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해 통신업계 실적을 그룹별로 구분해서 본다면 LG 계열의 선방이 돋보인다. 모든 것을 쥘려고 하고 남 잘되는 꼴 못보던 SK계열(SKT, SK브로드밴드)은 매출이 2.9% 성장 밖에 하지 못했고, 합병을 위해서 양적인 성장에 주력하던 KT계열(KT, KTF)는 4.7%만 성장 하였다.

반면에 가진 것도 없고 더이상 잃은 것도 없는 LG 계열은 LGT의 OZ, VoIP의 myLG070 등을 앞세우며 개방형 정책을 폈고, 저렴한 요금으로 사용자에게 다가섰다. 2008년 LG계열(LGT, LG데이콤, LG파워콤)의 매출 성장율은 평균 9.5%이다. SKT와 KTF의 폐쇄적인 정책에 손가락질을 하면 의례히 듣게 되는 "개방하면 성공한다는 보장이 있느냐"에 대한 근거 자료가 마련되지 않았나 싶다.

LG계열의 움직임 중에 개인적으로 관심있게 보는 사업 분야가 바로 myLG070 이다. 아주 만족하면서 사용하는 고객이기도 하며, Air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는 Gadget으로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myLG070의 성장 추이를 LG 데이콤의 실적 발표를 토대로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3Q에 다소 추춤한 모습을 보였지만 2008년 전체 매출은 109,947(백만원)으로 전년도 매출인 18,275(백만원)에 비해서 엄청난 매출 성장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단말기를 무상으로 지원해주는 마케팅의 힘이 많은 작용을 하고 있지만, 년간 502%의 성장율이라는 성적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숫자이다. LG 파워콤의 공개 자료는 myLG070과 IPTV를 합산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어 위의 그래프에서 제외를 했지만 LG 파워콤내의 myLG070 매출까지 더한다면 실제 myLG070의 매출은 조금 더 높아질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화 사업이 가입자 기반이 핵심이 되므로 가입자 추이 또한 무척 중요한데, 지난해 4분기 말 누적 가입자 120만을 돌파했다. 올한해는 2008년 10월말 시작된 인터넷전화 번호이동 전체 신청 고객 가운데 50% 이상을 확보하는 등 가입자 증가 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yLG070에 대해 몇차례 언급을 할 때마다 이야기 하는 것이지만, myLG070의 성장은 지금은 무섭지만 분명히 한계가 있는 분야이다. 요즘처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가 나타나는 시기에는 그 한계가 예상보다 빨리 올 것이다. LGT가 모든 것을 포기했지만 OZ라는 새로운 채널을 열어서 2008년 상승을 했듯이 myLG070 역시 단순한 음성 통화외의 Value를 제공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아이허브를 좀 더 풍성히 꾸며주기를 원하지만, 전용 모바일 뱅킹이나 정보형 위젯 서비스 등과 같은 차별화를 시도해도 좋을 듯 하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아닌 myLG070 무선 AP를 활용한 Post Air를 노려보는 것은 어떨련지..(myLG070폰은 무선 AP의 암호와 무관하게 가장 신호가 강한 myLG070 전용 AP로 연결이 가능하다.)
2009/02/03 09:04 2009/02/03 09:04

이쁜 처제가 사랑하는 언니 가족을 위해서 대신 가입하고 국제우편으로 보내 준 인터넷 전화 myLG070이 무사히 도착하여 오늘 설치하고 사용해 보았는데 너무 좋다! 마치 한국에 있으면서 국내..

우리집 전화기도 myLG070 인데요. myLG070 매출이 연간 502%나 증가 했다네요. 대단해요!

I'm Sure

요즘은 어딜가도 mylg070 AP가 잡혀서 wifi 쓰고 싶을 때 유용하게 잘 쓰고 있습니다.
물론, 이 암호가 어딜가도 똑같다는 (유저가 고치기 전까진) 사실을 아는 사람은 몇 없지만요.
계속 성장해주면 fon 비슷한 역할을 할 거 같다는...

lesmin

심지어 고정SSID와 패스워드를 갖는 Hidden SSID가 하너더 있다는 사실은 거의 모르고들 있지요..
이 정보가 공개되면 유저가 고치든 안고치든 누구나 mylg070 AP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mobizen

I'm Sure님, lesmin님 리플 감사합니다.

본문에서 "무선 AP의 암호와 무관하게 가장 신호가 강한 myLG070 전용 AP로 연결이 가능하다." 라고 이야기 한 것이 그부분을 언급한 것이구요. 이 부분은 B2B로 잘 풀면 소비자에게 혜택도 주면서 새로운 비즈니스가 만들어 질 수 있을것이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FON보다 이미 더 나은 것 같아요~

곰소문

고거 좋은 정보네요.

I'm Sure

하긴... 그러니까 mylg070 기계는 무조건 무조건 이군요.

ZOOTY

저기 제일 위에 있는 이미지의 070 단말기를 개발한 업체와 일을 하고 있어서
좀더 글에 관심이 가네요. ^^
하지만 현재 출시되어 있는 저 단말기는 저와 상관은 없습니다. ^^

mobizen

그러신가요? ZOOTY님 오랜만입니다. 잘 지내시죠?

NoPD

오... 몰랐던 사실이네요...?
숨겨진 SSID 가 있다라... -_-...
어쨌든 가입자 100만명을 넘기면서
나름 규모의 인프라를 확충한 것 같은데
아직까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것 같아서
조금 안타깝기까지 하네요 ^^

skshslrtm

인도에서 제조업을 하고 있는데, 인터넷 전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업체가 있네요...인터넷전화로 인한 한국의 통신회사들의 수익구조와 성장추이에 대해서 묻고, 우리에게는 인터넷전화(및 모뎀)을 현지에서 제조할 수 있느냐고 묻네요....이번달에 한국에 들르는데 자료를 제공 해 주실분이나 관계자분들은 제게 관심을~~~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LGT을 마지막으로 지난주에 국내 이통사 2008년 4분기 실적 발표가 모두 끝났다. 2008년 최종 성적표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LGT는 성공, KTF는 성장, SKT는 실패라고 할 수 있다. mobizen의 관심사가 항상 그렇듯이 모든 사업 분야가 아닌, 데이타 매출을 중심으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다. 가장 기본이 되는 누적 가입자 추이를 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12월말 현재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45,606,984명이다. 이통사별 시장 점유율은 아래와 같다. 아래 M/S는 2008년 12월뿐 아니라, 2008년 내내 큰 변동없이 유지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재미난 것은 이통사들의 2008년도 마케팅 비용은 사상 최대였다는 것이다. 지난 한 해 이통 3사는 총 5조9165억원을 마케팅 비용으로 집행했다. 이는 2007년 5조4211억원에 비해 9.14%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대 규모다. 업체별로는 SKT는 2007년(2조8천540억원)에 비해 7.3% 증가한 3조63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KTF 역시 18% 증가한 1조8868억원을 지출했다. LGT는 2007년(9천698억원)과 비슷한 9천662억원을 집행했다. 이런 마케팅 비용을 지불했음에도 가입자들이 움직이지 않고 M/S도 변함없는 이유는 가입자들이 약정할인을 기반으로 하여 단말 교체 주기가 길어졌기 때문이다. 이는 아래 번호이동 가입자수 추이를 보면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도 2분기에 이통사 출혈 마케팅으로 인해 강제로 올라가기는 했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이 되며, 이런 현상을 만든 것도 이통사이며 이로 인한 성장 동력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하는 것도 이통사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관심이 가는 무선 인터넷 매출액은 3조 6천억원 가량이다. 가입자 M/S 자료와 비교하면 무선 인터넷 매출 M/S는 SKT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입자와 마찬가지로 국내 무선 인터넷 M/S 역시 2008년도에 큰 변화가 없었고, LGT가 OZ 상승 효과로 소폭 상승했을 뿐이다. 최근 국내 무선 인터넷 관련 매출 추이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 인터넷 매출이 지속적인 성장을 해오다가 2008년에 처음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이통사별로 보자면 KTF 와 LGT는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지만 SKT의 시장 지배력이 크므로 SKT의 침체가 전체 시장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과연 무선인터넷 ARPU는 어떨까? 2008년도 초에 시행되었던 SMS와 무선 인터넷 요금 인하 등으로 인해 무선 ARPU가 2007년도에 비해서는 크게 감소했지만 다행히도 분기별로 조금씩 성장을 하고 있다. 자료를 재구성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도는 다들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을 한다. 이동통신사들은 3G와 4G를 동시에 대비를 해야 함으로 투자할 일이 많은데 이통사들의 상반기 계획으로는 경기 침체에도 불구 투자는 지속적으로 될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러한 설비투자도 무척 중요하지만 해외로부터 불어오는 개방형과 새로운 플랫폼 전쟁에 맞추어 투자를 하고 다양한 시도를 하는 해가 되기를 바란다.
2009/02/02 08:42 2009/02/02 08:42
킬크

정말 잘 정리해 주셨군요. 개인적으로 봤을때 올해가 데이터 매출을 올리기 위한 이통3사의 무선 데이터서비스 드라이브 원년이 될 것으로 봅니다. 또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사업이 성장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을테니까요.

mobizen

네.. 제발 좀 그렇게 되어야 할텐데요. 이통사가 도와줄련지 모르겠어요. ^^

후레지아

잘보고 갑니다~~!!!

인생 활력소

좋은 자료네요.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