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자료는 한국소프트웨어 진흥원에서 2007년 5월 10일날 발표한 자료 중의 일부이다.2006년도에 모바일 컨텐츠 관련 시장은 총 9,501억원을 형성하였다. 이는 전년대비 12.2%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위의 표를 보면 한눈에도 보이듯이 전반적인 모든 서비스가 정체이거나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유일하게 DMB가 폭발적인 성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작년까지 위성 DMB 90만 돌파, 지상파 DMB 240만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였다. DMB가 성장세에 있다라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DMB만이 있지만 MediaFLO나 DVB-H 와 같은 서비스가 국내에 들어올 때는 더 성장을 하리라 본다.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의 성장세는 초반 분위기 몰이 이상이라고 보기에는 힘들다. 지상파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광고가 늘어나야 하고 광고가 늘어 나기 위해서는 양질의 컨텐츠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6개 사업자 총 매출이 수십억원에 불과하다는 것은 역시 초반 수익성과 기타 컨텐츠에 비해 눈을 사로잡을 만한 컨텐츠가 부족하다는 것을 뜻한다. mp3 player, PMP, PDA, UMPC 등의 기기등이 다른 나라에 비해 극히 발달이 되고 일반화되어 있는 국내 실정에서 고객의 눈을 고정시킬 뭔가를 찾지 않으면 초반 여세몰이도 그리 오래 가지는 않으리라.

전자책의 경우 성장률 자체는 높으나 아직은 시장 크기가 작다는 것도 눈여겨 볼만한 부분이다. 전반적인 전자책 산업의 흐름은 아직까지는 B2B 중심으로 머물르고 있으나 B2C의 시장이 점차로 커져야만 하겠다. 모바일에서 전자책의 메인은 역시 만화 서비스가 아닐까 한다. 몇몇 업체들이 독점하고 있는 시장을 좀 더 개방을 하고 온라인 만화 서비스와의 공유를 통해서 영역을 넓혀가야지 크기를 키울 수 있으리라.

이러닝도 아직은 작지만 큰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이동통신사 중심의 컨텐츠의 성장이 아니라 PMP, 와이브로 서비스 등 차세개 모바일 기기의 성장율에 기인한다고 본다. 이러닝 업체들도 핸드폰 시장보다는 이러한 차세대 기기를 기반으로 선점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벨소리, 통화연결음, 모바일 게임등의 시장은 마이너스이거나 낮은 성장율을 보이고 있다. 성장율이 낮은 이유가 시장 자체가 고객의 Needs가 없는 시장인지, 구조나 개방이 잘못되어 있는지, 만족할만한 컨텐츠의 부재인지는 슈퍼갑들을 포함한 모든 CP들이 곰곰히 따져보아야할 숙제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2006년도의 모바일 컨텐츠의 큰 흐름은 기존 서비스의 정체, 디지털 방송의 성장이다.
2007년도에는 디지털 방송과 UCC의 모바일에서의 활용, 온라인 서비스와의 연동 서비스 등을 지켜 봐야 하리라.
2007/05/14 17:44 2007/05/14 17:44
Posted
Filed under 개발관련
아래는 내가 모바일 게임 전문 업체로서 몇개 안되는(그때 당시 2개) 상장 기업의 개발 부장으로 있을 때에 3년 전 쯤 입사시험으로 냈었던 문제이다.

(필수)
1. 모바일 VM 플랫폼에 대해 아는대로 나열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2. Byte Order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3. 더블버퍼링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모바일 상에서의 게임 속도 개선 방법과 이때의 주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 JAVA )
5. JAVA 언어에서 CallSerially 멤버 함수를 설명하시오.
6. JAVA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7. JAVA의 repaint와 serviceRepaints()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BREW )
8. callback 함수에 대하여 설명하고, BREW 개발에서 적용될 수 있는 예를 드시오.
9. byte 정렬에 대하여 설명하고, BREW 개발 시에 byte 정렬의 유의점에 대하여 쓰시오.
10. C++에서의 구조체와 Class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

※ 1번부터 4번까지는 필수로 작성하시고 5번부터 10번까지 중 3개를 선택하여 작성하세요.(총 7문제)

문제는 어차피 어려우리라 예상을 했었고, 대다수의 응시자들이 신입이 아닌 경력자였기 때문에 문제의 정답 여부보다는 답변을 쓰는 자세를 보고자 했었으나 결과는 참담했었다. 한명도 제대로 모두 답변을 쓴 사람이 없었던 것은 물론 대부분의 단답형의 무성의한 답변을 작성하였다.

어쩌면.... 성의있게 쓸만한 여지조차 줄 수 없는 어려운 문제였는지도..
2007/05/10 20:00 2007/05/10 20:00
luzluna

답답형의 무성의한 답변은.. 개발자 특성상 그림이라도 그려서 자세히 설명하라고 하지 않는한 어쩔 수 없지 않을까요?
경력직인데 결과가 참담했다니... 좌절스럽네요. 좋은 개발자 찾기는 역시 하늘의 별따기.

Shinnara

ㅋㅋ.. 좋은 문제를 내셨네요~ 개발자들의 기본 소양 교육...정말 필요한것 같아요

hihj

게임은 아니지만, 핸드폰 개발경력 6년차입니다.
문제 보고 저도 대답하기 힘듬이 느껴집니다.
아는것만 알고, 관심 있는것만 집중하는 저를~ 반성합니다... ^_^?

jeano

문제 수준이 어려운것보다 다양한 경험을 묻는거 같네요 ^^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 경험, 효율및 최적화의 고민등등....