하게 오지 않고 있다. 겉으로는 데이터 시장을 활성화하겠다곤 하지만 여전히 음성에 기대를 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IDC의 전망은 근거가 없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다행히도 국내 무선 데이터 매출 역시 소폭 상승을 하고 있다.
IDC 전망도 그렇고, 실제 매출 추이도 상승하고 있다면 국내 무선 데이터 시장의 현재는 밝은 것일까? 실제 사업자들이 그렇게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그것은 국내 무선 데이터 매출의 대부분이 패킷요금에서 이루어 진다는 것에 있다. KT의 IR자료를 보면 무선인터넷 매출 중 정보이용료는 09년 3분기에 6.47%밖에 되지 않는다.
망개방이나 Open Market에서 이루어지는 매출도 있겠지만, 아직 그 규모가 미미하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통사외의 정보 제공 사업자가 차지하는 매출은 거의 없다는 것을 뜻한다. 실제 정보이용료 매출 중의 일부분 역시 이통사의 수익이다.
국내 무선 인터넷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4조'라는 수치보다는 Data ARPU가 전체 ARPU의 25% 이상이 되어야 하며, 정보 이용료의 비중이 높아지고 망개방 사이트와 Open Market 등에서 다양한 성공 사례가 등장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IDC전망 자료는 아무런 감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지난 번에 공지했었던 KT경제연구소 주최로 세미나가 어제(11월 17일) 진행되었다. 주제는 기공지한대로 Contextual Web이었고, 5가지 주제 중 4가지를 패널 토의에서 논의하였다. 날씨가 갑작스럽게 추워진데다가 화요일인만큼 주최측에서 사람들이 적게 올까봐 걱정을 많이 했는데, 105명의 신청자 중에 약 70명 정도가 참석하셨다고 한다.
몇일 후에 KT경제연구소에서 자료를 정리해서 공유하겠지만, 해당 자료는 역시 가공된(세미나 발표 내용을 슬라이드에 추가해서 공유된다.) 자료이므로, Raw Data를 이 자리를 통해 공유한다. 원론적인 이야기를 최대한 안하려고 했기 때문에 슬라이드 자체에 대한 이해는 크게 어렵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패널 토의 때 많은 분들의 참여가 조금 아쉽기는 하였지만 수백명 모아서 유료로 진행하는 일방적인 컨퍼런스보다는 진솔한 이야기를 할 수 있던 자리였던 것 같다. 다음번 세미나때는 트위터 등을 사용한 청중들의 보다 Active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끔 해달라고 KT담당자에게 부탁을 해 놓았다.
바쁘신데 참석해주신 분들과 함께 패널토의를 도와주신 hollobit님, saint님, 그리고 행사 진행을 해주신 KT담당자분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말을 전한다. 기회가 닿으면 다음 행사 때 패널이나 사회자로 참여해서 다른 이야기를 전할 수도 있을 듯 하다.
디지에코에서 주관한 Contextual Web 세미나에 참석했었습니다. - 일시 : 2009년 11월 17일 화요일 - 장소 : 강남토즈 2호점 관련 글 : http://www.mobizen.pe.kr/865 관련 글 : http://www.digieco.co.kr/KTFront/customer/cus..
Twitter Peek 이라는 사이트에서는 Twitter 전용 단말기를 판다고 합니다. Twitter Peek - The World's First Dedicated Twitter Device 세계에서 처음으로 Twitter에 충실한 장치라고 홍보를 하군요. $199.99 를 내면 트..
매번 블로그를 통해 고귀하신 말씀들을 듣다 어제야 실제 강연하는 모습을 보게되었네요..여러가지로 유익한 시간이지 않았나 싶습니다...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을려다보니 '내용이 조금은 가볍게 다루어 지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물론 시간상의 제약때문이겠지만..혹여나 가능하다면 한정된 영역의 주제로 다양한 player들의 의견을 깊이있게 토론하고 공유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생각됩니다..좋은 시간 감사했습니다....꾸벅..~~
서울시 관계자는 “해커 출신의 ‘정보보안 분석요원’을 선발하기로 했으며 오는 26일 인력 채용 공고를 낼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서울시는 정보보안 분석요원을 나급 공무원으로 채용, 정보통신담당관실의 사이버보안팀에 배치할 계획이다. 나급 공무원이면 최소 연봉 7000만원 상당의 고위급에 해당된다.
그간 해커라면 음지에서 불법적으로 남의 사이트를 침범해 데이터를 탈취하거나 정보를 교란시키는 좋지 않은 이미지로 인식된 탓에 정식 직업이라 불리기 어려웠지만 서울시가 공무원이 될 길을 터주는 셈이다.
서울시 내에서는 정보보안 분석요원으로 더욱 중요한 임무를 수행할 해커 출신의 가급 공무원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까지 나와 가급 공무원도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격요건은 학문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을 겸비한 인재로 서울시는 경험적 지식에 더 높은 비중을 줄 방침이다. 공무원법 기본 요건에 따라 나급 공무원인 정보보안 분석요원도 최소 석사 이상이다. 박사 또는 학사라도 정보보호 관련 학과 전공자는 정보보호 관련 실무 경험 4년, 타 학과는 실무 경험 6년 이상이면 응시할 수 있다. 특히 각종 해킹대회 등에 입상한 실적이 있으면 상당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 김완집 사이버보안팀장은 “서울시 홈페이지 등에 모집 공고를 내고 심사를 거쳐 내년 1월 1일 정보보안 분석요원 1명을 우선 계약직으로 뽑고 추후 정식 직원으로 채용한다”며 “평가가 좋으면 점차 해커 출신 인력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글이 간만에 한국 대상의 모바일 관련 구인을 진행하고 있다. OEM 담당이라고 하는 것은 삼성과 LG를 염두에 두고 글로벌 제휴를 하는게 주요 업무인 듯 하다. PC제조사나 다양한 Gadget등과의 협업도 있으므로 Android쪽의 업무일 수도 있을 듯.
이곳에 가면 지원을 할 수 있다. 구글의 눈높이와 악명높은(?) Recruit Process를 견딜만한 능력이 있으신 분들은 한번 도전해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해외 지사의 답답함과 최근 구글코리아의 우울함을 넘어서는 'Googler 가 된다는 메리트'가 있으므로 시도해 볼만하지 않을런지~ 아래는 Job Position에 대한 설명..
Strategic Partner Manager, Mobile/Distribution (OEM) - Seoul
This position can be based in Seoul, South Korea or Taiwan.
The area: Search Services and Distribution Partnerships
Google's Search Services and Distribution team plays a critical role
in ensuring the continued growth of our company as well as that of our
many partners; in fact, we drive a substantial portion of Google's
revenue by making the company's core consumer products available to our
partners. We collaborate with a variety of internal business
departments, prospecting and negotiating new partnership deals or
managing, growing and enhancing our existing ones. Our mission is to
consistently meet our partners' Internet software and service needs by
creatively and strategically leveraging Google's innovative search,
applications, advertising and media platforms.
The role: Strategic Partner Manager, Mobile/Distribution (OEM)
In this role, you will develop and manage mobile distribution
partnerships with global OEM partners. You have worked at or with a
mobile handset maker, PC manufacturer, or consumer electronics company,
ideally in a business development, account management, or new
initiative development role. You will focus on partnerships in JAPAC
but primarily in Korea and Taiwan.
Responsibilities:
Manage existing partnerships and achieve ambitious goals with those partners.
Maintain executive-level relationships and manage all the contractual terms of the partnership.
Identify, qualify, and upsell new opportunities for Google products.
Lead virtual teams spread across various geographies working in a fast-paced but rewarding environment.
Requirements:
BA/BS or equivalent with a strong academic record. MBA or JD a plus.
At least 8 years of experience, preferably in the mobile industry or the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Passion for technology and a visionary ability to identify new opportunities.
Proven track record of strategic account management or business development experience.
Excellent negotiation and analytical skills regarding contractual, technical, and financial issues with partners.
Experience developing and delivering against strategic account plans.
Excellent partner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ation abilities.
저기 갈수 있는 사람은 삼성전자 몇년 다니다가 미국 구글 갔던 사람이 한국이 그리워 다시 오는 케이스 아니라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OEM 근무했던 사람이 아닐까 싶네요 ^^
하는 일은 OEM 파트에서 했던 일과 흡사하답니다~!! 쓰는 용어도 똑같애~!! 파트너 채널 -_-
하하, 저는 아직 저희 회사에서 할 일이 많아요 ^^
아무리 M/S가 내려갔다고 해도 오뚜기처럼 일어서야 하지 않겠어요?
구글은 국내에 R&D 분야에는 KAIST만 그것도 박사급만 뽑아갔다죠 ^^ 세일즈나 마케팅은 반드시 아이비리그 MBA와 Strategy 에 대해 꼼꼼히 준비해야 할듯요^^
사실 인터뷰부터 세일즈 시작하는 거죠!! 바로 자신을 파는거죠 ^^;; 그렇다고 겁 먹을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실패도 경험인거져 ^^
저기 나온 Job Role은 삼성과 LG출신으로 조직 잘 알고 영어 커뮤니케이션 되는 OEM Guy라면 충분합니다. 결국 구글이 하고자 하는 목표는 삼성과 LG에게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쓰면서 구글 서치와 서비스등을 잘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니깐요 ^^
3분기 실적발표가 거의 마무리 되고, 4분기에 접어들었다. 년초에 우려했었던, 심각한 경제 위기는 조금씩 빗겨나가는 듯 하고 휴대폰 시장은 전반적으로 모바일에 대한 기대감 덕분에 성장하고 있다. 최근들어 '영원한 1위'의 아성이 흔들리고 있는 노키아는 전분기와 비슷한 37.8%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고, 삼성전자의 경우 21.0%를 차지하여 2위자리를 굳히고 있다.
휴대폰 단말사들의 무게 중심이 Feature Phone에서 Smart Phone으로 이동됨에 따라 M/S 역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하여 보고서들이 작성되고 있다. 몇가지 보고서를 통해 스마트폰의 판매량 추이를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지역별로는 Asia 지역이 전체이 32%로 스마트폰이 가장 많이 팔린 지역이었다. 중국의 힘이 역시나 대단한 듯 하다.
단말사별로는 노키아가 40%를 차지하였고, RIM 21%, Apple이 18%를 기록하였다. Apple의 성장는 이제는 놀랍지도 않은 기정 사실이 되어버렸고, HTC의 5%라는 기록이 오히려 눈에 들어온다. Android와 Win Mo를 자신만의 UI를 통해 재생산해내는 그들의 능력이 경이롭다.
플랫폼별 M/S를 보면 단말벤더사의 M/S와 동일한 1,2,3위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최근 Symbian을 포기하거나 비중을 줄이겠다고 선언한 소니 에릭슨과 삼성등의 영향으로 Symbian의 미래는 점점 어둡다고 할 수 있다. MS의 점유율은 6.5가 릴리즈되었음에도 크게 나아진 것은 없다. 실제 시장에 영향은 4분기부터 있겠지만,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그럼 아직까지 전체 휴대폰 시장의 약 25% 정도를 유지하는 Smart Phone이 Feature Phone보다 집중하는 것이 맞을까? 적어도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그러는 것 같다. Nielsen의 보고서에 의하면 09년 3분기에 Smart Phone의 Traffic이 Feature Phone을 넘어섰다. 보고서에서는 지금과 같은 추이가 2:8 까지 계속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플랫폼별로 모바일 브라우징을 이용하는 비중을 보면 출하량 기준의 M/S와는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Chitika의 보고서가 Symbian과 RIM을 언급하지 않은게 조금 아쉽기는 하지만, 66%를 점유하는 iPhone의 위력이 절대적임을 확인하기에는 충분하다.
광고 접속 비중을 보면, 아이폰 43%, 심비안 29% 안드로이드가 10%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AdMob의 접속은 단순하게 브라우저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전체적인 플랫폼별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중을 가늠할 수 있다.
국내 무선인터넷 가능 단말 보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8년말 기준으로 4,274만대 정도가 보급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무선인터넷 단말은 대부분 WAP, ME, 풀브라우저를 지원하고 있으며, ISMS를 지원하는 단말도 극히 일부분 차지하고 있다.
국내 모바일 컨텐츠 매출 추이는 2008년 기준으로 18,749억원 정도의 시장을 이루고 있다. 국내 모바일 컨텐츠 매출이 해가 거듭할 수록 감소하는 것은 이통사들이 성인컨텐츠 판매를 하지 않는 것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전체 시장 규모 중에 65.93%가 데이터 통화료가 차지하고 있으며, 정보이용료는 34.07%이다. 아직까지 데이터 통화료(패킷요금)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보이용료 매출 중 일부분은 이통사가 가져가게 되니 매출의 대부분은 이통사가 가져가고 있는 구조이다.
전체 정보이용료 매출 중에 54.4%가 SKT, 26.1%가 KT, 12.9%가 LGT, 6.6%가 망개방 사업자 망을 통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가입자 기반의 시장 점유율과 비슷한 수치이다.
모바일 컨텐츠 분야별로는 2008년 기준으로 음악컨텐츠가 1천770억원, 게임컨텐츠가 1천600억원, 커뮤니티 분야가 960억원, 위치기반서비스(LBS) 분야가 250억원 등의 매출을 이룬 것으로 보고되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06년 17.9%에서 2008년 24.9%로 높아졌다. 반면에 음악컨텐츠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6년 28.4%에서 27.5%로 낮아졌다.
한편,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은 2008년 말 기준으로 약 908개 업체에서 약 6천42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차주 화요일(11월 17일), KT경제연구소 주최로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세미나 주제와 패널 섭외등을 제가 직접 선택했는데요. 앱스토어, 오픈 플랫폼, 풀브라우저 등 무성하기만 하고 현실과는 조금 괴리감이 있었던 주제가 아닌, 조금은 추상적인 'Contextual Web'을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현재의 거대한 정보 검색을 중심으로 한 웹의 사용 패턴이 점차적으로 Context 중심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변화를 모바일이 리드한다는 내용을 공유해 볼 생각입니다. 개인적으로는 PC Web보다는 무선 Web과 신규 서비스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셨던 분들이 참석해서 생각을 공유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조금은 추상적인 내용이라 지루할 수 있으나, 'Context란 무엇인가?'라는 원론적인 접근보다는 Contextual Web을 이루는 서비스의 트렌드에 대해 최대한 쉽게 풀어서 이야기 할 생각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내용은 참고하시고, 세미나 신청은 여기에서 하시기 바랍니다. 선착순 50명이라 여유가 있을 것 같지는 않네요. digieco 계정이 있어야 신청하시는데 편할 것 같네요.
디지에코에서 주관한 Contextual Web 세미나에 참석했었습니다. - 일시 : 2009년 11월 17일 화요일 - 장소 : 강남토즈 2호점 관련 글 : http://www.mobizen.pe.kr/865 관련 글 : http://www.digieco.co.kr/KTFront/customer/cus..
최근들어 해외 무선 관련 보고서를 보면 통신산업의 실적에 대한 가치척도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던 ARPU(Average Revenue Per User)에 대한 효용성에 대해 이의 제기를 종종 볼 수 있다. 점차 한 사용자가 다양한 단말을 소유하고 다양한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거나, 반대로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 ARPU가 이러한 사용 패턴을 전혀 반영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Second Phone이 일반화되고 있는 북미와 유럽쪽 이통사들로부터 이러한 주장이 강하게 제기 되고 있으며, 지표에서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는 ARPU가 실적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ARPU에 대한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지표를 정리하던 중에 ATLAS에서 잘 정리된 보고서(ATLAS 11월 1주 국내 동향)를 찾게 되어 이를 기초로 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아래는 Wireless Intelligence에서 발표한 북미 이동통신 ARPU 추이이다. 그래프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있는 'Reported Revenue Per Connection'이 공식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ARPU의 추이인데, $50 를 약간 넘어가는 정도이며 점점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적색으로 표시되고 있는 실제 사용자별 Revenue의 추이를 알아보면 $60를 넘어서고 있으며, 점차 증가중에 있다.
아래는 동일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는 그래프로 위의 수치를 성장율 추이로 표현한 것이다. 기존 ARPU로는 2007년을 제외하면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는 반면, 실제 사용자별 Revenue 추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장 조사 Chetan Sharma Consulting은 이런 가입자별 복수 단말 사용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는 ARPU는 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으며, 변화의 추이에 맞추어서 새로운 산정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ARPU를 대신할 수 있는 산정방식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AMPS(Average Margin Per Subscription) : 가입당 평균 수익률인 AMPS는 KT Egg등과 같이 하나의 가입에 여러명의 유저들이 이용 가능한 상황을 반영하여 사업 실적을 측정할 수 있다. - ACPU(Average Connection Per User) : 사용자당 평균 접속을 의미하는 ACPU는 망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관점에서 올바른 실적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전략 수립에 적절한 산정 기준이다. - CLV(Customer Lifetime Value) : 고객의 평생 가치를 뜻하는 CLV는 고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새로운 산정 방식이 ARPU를 완전히 대체할 필요는 없다. 각 수치에 따라서 사업자 입장에서의 전략, 소비자 입장에서의 요금 체제, 정확한 사업 실적 산정 등 적합한 분야가 다르기 때문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무선 소비 트랜드에 따라 다양한 수치들이 발표되고, 플레이어에 따라 적합한 수치를 기준으로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다. 시대가 변화하니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준 수치가 다양하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Comments List
글 잘봤습니다.
역시 손가락물고 있지는 않네요....
뭐..이러다 결국은 승자 몇개만 남아서 획일화 되는건 아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