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최근 불고 있는 스마트폰의 열풍으로 인해 가장 활발하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 중에 하나는 LBS이다. 4월 11일날 LBS 산업협의회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2009년 국내 LBS 산업 시장 규모는 1조 490억원으로 집계가 되었다. 올해(2010년)에는 1조 2223억원, 2012년 1조 6000억원으로 예측되면서 연 평균 15.1% 성장율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분야별 시장규모를 보자면 당분간은 서비스 보다는 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기기 시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해당 분야는 2009년 9015억원, 2011년 1조 시장으로 성장하고 2012년에는 1조2775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비록, 기기 시장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09년 1408억원에서 2012년 3106억원으로 약 2.2배 정도 서비스 및 컨텐츠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반면, 가장 구축 비용이 높고, 기술적인 투자가 클 수 밖에 없는 시스템 분야(서버, 기지국, 측위 등)은 2009년 75억원의 매출밖에 만들어 내지 못했고, 2012년에도 152억원 규모에 머무를 것으로 예측되었다. 대부분의 측위 기술이 GPS를 통한 것으로 서버 기반의 시스템 구축의 매출은 힘들어 보이는 것에 공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별 매출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교통, 항법에 해당하는 분야가 2009년 716억원, 2010년 891억원 으로 전체 시장의 절반에 가까운 시장 규모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물류추적·기업간(B2B) 분야가 2009년 233억원, 2010년 267억원의 규모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를 제외하면 위치확인 서비스, 주변정보 서비스, 안전 및 보안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등의 순이 예측된다.

단말기의 주도권을 갖지 못하는 이통사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통한 매출만을 기대할 수 밖에 없고, 국내 이통 3사는 비슷하면서도 각자의 처해진 환경 요인에 맞는 전략을 펴고 있다. 아래는 4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LBS산업협의회 춘계 워크숍'에서 이통 3사에서 발표한 내용을 뉴스토마토 기사를 참조하여 요약 정리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는 위치 인식 모바일 광고를 통하여 'Two-Sided' 모델을 본격적으로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핵심 서비스는 오는 7월에 런칭할 예정인 'L-커머스'이다. 이는 SKT 고객이 특정 지역에 도착했을 때, 해당 지역에 적합한 광고나 쿠폰등을 SMS와 MMS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서비스 시나리오는 기존부터 있어왔던 위치 기반 Opt-In과 크게 다르지 않다.

기존 서비스와는 다르게 가입자 정보를 정밀하게 세그먼트화하여 소비 패턴에 맞는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한다는 것인데 성공의 열쇠는 정밀한 사용자 프로파일이다. 하지만, 쉽지도 않을 뿐더러 그러한 서비스 마인드와 기술력이 SKT에 있는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SKT가 주요 타겟으로 한 위치기반 광고 영역은 2010년 87억 정도의 규모밖에 되지 않는 작은 부분이다.

KT는 과거 KTF때 보다 현실적이고, 고유의 장점을 살리는 전략을 펴고 있다. 그들은 경쟁사 대비 B2B 사업의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고, 물류, 대리운전, 자동차 보험사 등 이동형 업무를 지원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KT의 주요 자산(Asset)을 모두 Open API로 개방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KT는 단순한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 등도 API 형태로 모두 제공할 것으로 밝히고 있다. 다만, WPS에 대한 무리수를 두는 것은 조금 위험해 보인다. 실내측위 등의 문제가 있다고는 하나 DB를 중심으로 하는 측위 기술은 너무 짧은 생명력에서 끝날 확률이 높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LBSP 시스템등 기본 인프라를 재정비한 LGT는 이제서야 기본적인 컨텐츠 확보를 하는 수준이다. 타이통사들이 자체 서비스와 컨텐츠를 구축하여 Walled Garden화 하였다면, LGT는 서비스 제휴를 통하여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2010년 3월, LGT는 실시간 교통상황을 반영,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길을 안내하는 지능형 모바일 내비게이션  'OZ& 내비'를 런칭하였다. 또한, Daum의 지도 어플을 'OZ 2.0' 으로 조만간 오픈할 예정이다. 지도내장형 네비게이션도 연내 서비스할 예정을 가지고 있다. LGT 역시 KT와 마찬가지로 WPS 시스템 구축을 고려하고 있으며,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에는 전 플랫폼을 연동시켜서 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계획도 추진 중이다.

현재 모바일 서비스 산업은 스마트폰의 확대로 인해 기존 Walled Garden이 빠르게 무너지고 있는 추세이다.과거 Cell 측위만이 존재하던 시대와 다르게 GPS에서 일반화되면서 LBS가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되고 있다. 포탈, 제조사, 대형 LBS 업체 들이 빠르게 모바일로 들어오면서 거대한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할 때 각기 다른 전략을 펴고 있는 국내 이통사들이 어떻게 살아남는지는 관전 포인트가 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시장을 가장 잘 이해하는 것은 KT로 보이며, 문제는 KT의 실행력에 달려 있는 듯하다.
2010/04/22 08:37 2010/04/22 08:37
Belle

LBS라는게 먼지 설명이 없는게 큰 아쉬움이네요...

차선수

Location based System이죠 LBS란 말은 이제 일반화 되어 아마 언급을 안 하신 듯 합니다 ^^

kongdoo

위치기반 서비스

준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ulbbang

3사의 LBS서비스를 보면 질적으로는 크게 차이가 없는듯하네요....물론 다른 기지국을 쓰기때문에 어느정도의 오차범위도 있는거 같고요!! GPS방식이 좋긴 하지만 GPS칩 내장 단말의 가격이 싸지면완전 급성장하지 않을까 하는 조그만 바램입니다.

우연히 네이버검색을 해서 찾았는데 좋은정보가 많네요!!

정보 공유 감사하며, 의견있으면 댓글 열심히 달도록 하겠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3사 합병으로 인해 실적 발표가 예상보다 늦었던 LGT를 끝으로 이동통신 3사가 모두 2009년도 실적 발표를 하였다. SKT는 매출 12조 1012억원, 영업이익 2조 1793 억원, 당기순이익 1조 2883 억원을 달성하였다. KT는 연간 누적 매출은 18조 9,558억 원을 달성했다. 명퇴비용을 제외한 연간 누적 영업이익은 1조 8,216억 원으로 가이던스를 달성했다. 명퇴비용을 포함할 시 연간 누적 영업이익은 9,452억 원이다. LGT의 서비스 매출은 가입자 증가 및 우량 고객 증가에 따라 전년대비 4.2% 증가한 3조5772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2.1%, 8.7% 증가한 3869억원, 3081억원을 기록했다.

통신 회사들이 합병을 하게 되면서 실적발표에서 무선만의 지표를 뽑아내는 것이 힘들어 지고 있다. 몇몇 수치들은 조금의 오차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서, 이번 실적발표를 통해 2009년 모바일 시장을 리뷰해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12월말 기준으로 하여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47,944,222명이다. 전체 M/S는 SKT 50.62%, KT 31.32%, LGT 18.06%이다. 1년동안 이러한 비중은 큰 변화없이 지속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역시 무선인터넷 매출이다. 전반적으로 하락하거나 소강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해서 전년대비 소폭 증가하고 있어, 희망을 가지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국내 무선인터넷 총 매풀 규모는 3조 7천 3백억원 정도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SKT가 71.20%를 차지하고 있어, 경쟁사 대비 월등한 우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KT는 19.87%, LGT는 8.93%에 불과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들의 연간 마케팅 비용은 해마다 자제한다고 다짐을 하지만 2005년을 제외하면 항상 증가를 하였고, 2009년 역시 예외가 아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이동통신3사의 전체 마케팅 비용 지출액은 6조 4천억원 정도이다. SKT가 3조 2천 5백억원으로 전체의 50.72%를 차지하였다. KT는 32.62%, LGT는 16.66%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출과 밀접한 관계인 전체 ARPU 추이는 역시나 감소하거나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SKT가 42,469원으로 가장 높고, KT 35,579원, LGT 34,332원을 차지하고 있다.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전체 ARPU가 폭발적인 증가를 보이기는 힘들어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ARPU에 비해 무선 인터넷 ARPU는 어느 정도 상승세를 띄고 있다. SMS 가격을 인하했던 2008년에 급감했던 것을 제외하면 전체적인 곡선이 모두 위쪽을 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RPU를 기준으로 하여 각 항목별 비율을 살펴보면, 이통3사가 여전히 음성통화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GT의 경우에는 75%나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무선 인터넷은 SKT 21.98%, KT 19.12%인데, 이 비중을 좀 더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OZ로 인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하는 LGT는 실제로는 13.22%에 불과하다.

2009년을 시작할 때 당시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모두 다 어렵다는 예상을 했었다. 이러한 초반 예상을 고려한다면 국내 이통3사의 2009년 성적표는 그다지 나쁘지 않다는 평가를 할 수 있다. 이제는 좀 더 빠른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이다. 스마트폰이 본격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앱스토어와 모바일웹 서비스들이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 이로 인해 이통사 ARPU에서 무선인터넷이 차지하는 비중이 좀 더 늘어나서 모두가 Win-Win 할 수 있는 해가 되기를 바란다.
2010/02/10 08:42 2010/02/10 08:42
김정환

이런 자료는 어떻게 구하시나요???
표를 보면 직접 작성하신 것 같긴한데, 자료는 어떻게 얻으시는 지 궁금합니다..
답변이 가능하신지요???

crowley

SK가 유의미한 차이로 꾸준히 ARPU 앞서나가는게 참 신기합니다
고객이 신기한건지 통신사가 신기한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mobizen

개인적으로 SKT의 ARPU가 높은 이유는 SKT의 요금이 비싸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시장에서 월별로 변화하는 다양한 수치들에 대해서 민감할 필요가 있다. 국내이통사들이 월별실적 발표를 하지 않으므로 ARPU나 무선인터넷 성장 수치등은 알 수가 없으나 몇몇 자료를 통해서 09년 11월,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자 현황은 익월 20일이 넘어서야 방통위에서 발표를 하기 때문에 11월 수치는 알 수 없고, 10월 수치를 보자면 전체 가입자수는 47,750,286명이다. 이통사별 시장 점유율은 SKT 50.63%, KT 31.28%, LGT 18.08%으로 큰 변화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별 번호이동 추이는 2분기때 정점을 찍었다가 점차 소강 상태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이통사별 번호이동 점유율은 가입자 비중에 비해 3사가 큰 차이가 없는 것이 이채롭다. SKT 40.20%, KT 31.69%, LGT 28.11% 를 점유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번호이동의 추이가 보여주듯이 휴대폰 판매량 역시 최근들이 극감하고 있는 추세이다. 7월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판매량이 11월 들어 상승한 이유는 역시 아이폰을 시작으로 한 스마트폰 열풍 탓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특이한 점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모두 시장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이유는 아이폰을 비롯한 해외 스마트폰이 시장에서 인기있고, SK텔레시스의 휴대전화 시장 진출과 팬택계열의 라인업 확대 등 군소 업체의 시장진입이 확대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조사별 점유율을 보면 삼성 45.1%, LG 24.2%, 팬택계열 22.0% 이다. 모델별 Top5는 러브액츄얼리(KT) 5만 6천대, 매직홀폰(KT) 4만 6천대, 틸트폰(SKT) 4만 3천대, 아이스크림폰(LGT) 3만 7천대, 연아의 햅틱(SKT) 3만 6천대 순이다.

11월에 휴대폰 판매량이 전월대비 소폭 상승한 것은 12월 전쟁의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폰이 번호이동과 보조금 시장을 뜨겁게 달구었으며, 옴니아, 노키아 5800 등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KT는 아이폰에 50만~80여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고, 삼성전자의 '미니스커트폰'이나 LG전자의 '엣지폰' 등을 비롯해 '연아의 햅틱', '쿠키폰', '코비폰'등도 버스폰으로 나와 있다.

이통사들의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인해 12월에는 더욱 많은 사용자들이 번호 이동 등을 통해 신규 단말을 소유하게 될 것이며, Second Phone 시장도 서서히 형성되고 있다. 아이폰으로 인해 무선인터넷과 앱스토어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으니 재미난 일이 많이 생길 것 분위기이다. 년말 특수와 함께 뭔가를 터트리기에는  최적의 시기일 듯~



* P.S : ATLAS 자료가 이데일리와 다른 이유는 ATLAS 수치는 유통물량을 제외한 소비자들에게 실제로 판매된 대수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데일리의 기사에 의하면 삼성전자의 11월 판매량은 72만5000대로 M/S는 50%이고, LG전자의 경우는 33만대를 판매하여 M/S 22.1%로 보도되었다.
2009/12/10 08:40 2009/12/10 08:4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KT를 끝으로 09년 3분기 이동통신사 분기실적이 모두 발표되었다. SKT는 매출 3조567억원, 영업이익 6천188억원, 당기순이익 4천15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증가하였다. KT는 매출 4조8212억원, 영업이익 4131억원, 당기순이익 3514억원을 각각 기록했으며, 무선 사업의 호조로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13.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1.7$ 감소하였다. LGT는 3분기 매출액 1조2천715억원, 영업이익 1천111억원을 기록하였고,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5.64% 늘었고, 영업이익은 9.61% 줄었다.

전반적으로 년초에 우려되었던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SKT가 가장 좋은 실적을 보여주었지만, 애널리스트들의 최근 보고서에서는 KT와 LGT의 강세를 점치는 내용이 많아 묘한 괴리감이 느껴진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통3사의 분기실적 자료를 기준으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전체적으로 리뷰해보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9년 9월 현재, 가입자 기반 시장 점유율은 SKT가 50.6%, KT가 31.3%, LGT가 18.1%를 차지하여,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국내 전체 가입자 수는 47,660,065명이다. 참고로, 이 수치는 계정의 숫자로 명확하게는 가입자수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요즘은 Second Phone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고, 법인 사용폰도 많아지기 때문인데 이러한 수치조사에 대한 변화에 대해서는 따로 정리를 해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ARPU 추이를 보면 여전히 SKT가 4만원대를 유지하고 있어 격차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전반적인 추세를 보면 SKT는 소폭의 하락세이고, KT와 LGT는 소폭의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평균은 이통사별 가입자 M/S의 가중치를 준 것으로 아주 정확한 수치는 아니나 큰 오차는 없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분기 국내 이통사들의 무선인터넷 수익은 약 1조가 약간 못미치는 규모를 만들어 냈다. 무선 인터넷 수익만으로는 SKT가 66.33%, KT가 25.12%, LGT가 8.56%를 차지하여 가입자 기반의 M/S와는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OZ를 통해 계속 성장하고 있다는 LGT의 규모가 아직은 미약함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 ARPU 추이를 보면 이러한 격차가 얼마나 큰지 더 확연히 알 수가 있다. SKT는 9천원대, KT는 6천원대, LGT는 4천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LGT는 전년동기대비를 보면 엄청난 성장을 했지만, 가입자 기반이 약해 시장파괴력이 아직은 작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ARPU에서 무선 ARPU가 차지하는 비중의 추이를 그래프로 구성해보면 위와 같다. 올해 1Q에 급증한 뒤로 소폭의 상승을 보이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25%까지 가주었으면 하는 바램이지만 아직은 먼 이야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나쁘지 않은 이동통신사 성적표와는 대조적으로 국내 단말 판매량은 급속히 냉각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과도한 마케팅을 방통위에서 제재하면서 010 신규 판매량이 급감한 탓이다. 09년 10월 판매량은 약 158만대 정도로 올해 1월에 판매되었던 219만대와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09년 10월, 제조사별 M/S를 보면 삼성이 과반수 이상, LG전자가 24.22%, 팬택계열이 14.06%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이 이렇게 높은 점유율을 가지게 된 것은 LG전자의 점유율을 많이 뺏어온 덕분인데. 콤팩트 GPS폰(SPH-W8400), 매직홀폰(SPH-W8300), 연아의 햅틱(SPH-W7700, SCH-W770)과 같은 모델들이 10월에 집중 판매되고, 반면에 LG전자는 아이스크림폰(LG-LH5000)을 제외하고는 국내에 큰 히트 상품이 없었다.
2009/11/05 08:25 2009/11/05 08:2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전세계의 이통사들의 규모나 브랜드 가치 등을 기준으로 한 다양한 랭킹이나 보고서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몇몇 주요 자료들을 소개하면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가장 최근 보고서는 영국 시장리서치회사 Portio Research가 글로벌 이동통신사 매출 순위를 기준으로 발표한 것이다.

이번 보고서의 총 매출에는 서비스 매출과 설비(또는 휴대폰) 매출 2가지가 모두 포함되었으며, 보다폰 등 다국적기업의 영업이익은 국가별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더했다. 아래는 해당 보고서 랭킹 중 Top 10을 재구성해본 그래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 지표 비교' 포스트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가입자수를 기반으로 한 China Mobile의 규모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있다. 단순한 매출액 뿐만 아니라, 성장율 22.3%를 기록하면서 월등한 우위를 보여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북미와 유럽과 같은 선진시장의 이통사들이 상위권을 차지하였으며, 미국 이통4사는 모두 Top 10에 들어가면서 저력을 발휘하고 있다. 반면, 미국 Sprint는 매출이 전년대비 12.3%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면에 ARPU를 기준으로 한 랭킹을 보면 조금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매출기준 1위를 기록한 China Mobile을 비롯하여 중국 이통사들은 모두 ARPU 기준 Top 20위에 들지 못했다. 동보고서에 의하면 1위는 $74.2를 기록한 영국 허치슨3이 차지하였다. 국내 SKT는 Top 20위에는 들지못하였고, 어제(09년 11월 2일)기준 환율로 환산해보면 약 $36.3이니 한참은 뒤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Brand Finance에서 09년 10월에 발표한 전세계 통신사업자 브랜드 가치 랭킹 중에 Top 20위와 국내통신업체들의 점수를 재구성해 본 표이다. Vodafone의 브랜드가치가 24,647(백만달러)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브랜드 등급 또한 AAA이다. 국내 SKT는 24위, KT는 34위이다. KT와 KTF의 합병을 통해서도 SKT보다 훨씬 뒤져 있는 것이 이채롭다.

이런 랭킹을 통해 비교를 당하면 항상 국가의 소득대비를 비교해야 한다고 이통사들이 항변(?)하기는 하지만, 국가별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ARPU 산정 결과로 순위를 매겨보면, MTN(나이지리아)가 1위, Zain(수단), Globacom(나이지리아), Safaricom(케냐) 등 주로 Afrcia 중심이 이통사들이 상위랭킹을 하고 있다. 국내 이통사들은 앞으로 ARPU에 대한 고민과 함께 Global한 Brand 가치에 대한 고민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09/11/03 08:24 2009/11/03 08:24
eothd

전세계 통신 브랜드 및 기업가치에서 KT는 합병전으로 산정된 통계입니다.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타플랫폼에 대한 개방 정책

모두들 개방을 외치고 있다. 자체 SDK를 내놓거나 JIL 에코시스템을 이용하는 이통사들조차도 Open 플랫폼으로 제작되어 있는 어플의 등록도 허가하고 있으며, 타이통사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접근하는 것도 개방하는 추세이다.국내에서도 SKT와 KT간의 상호 앱스토어 개방에 대해 언론에 보도가 된 적은 있지만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

Open 플랫폼 제작 어플의 등록 정책도 결정된 바 없다. KT의 경우, 기존의 Open 플랫폼 제작 어플을 등록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검토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공식적인 발표는 아직 없다. 과연, 시장에 대한 확실이 없는 상태에서 SKAF, KAF 만을 이용해서 어플을 제작해야 하는 부담을 개발사가 지기는 힘들 것이다. 가뜩이나 시장도 작은 국내에서 우리의 이통사들은 하나같이 SDK를 내놓고 명확한 개방의 의지를 보여주지 않으니 매력이 없을 수 밖에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는 무선기업, KT는 통신기업

실상, 두 기업의 앱스토어가 완전히 동일한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앱스토어를 바라보는 View 자체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 오히려, 그러한 커다란 차이를 가지고 출발했는데 지금의 모습이 너무나 닮아있기 때문에 문제이기도 하다.

금번 KT의 설명회에서 사용자 설문 조사를 하였고, 해당 설문지에는 KT 앱스토어에 바라는 이야기를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는 난이 있었다. mobizen는 해당 항목에 "3S 전략에 너무 무게 중심을 두지 말고 일단 Mobile에 맞는 앱스토어로 성공하기를 바랍니다."라고 했다.

그만큼 KT의 Show Store는 휴대폰 중심의 앱스토어라기 보다는 3S 전략을 염두에 둔 Market Place 이다. 대부분의 신기종 Feature Phone을 지원하는 T Store에 비해 Show Store는 삼성전자의 Windows Mobile 폰인 '프리즘'과 LG전자의 안드로이드폰인 '라일락'이 지금까지 지원하는 라인업의 전부이다. Smart Phone 중심으로 앱스토어를 선점하여, 해당 에코시스템을 그대로 나머지 2S로 이동한다는 것인데 쉬어보이지가 않는다.

PC 에코시스템은 이미 견고하여 KT그룹이 끼어들 여지가 보이지가 않고, 그토록 구애를 하며 시장이 열리기를 기다리지만 아직도 IPTV시장은 한국에서는 요원해 보인다. 전체 시장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SKT와의 정면 대결을 피하고 자신들의 장점을 살리려는 의도는 좋지만, 그 해답이 '지금의 앱스토어'일 것 같지는 않다.


이통사 앱스토어가 성공할 수 있을까?

애플 덕분에 너도나도 앱스토어를 런칭하거나 하려고 계획 중에 있지만 이동통신사가 성공하는 것은 어려워보인다. 앞서 소개했던 해외 이통사들처럼 Network API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거나 앱스토어와 기존 Contents Mall의 indentity가 명확히 구분해 놓은 경우라면 그나마 조금 상황이 나을 수 있지만, 현재 T Store와 Show Store의 모습에서는 해외 거대이통사들의 모습이 투영되고 있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 앱스토어가 수비적인 측면에서라도 성공할 수 있기 위해서는 앱스토어를 통해 시장의 주도권을 유지하며 또 하나의 Walled Garden을 펴기보다는 이통사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살려 시장을 개방을 하되 새로운 주도권을 만들어야 한다.

연예인과 성인화보집이 온 페이지를 감싸고 있는 현재 T Store는 실제 어플리케이션 판매량 또한 극히 저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에도 KT의 핵심인력들은 세상이 바뀌었다고 이야기 한다. 지원 단말이 겨우 두모델인것은 큰 문제가 아니며, 사업자들의 의지에 의해 시장의 판도는 바뀔 수 있다고 자신한다. 그럼, 지금까지 의지가 없어서 시장이 이 모양이었던거네? 지난 10년동안 들어왔던 '곧 세상이 바뀐다' 소리는 이제는 지겨운 종말론처럼 아무런 감흥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세상이 바뀌어도 이통사는 그대로 아닌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10/07 12:25 2009/10/07 12:25
동원삼치

개인적으로는 KT나 SKT에서 열심히 추진중인 'oo 스토어' 서비스의 전망은 그리 밝진 않다고 봅니다. 결과는 두고 봐야 알겠지만요 ^^

호빵맨

개발 지원을 한다고 했는데 어느정도 될지 궁금해 집니다. ^^;;;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Show를 아는 KT

9월 24일, KT의 Show Store 정책설명회가 개최되었다. 이날 정책설명회는 9월 9일 오픈하여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T Store를 상당히 의식한 분위기가 팽배했다. 초반부터 딱딱한 발표를 했던 SKT와 달리, 마술쇼를 시작으로 퓨전 4인조 밴드를 마지막으로 진행했으며 리허설을 여러차례 해본듯,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발언은 일체 하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책설명회라는 제목을 가지고 모였으나 정작 구체적인 내용이 없었던 것은 SKT의 T Store 정책설명회와 마찬가지였다. SKT는 시종일관 '결정된게 없습니다.'만 반복했다면, KT는 결정되지 않은 것은 아예 언급을 하지 않았으며, QA시간과 Online QA 공간도 마련하지 않아 불만이 생길 여지를 아예 없애버린게 차이일 뿐이었다.

몇몇 블로거들이 '공격적인'이란 표현을 사용하며 호감을 나타낸 것은 개인적으로는 다소 의외였으며, 그만큼 KT가 Show를 할 줄 아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과연 T Store 정책설명회와 다른게 있었나?


'틀린 그림 찾기' 같은 정책설명회

KT는 분명히 현재 모바일 시장과 기존 Contents Mall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명확한 이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T Store에 부정적이었던 여론의 심리를 잘 파악한 탓도 있을 것이다. 다만,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할만한 명쾌한 답은 여전히 내리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결국 '지금까지 이러이러한게 문제였습니다.'만 외치니 얼핏보면 뭔가 많이 바뀌는 것 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다. 아래는 두 행사를 모두 직접 참석하면서 정리해본 주요 항목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당일 KT의 호감가는 발언 2가지는 데이타 요금 인하와 WiFi Zone 개방이다. 조금 속을 들여다 보면 이 2가지 요소가 알맹이가 있는 것이었나 하는 의문이 생긴다.

데이타 요금인하는 사실 업계에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는 이야기였다. 원래 예정으로는 스마트폰 라인업이 어느 정도 잡힌 후에 발표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그 전날 SKT의 데이터 요금 인하 발표로 부랴부랴 발표한 것에 불과하다. 그날 발표한 파격적인 인하가 얼마만큼인지 알 수가 없다. 이날 이후 25일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한 스마트폰 번들 요금제라면 SKT의 인하 보다 실질적인 것인지 의문이 들며, 무엇보다 앱스토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항목이다.

WiFi 개방이 아니라 'WiFi Zone 개방'이라는 단어를 쓰고 있는 것에 영 신경이 쓰인다. 만일, iPhone과 같이 WiFi를 완전히 개방하여 무선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면 Smart Phone에서 너무나 당연한 것이며, 단순하게 Download만을 WiFi를 통해서 하는 것이나, Net Spot Zone만을 활용하는 것이라면 극히 실망스러울 것이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과연 Show Store 정책설명회가 T Store 정책설명회가 다른게 도대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행사사은품이 바이러스 포함 4GB이냐, 그냥 2GB이냐 정도가 차이가 있을 뿐...


새로운 SDK는 개발자의 편의인가?

T Store와 Show Store는 각각 SKAF와 KAF를 중심으로 하는 SDK를 발표하였다. 다양한 플랫폼 환경을 개발할 필요없이 해당 SDK로 개발을 하면 Cross Platform을 지원한다는 취지이지만, 과연 그만큼의 시장 환경을 만들어 줄지, 아니면 가뜩이나 넘쳐대는 개발 환경에 하나가 더 추가되는 것인지 걱정스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외의 경우를 보면 Cross Platform을 지원하는 SDK로 앱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는 이통사들은 보다폰, Softbank, China Mobile등이 중심이 되어 있는 JIL 연합체에서 주로 행해지고 있으며, 이들은 Local 시장이 풍성하여 앱스토어 자체에서 수익을 창출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통사들은 SDK보다는 Network API를 통해 앱스토어를 꾸려나가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Verizon Wireless의 경우에는 지난 7월에 'VCast Application Store'를 런칭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자체 SDK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Presence, Messaging, Billing 등으로 이루어진 Network API를 공개하고, 개발자로 등록만 하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았다. 개발자들은 BlackBerry SDK, WM SDK, Android SDK등과 같이 Opn 플랫폼을 이용해서 개발하고 등록하면 된다.

Sprint Nextel의 경우, Sprint Developer Sandbox를 통해서 네트워트 API를 개방하였다. 개발자들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하여 LBS 등 Network API에 접근할 수 있으며, Application및 Web Page를 제작할 수 있다. Sandbox는 단순한 네트워크 API외에도 플랫폼 환경을 지원하는데 이를 활용하면 사용자 테스트 등을 시행할 수 있다.
2009/10/06 23:22 2009/10/06 23:22
후추

T store 정책중에..미정 이라고 작성하신게 대부분인데..
정책 결정된 것도 많은데...잘 조사를 안하고 작성한 듯 하네요..;;

부분유료화 정책도 연회비 정책도 있습니다. 수수료 분배율도 있고..
뭘 조사하신거지.. ;;

mobizen

"정책 설명회 당시"라는 타이틀까지 달았는데... 뭘 읽으신건지.. 참..

이런류의 댓글은 앞뒤 안보고 그래프나 표만 보고 달려드는 내부인이거나 관련자들이죠. 보아하니, SKT분은 아닌 것 같고, 파트너사인 이노에이스분인 것 같군요. 문맥을 이해 못하는건지, '당시'라는 단어를 모르는건지.. ㅉㅉㅉ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봉박두, SKT 앱스토어


9월이 되면 오픈하는 SKT 앱스토어. 기대도 많았었고, 그만큼 말과 탈도 많았던 이슈인 듯 하다. SKT는 6월에 베타테스터를 모집하여 Closed Beta를 통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테스트 하였고, 개발자들에게 보다 나은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7월에 서울대학교 연구공원 내 SK텔레콤 연구소에 'MD(Mobile Device) 테스트센터'를 오픈하는 등 활발한 행보를 보여왔다.

하지만, 서비스 정식 오픈 일정이 7월에서 8월로, 다시 원래 일정인 9월로 돌아간 것은 일정 부분에 대해 내부 개발자와 만족스러운 소통보다는 전형적인 '언론플레이'라는 느낌을 주었던 것은 아쉬운 점이다.


국내에서 가장 성공 가능성이 높은 앱스토어

앱스토어에 대한 관심이 태풍처럼 몰아치던 5월 애틀러스 리서치에서 IT업종 종사가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해당 조사 중에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앱스토어'를 묻는 항목에서 SK텔레콤 앱스토어를 꼽은 응답자는 48.8%를 차지했다. 이어 애플이 24.4%, 삼성전자가 7.5%, 구글이 6.3%, KT가 4.4%로 뒤를 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Source : 애틀러스 리서치


일부 업계에서 해당 설문 조사에 대한 의구심을 내세우기는 했지만, mobizen 역시 설문 조사 결과와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rket Expand? or Market Shift?

일부 전문가들이 평가 절하할만큼 SKT 앱스토어의 기술적인 요소가 수준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SKAF의 Framework의 안정성은 상용화가 되어야만 알겠지만 훌륭한 기술적인 Concept을 가지고 있으며, 모바일 게임을 위해 최적화시킨 GIGA 역시 뒤떨어지는 기술은 아니다.

문제는 이러한 플랫폼 밑단의 기술적인 접근이 아닌 운영과 시스템이 얼마나 진정성 있는 개방인지가 관건이다. SKT 앱스토어의 이러한 운영의 철학에 따라  침체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 시장을 확장하고 진정한 오픈 마켓으로서 자리를 잡는 것인지, 아니면 기존 'Nate Mall'을 Shift하여 알맹이 없는 성공을 하는 것인지 결정될 것이다.

SKT의 대형 BP를 대상으로 행해지고 있는 강제적인 앱스토어 컨텐츠 풀 구축을 보면, 아직까지도 '개방'이라는 의미를 모르는 '갑'으로서의 권위를 버리지 않고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호 존중이 있는 에코시스템

SKT는 선두그룹 BP들에게 현재 Nate Mall에 있는 우수 컨텐츠를 오픈마켓 Framework인 SKAF와 GIGA를 대상으로 포팅하기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대형 Market Place에 초기 제휴 관계가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SKT와 일반 BP가 Apple과 EA 처럼 대등한 관계의 제휴였는지, 아니면 위압적인 요구였는지 궁금하다.

현재 SKT 앱스토어에서는 인증을 위해 Signature 를 사용하는데, 시스템 오류로 인해 아무런 문제가 없던 Signature가 Failed나서 개발사들이 아무런 잘못도 없음에도 수시로 어플을 업데이트 해주어야 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생기고 있다. 시스템을 처음 구축하다보면 당연히 불안하고 문제가 많을 수 밖에 없으니 예상되는 문제지만, 이러한 작업들이 얼마만큼 상호 존중 속에서 일어나는지, 일방적인 업무지시 형태인지 궁금하다.

이러한 관계를 쉽사리 단언하는 것은 위험하지만, 적어도 앱스토어형으로 개발하고 있는 BP들에게 보상이나 선택권이 전혀 없는 것은 분명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방형 마켓에서 '운영의 묘'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렇게 고생하는 BP들에게 '킬러 컨텐츠'로 지정해주고 5:5로 수익배분을 하자는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 Nate Mall에서 운영하던 방식을 그대로 Open Market에 적용하려는 것이다. 컨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Local Market Place에서 양질의 Contents를 사용자들 눈에 쉽게 뛰게 하여 만족도를 높인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운영의 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의도의 좋고 나쁨을 떠나 적어도 Open Market이라는 본질에서 이미 멀리 떨어져 있는 접근임은 분명하다. 백화점과 시골장터로 흔히 비유되는 기존 Contents Mall과 Open Market의 차이는 운영의 주체가 사업자와 사용자로 구분된다. SKT의 각 사업자들은 Open Market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확실하게 이해하여야 하며, 그 이해에 따라 기존 Nate Mall과 다른 에코시스템을 구축하는 법을 배워야 할 것이다.

만약에 SKT 사업담당자들의 이러한 제안이 위에서 없다고 했던 '보상'이라면 더욱 심각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직은 비난보다는 기대를..

이번 포스팅은 사실 매우 조심스럽다. 이러한 Fact들에 대한 거론이 무조건적인 비판으로 받아들여지고, "강압적이지 않다.", "논의된 적이 있을 뿐 사실이 아니다."라는 단 두마디 답변으로 근거없는 '카더라 통신'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 답변이 사실이면 다행이리라..

몇몇 후배들에게 들은 SKT 앱스토어에 대한 불안감과 불만은 생각이상으로 높았다. SKT 앱스토어의 큰 전략이나 운영 방침과 무관하게 사업담당자들의 조그마한 말한마디가 아직까지는 관련업체들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해 주었으면 좋겠다. SKT의 담당자들은 '근거없는 비난'이라고만 받아드리지 말고, 내부에 '앱스토어 운영 방침'등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을 했으면 한다.

mobizen은 여전히 SKT 앱스토어에 희망을 걸고 있다. 그것은 SKT를 믿어서는 아니고, 소규모 모바일 업체들이 모두 'Global!'을 외치며 해외 앱스토어에 나가서 쓰디쓴 E-mail을 받는 것보다는 그래도 Local에서 좀더 살아남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고, 여러 유통 채널 중에 SKT 앱스토어가 가장 진일보 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한다고는 했지만 아직까지 실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광고 시스템 연동, Gift Card 적용 등 세세한 부분을 모두 채워서 보다 완벽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기존 'Nate Mall'의 운영 시스템을 모두 버리고 철저히 Open된 Market Place로 자리매김을 하기 바란다.
2009/09/01 08:40 2009/09/01 08:40

애플의 앱스토어 성공사례를 따라 여기저기서 앱스토어를 하겠다고 난리다. 노키아나 삼성/LG와 같은 휴대폰 제조업체도, MS 나 구글같은 OS vendor 는 물론 특이하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이통사마..

안녕하세요? 글 잘 읽었습니다. T store 사업 담당자로서 한말씀드립니다. 말씀하신 모든 부분에 대해서 저희의 입장을 말씀드리고는 싶지만, 우선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에 대해서 말씀드리..

cubix

개인적으로는 통신사나 단말 제조사 보다는 플랫폼 업체들이 주도적으로 어플 마켓을 운영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애플 앱스토어나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 처럼요..
SKT의 앱스토어... 왠지 그렇게 기대되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drzekil

저역시 cubix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앱스토어는 플랫폼 사업입니다..
우리나라에 제대로 된 플랫폼 사업을 할만큼 열린 사고를 가진 기업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ghostsbs

만약 이글대로 된다면 개인개발자나 소규모개발팀은 아무리 잘 만들어봐야 성공하기 힘들다는 뜻 입니다. 대형BP들이 운영사의 지원을 받아 좋은자리(노출이 좋은 곳)를 차지 하고 수익배분을 5:5로 하면..예전 자뻑하던 시절이나 다를게 별로 없어 보이네요..

rednakta

애플의 경우 무료 어플리케이션 사용률이 상당합니다. 시장을 키움과 동시에 사용자의 습관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아이폰에서 WIFI가 지원되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봅니다. WIFI가 지원되는 단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무료어플리케이션이 시장을 확대시키기에는 한계라고 봅니다. 정말 저렴한 요금제나 WIPI단말에도 WIFI가 제공된다면 모를까...이러한 점이 SKT 앱스토어의 한계라고 보입니다.

another

정곡을 콕 찌르시는 지적입니다. 밝히긴 뭐하지만, 카더라 통신은 아닙니다. 물론, 사업초기의 시행착오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이미, Apple의 AppStore라는 벤치마킹하기 좋은 서비스가 버젓이 성업중에 있는데 이에 대한 분석조차 하지 않은 듯 합니다. 귤이 탱자가 된 듯한...
Local에서의 희망은 서서히 꺼져가는 듯 합니다. 안타깝네요.

DewPoint

애플과 같이 플랫폼사에게 open market은 새로운 수익원이 될 신규시장이지만...
SKT에게 open market은 기존 Nate mall과 cannibalization을 걱정해야 하는... 단순하지 않은 시장이지요.
옳고 그름을 떠나서 이통사가 플랫폼사와 동일한 운영정책을 선택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여하튼 끝에 언급하신... 광고연계나 또 다른 BM과 연계를 통해 개발사가 수익을 확보할 수단들은 다양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kkh6547

국내에 WIFI 적용되는건 정말 드물고 제가 본건 티 옴니아 밖에 못봣습니다.
그래고 1Kb 당 3.5 원이 책정 된다고 하니 미래가 보입니다
결국 티스토어는 이 정책을 계속하다보면 망하는건 시간문제일뿐입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아래는 Wireless intelligence 보고서와 국내 이동통신사 IR자료를 기반으로 가입자수 기준의 세계 Top 20 이동통신사를 순차적으로 재구성해 본 표이다. 거대 인구를 기반으로 한 China Mobile이 월등하게 앞서고 있으며, 그 뒤로 Global 사업에 성공한 Vodafone이 2위를 달리고 있다. China Unicom도 5위를 차지해 중국 시장이 모바일시장에서 왜 중요한지를 충분히 설명해 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Top 20 이통사 중 몇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주요 지표를 정리해서 그들을 비교해보자. 아래는 2008년 매출액을 기준으로 정리해 본 내용인데, 각 이통사마다 년회계 기준이 조금씩 차이가 있으므로 그 점을 유의해서 보도록 하자. 가입자수로는 13위인 AT&T가 매출액을 기준으로는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iPhone을 중심으로 하는 데이타매출과 고객 충성도가 이통사의 실적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증명하고 있으며, 규모의 경쟁에서 성공하고 있다. 가입자 기준 1위였던 China Mobile은 매출액에서 한참 뒤로 밀려나 있어 AT&T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영업이익이 높지 않은 것도 흥미로운 점이다. China Mobile은 매출액 대비 높은 영업이익을 보여주어 알짜배기 장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Softbank의 경우에는 마케팅 비용이나 투자비용이 높아지면서 영업 이익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모습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자수만큼이나 차이가 나는 것이 바로 종업원 수이다. 국내 이통사들의 종업원수와 해외의 이통사들을 비교하면 현저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AT&T의 종업원수는 302,660명인데 비해, 국내 이통사들은 대부분 1/10 정도의 수준을 유지한다. 그렇다면, 종업원 1인당 매출액을 계산해 보면 어떠한 결과를 보일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까지 극히 낮은 수치를 보여왔던 국내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질적인 우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SKT의 수치는 월등한 수치를 보여준다. 짐작컨데, 국내 기업들의 이러한 수치는 국내 이통사들은 비정규 계약직의 의존도가 높고, 기업의 종업원수에서 비정규 계약직들은 포함이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질적인 성장도 좋지만 이제는 Local Company를 벗어나 Global 전략을 성공시키는 것도 보여줘야할 시점이다. 최근, 각종 해외사업에서 실패하고, 얼마전 힐리오도 정리했던 SKT가 최근 카자흐스탄 3위 이동통신사인 NEO인수를 추진 중에 있다. 이번만큼은 지금까지 겪었던 시행착오를 통해 한단계 성숙한 결과를 보여주기 바란다. 또한, 단순한 국내 기업 하나가 진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솔루션 사업자나 장비사업자, 컨텐츠 제공업체들이 해외로 시장을 넓힐 수 있는 교두보의 역할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2009/07/21 08:38 2009/07/21 08:38

세계 Top 20 이동통신사 가입자 현황 Via: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China Mobile의 가입자가 4억명이 넘는단다. 1종업원당 매출에서는 국내 이통사들이 압도적이다.

cubix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통계인 것 같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중국내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로 보이고,
앞으로도 당분간은 가입자 수에서만큼은 경쟁자가 없어 보이네요
개인적으로 보다폰이 국내에 진출해줬으면 하지만, 마땅히 인수할만한 업체가 보이지 않는군요
언제나 잘 보고 갑니다^^

mobizen

언제나 좋은 포스팅을 해주시는 cubix님~ 리플 감사합니다. 차이나 모바일의 무서움은 지금은 양이지만, 언젠가는 서비스의 질도 무시못할 수준까지 올라올 듯 합니다. ^^

지나가다

질 높은 사업이라고 볼수도 있겠지만 저건 상식을 벗어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겠네요

mobizen

ㅎㅎ 관점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니깐요, 말씀하시는 면도 분명히 존재하다고 생각합니다.

라이카마이신

저도 쿠키폰 쓰는데 개인적인 만족도가 높아요~ 중간에 잃어버렸는데 누가가져가서 벌써 2번째 쿠키폰이라져. ㅋ

좋은 자료 감사히 보았습니다.
모바일 계통에서 일하시는 분인가보네요.

mobizen

ㅎㅎ 제 트위터를 보시고 오셨나 보네요. 네~ 모바일 업계에서 근무하는 모바일쟁입니다. 리플 감사합니다.

학주니

역시나 차이나모바일.. 짱깨의 엄청난 인력군은 무시할 수 없군요..
국내 이통업체의 규모대비 효율성은 이미 증명된 바 되었지만 마켓이 글로벌이 아닌 로컬이라는 것이 아쉬울 뿐입니다.
또한 로컬에 한정지어서 효율성이 증명되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을 듯 합니다.. -.-;

mobizen

맞습니다. 사실 그만큼 투자나 Risk를 안고가는 새로운 도전에 소극적이라는 뜻도 되죠. 지금은 조금 다르지만 얼마전까지 국내 이통사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Action 이었다고 생각도 드네요.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가디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어떤 면에서 질 높은 사업을 펼친다는 것인지 모르겠는데요.
직원 1인당 이익률이 높은 것이 질 높은 사업이라는 말씀이신가요?
보통 질 높은 사업이라고 말할 때는 그 회사의 수익률이 아닌 서비스 평가로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mobizen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가디님의 말씀하시는 서비스라는게 고객 서비스인지, SW 서비스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거시적으로야 모두 고객 서비스에 포함은 되겠지만. 그럴 포괄적인 단어의 접근은 다소 위험할 듯 하구요.

SW 서비스라면 사실 국내 이통사.. 못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해외 이통사들과 비교해보면 몇몇 앞서가는 회사를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뒤진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통사들은 어디서나 동네북이죠...

또한 이통사 입장에서 무조건 서비스 한답시고 나서는 것도 제 개인적으로는 별로 안 좋아합니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Data Pipe나 그냥 Service Enabler로의 역할만 잘 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절대적인 평가로야 국내 이통사들은 어떻게던 욕 먹죠. 해외 이통사들 중 AT&T, O2, Vodafone 등과 같은 몇몇 선도적인 기업 말고 어느 기업이 그렇게 서비스를 잘하던가요? 전 개인적으로 요즘 NTT도 헤매는 것 같던데.. 솔직히..AT&T도 3S 전략이 어쩌고 저쩌고 전략을 그럴듯 하지만 아이폰 연관된 서비스 외에 잘한다고 느껴지지 않던데요~

가디

제 말의 의도는 1인당 매출액을 보여주시면서 그것이 전반적인 국내 기업들의 질적인 우위를 보여준다는 말이 이해가 안된다는 뜻이었습니다. 즉, '1인당 매출액 -> 기업의 질적 우위'라는 연역 과정이 이해가 안된다는 이야기고요.

간단히 말해서 국내 이통사가 어떤 점에서 질 높은 사업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말이었습니다.

mobizen

그렇군요. 문맥상 그다지 이해하기 어려운 구절은 아닌 것 같고 공감을 못하시는 것 같군요.

저는 '기업의 질적 우위'라고 표현한 적이 없습니다. 1인당 매출이 '질적 우위'에 있다고 했죠. 본문을 다시 보시죠.

가디

제가 문맥을 잘못 이해한거 같네요.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저는 위에 문장을 보고 말씀하시던 '질적 우위'가 '기업의 질적 우위'라고 생각어요.

ibrik

1인당 매출액 자체가 그 기업의 모든 효율성을 설명해 주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기업의 효율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양하니 말입니다. 따라서 1인당 매출액을 기업의 효율성 지표 자체로 평가하기보다는, 해당 기업 효율성의 한 부분을 이루는 '기업 내 노동력 사용효율성' 정도로 평가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해석이 아닐까 합니다.

나그네

회사입장에서서는 인당 매출이 높은걸 환영하는 바이겠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냥 폭리를 취한다고 밖에 안보여지내요,

mobizen

ㅎㅎ 그런 해석도 가능하지요~

세어필

마지막 그래프는 왠지 우리나라 근로자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ㅋ
뭐.. 그래도 확실히 효율이 압도적으로 높네요.

mobizen

우리 나라 개발자들이 고생을 하기는 하죠. 같은 그래프를 보면서 그런 면도 보시는 세어필님의 시각이 참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song

한국/외국기업의 1인당 매출액 차이가 지나친 것으로 보아, 사업 효율성이 좋다기 보단, 무언가 비정상적인 요인이 따로 있을 듯 합니다. 이를테면, 콜센터 및 각종 자회사의 존재 등.. 좋은 자료 잘 봤습니다.

mobizen

네. 분명히 제가 계산을 여러번 체크 했기 때문에 문제는 없으나 조건식에 허점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우기태

정말 깔끔한 자료로 군더더기 없는게 참 좋네요.


그리구 뜨거운 Issue~~


머 재무재표상으로 인건비만 포함되는 건 아니지만
저런 비유... 전 참 재미있게 봤습니다.


200만 달러 ~
이정돈 해주는 센스 ㅎㅎ

mobizen

저 정도 벌어주는 기업이 많지 않죠~ ㅎㅎ

아주나비

DoCoMo와 SKT는 평균 연봉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수치대로라면 SKT 직원들이 착취당하거나 DoCoMo 직원들이 지나치게 많이 받아가는거겠네요 ㅎㅎ 암튼 Fortune 자료에서 1인당 매출액 구성을 좀 따져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이통사들의 인력과 조직이 저토록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지에 대해선 좀 회의적이네요. mobizen님 글 잘 보고 있어요, 고맙습니다.

mobizen

아주나비님. 오래만이시네요. 역시 자극적인 그래프라 리플이 많이 달리네요..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말이죠.

수치 계산은 오류가 없을 겁니다. 제가 몇번 확인을 한거라서.. 조건식에 문제는 있을 듯 합니다. 국내 이통사들의 종업원수가 상대적으로 노무 적더라구요.

부운

1인당 생산성은 기업의 질적 평가에 대한 중요한 평가가 맞습니다.
본문중에.. 비정규직 직원이야기가 나왔지만. .실제. 국내의 3개 이동통신사의 비정규직업무는 한정된 업무를 하고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은 인력이지요..

전체적으로 상대적인 비교를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쉽게 이해가 가는 자료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mobizen

제가 본문에 비정규직은 언급한 것은 상대적으로 너무 작은 종업원수를 가진 국내 이통사들의 수치에 대한 짐작입니다. 해외 이통사들은 사무직이나 개발자 이외에, 네트워크 장비나 대리점 판매 사원등도 다 Count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국내 이통사들도 직영 대리점도 상당하고..그 안에 있는 매니저들이야 정사원이겠지만, 대부분 계약직이잖아요. 네트워크 선로 하시는 분도 계시고..

그리고, AT&T와 같은 경우에는 사실 무선만 카운트된 것은 아니라서 분명 통계적인 허점은 있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를 뽑아 보더라도 격차는 줄어들어도 국내 이통사들의 '1인당 생산성'이 월등한 것은 사실일 겁니다.

공룡사랑

<<이통사 주관식 수능문제>>
1. 세계에서 거의 꼴찌..의 한국의 이통사가 세계에서 1인당 생산성이 최고 ? 이유는
2. 세계에서 가장 로컬적인 한국의 이통사가 세계에서 수익률이 최고 ? 이유는
<<정답>>
1. 폐쇄적 독과점으로 인한 소비자/고객 지향 상품개발/서비스 아닌 고객 덤태기 쓰우는 전략
2. 폐쇄적 독과점 으로 인한 소비자/고객의 선택의 여지가 없는 폐쇄적 망구조로 울며 겨자먹기

mobizen

정답은 전부 공감~ 문제는 절반만 공감..

eothd

1인당 매출액은 어떠한 근거로 작성한걸까요? AT&T에는 무선외에도 무진장 많은 사업부서가 있습니다. 기타 회사들도 마찬가지이고요. 무선분야에만 근무하는 인원을 정확하게 IR에 기재하는 회사는 없는것 같습니다. 1인당 매출액의 근거는 좀 미약한것 같습니다.

mobizen

맞습니다. 정교한 데이터는 아닙니다. 지적해 주신 사항은 본문은 아니지만 위의 댓긇에서 이미 제가 언급했던 내용이구요..
SKT만해도 11번가나 토시등 무선과 다른 사업부문이 있으니 그러한 종업원 수도 빼야하고, 매출도 빼야죠. 의미없는 비교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ㅎㅎ

H군

주제가 이통사수익구조인 만큼, AT&T의 wireless 부분의 revenu인 49,335(백만$)만 사용한게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24,028(백만$)은 무선, 유선, Yellowpage 매출액까지 합산된 AT&T 그룹 전체의 매출로 알고 있습니다. (Soure : '08 AT&T annual report)

mobizen

네. 맞는 말씀입니다. 정확한 데이타 산출이 되려면 말씀처럼 무선 매출을 기준으로 무선 인력을 나눠줘야 하겠죠. 문제는 무선만 전담하는 인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으니깐요. 사실, 그런 구분이 모호한 시대에서 그런 구분이 가능할련지 조차도 모르겠네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블로그 서버가 다운되고, 이래저래 업무가 바빠지면서 7월이 된지 시간이 꽤 흘러버렸다. 조금 있으면 각 이통사들의 2분기 실적발표가 될테고, 분기 실적 발표를 보면 하반기 국내이통사의 개략적인 흐름이 나올 것이다. 그러한 시점에서 월별 실적 발표를 기준으로 몇몇 자료를 재구성해보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으나, 분기실적보다는 조금 디테일한 흐름을 보는데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어 소개를 해 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이통사들의 M/S는 큰 변화없이 오랜기간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전월(09년 5월)대비 SKT와 LGT는 소폭 상승을 했고, KT는 소폭 하락했지만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힘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월 이통사들의 마케팅 과열로 인해 시장이 비정상적인 활기를 가지면서 방통위측에서 제재에 나섰고, 덕분에 09년 6월에는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분기 실적 발표가 이루어지면 이통사들이 이번분기 마케팅비용이 어느 정도 윤곽을 보일테니, 그 때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자.

09년 6월에는 SKT가 149,047명, KT 58,939명, LGT 56,888명의 순증가입자를 보였다. 타 이통사에 비해서 KT의 순증가입자의 기복이 심하다는 것에는 한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합병으로 인해 5월에 시장에 신경을 많이 못 썼고, 5월에 보였던 수치가 자연스러운 시장의 흐름인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온갖 SHOW를 다 하면서 3G망에서 가입자 1위를 자랑하는 KT는 08년 12월 이미 3G 누적 가입자 수에서 SKT에게 밀렸다. 그 이후로 KT는 3G에서 1위라는 마케팅을 하지 않았으며, SKT 역시 3G 가입자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있다. 양사의 3G 누적가입자수의 격차가 계속 벌어지면서 3G 마케팅은 빛을 잃어가고 있다. 그만큼 3G 시대에 걸맞는 킬러 컨텐츠와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가 이루어 지지 않는 것을 말해주는 듯하여 씁쓸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ARPU도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09년 2월에 최저를 보이던 전체 ARPU는 점차적으로 상승해서 08년 12월과 유사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SKT의 경우에는 오히려 작년말에 비해서 높은 ARPU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 ARPU 역시 비슷한 양상이다. SKT 9,470원, KT 7,941원, LGT 5,261원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이통3사 모두 전월대비 상승하였다. 이렇게 무선 ARPU가 성장해 주었던 것은 MMS의 성장 탓이 큰데,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시장이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조금 거시적인 시장 흐름을 보자면 이통사들의 전략없는 마케팅 지출로 인해 시장 왜곡이 심화되고 있다. 이통사들이 중장기적으로 바라보는 대형 프로젝트들이 현재 모두 진행 중이며, 이통사들의 모든 전략이 이러한 프로젝트에 집중되면서 다른 전략등은 멈춰있는 상태이다. 해당 프로젝트들이 출시되고, 실제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기는 4분기가 될 듯 하다. 그때까지는 지금과 같은 '마케팅비용 지출 - 시장 과열 현상 - 방통위 단속으로 인한 진정국면'의 싸이클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09/07/20 08:35 2009/07/20 0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